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Variables Predicting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아동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상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민미희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
  • 성미영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5.12.14
  • Accepted : 2016.02.11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depending on child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variables, and predictive influences among these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1,364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th's Right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school life experience, grad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think they are respected in deciding family issues, gender, experiences of teacher's swear words, experiences of being neglected, and experiences of being bullied at school. Second, th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perception of human rights were gender, experiences of parents' swear words, school life experienc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think they are respected in deciding family issues, and father's educational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ed fundamental data about the important issues in researching children's right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m.

Keywords

References

  1. 구정화, 설규주, 송현정 (2009).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 국가인권위원회(2002).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 김경준, 이호균, 서여정, 김광혁, 김형욱, 윤상석 등 (2014).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IV : 한국의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국가보고서 권고사항 이행실태(연구보고 14-R14-1).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 김영남 (2009).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인식과 권리옹호와의 관계.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신 (2010). 친인권적 교실 문화가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왕준 (2012). 초등학생의 인권감수성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남동현 (2010). 참여권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류지헌, 허창영 (2008). 대학생의 인권의식에 대한 요인분석 및 인권태도의 인식수준. 민주주의와 인권, 8(1), 175-210.
  9. 모상현, 김영지, 김영인, 이민희, 황옥경 (2010). 국제기준 대비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수준 연구 V : 발달권.참여권 기본보고서(연구보고 10-R11).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0. 모상현, 김희진 (2009). 국제기준 대비 한국 아동․청소년의 인권수준 연구 IV: 생존권․보호권 인권실태조사(연구보고 09-R13).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 배경내 (2006, 9). 학생 인권의 현주소와 과제. 학생인권 관련 및 전문가와 함께 하는 학생인권 증진 인권교육 토론마당 자료집. 3-22.
  12. 유성렬, 김신영 (2013).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연구보고 13-R13-1).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유지민 (2004). 아동의 권리 인식 및 공감과 권리옹호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승미 (1999).인권의식 발달경향에 관한 연구: 사형, 고문, 장애인 처우에 관한 추론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6(2), 103-120.
  15. 이은경 (2013). 인권의식 수준과 학교폭력 태도와의 관계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재연, 황옥경, 김효진 (2009). 아동과 권리. 아동학회지, 30(6), 1-13.
  17. 인권친화적 학교+너머 운동본부 (2013). 변화를 거부하는 학교, 내몰리는 학생들! 2013, 학생 인권은 여전히 목마르다-전국 학생인권 생활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연구소..
  18. 임희진, 김현신 (2011).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I(연구보고 11-R11).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임희진, 김현신 (2012).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II(연구보고 12-R11).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정옥분 (2003). 아동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21. 정옥분 (2010). 아동연구와 통계방법. 서울: 학지사.
  22. 조윤정 (2006). 고등학생들의 인권감수성과 실제 인권 옹호 경향과의 상관성 조사 연구: 경기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윤진 (2000). 아동의 권리와 청소년의 권리. 청소년학연구, 7(2), 277-300.
  24. 함민아, 강현아 (2012). 아동이 지각한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참여권 인식과 참여권 행사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6(4), 565-589.
  25. 홍봉선, 아영아 (2012). 인권감수성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23, 307-335.
  26. 황혜원 (2011). 아동의 권리인식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3(4), 289-308.
  27. Branson, M. S. & Torney-Purta, J. (1982). International human rights, society, and the schools. Washington, DC: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28. Bronfenbrenner, U. (1976).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a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9. Deacon, B. (2013). Global social policy in the making: The foundations of the social protection floor. Cambridge: Policy Press.
  30. Ife, J. (2012). Human rights and social work : Toward rights-based practice (3r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Reichert, E. (2003). Social work and human rights: A foundation for policy and practice, 사회복지와 인권(국가인권위원회 사회복지연구위원회 옮김). 서울: 인간과 복지(원판 2008).
  32. Schultz, L. H., Selman, R. L., & LaRusso, M. D. (2003). The assessment of psychosocial matur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school-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Research in Character Education, 1(2), 67-87.
  33. Thomas, N. (2007). Towards a theory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5(2), 199-218. https://doi.org/10.1163/092755607X206489
  34. Wade, R. C. (1994). Conceptual chang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 case study of 4th grade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22(1), 74-95. https://doi.org/10.1080/00933104.1994.10505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