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청소년의 성미디어리터러시, 성허용성이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Permissiveness on Gender Sensitivity)

  • 권희정;신수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2-3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permissiveness on gender sensitivity and to provide evidences useful in developing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promote gender sensitivity among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derived from 250 adolescents' responses to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gend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6.54, p=0.001). Gender sensi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media literacy (r=0.36, p<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permissiveness (r=.22, p<.001). Sexual media liter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permissiveness (r=-0.39, p<0.001).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on media literacy were gender (β=0.33, p<0.001) and sexual depiction scene (β=0.24, p<0.001). Conclusion: Gender and sexual media literacy influenced participants' gender sensitivity. Therefore, when developing a school-based sex education program, sexual media literacy should be included as a key concept; moreover, gender-specific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Furthermore, teaching methods should enhance media literacy related to sexual depiction scenes and promote safe and healthy sexual permissiveness.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Lim, Hee-Jung;Kim, Ki-Eun;NamKoong, Eun-J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118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gender equality programs in the curriculum.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using the Gender Sensitivity tool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KGES-A). Results: First,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the students who took women's studies was high in the areas of educational life and socio-cultural life, and that of the subjects of grandparent families and Catholic was found to be high in the domestic life area. Second, the gender sensitivity of the subjects who took women's studies was found to be high in all sub-areas. In addition, the gender sensitivity of females was higher in the areas of sexual identity, non-violence, and self-reflection than that of males. That of 4-year college students was higher in the areas of sexual identity, openness to gender roles, and non-violence than that of 3-yea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gender sensitivity of Catholic students was high in the areas of sexual identity and openness to gender roles. Thir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depending on whether subjects took women's studies, family type, family type, and religion, and gender sensitivi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depending on whether subjects took women's studies or gender. Conclusion: Since dental hygienist is a profession that targets humans, education that can instill equal awareness and values of humans is important. To inspire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a prospective professional, it is necessary to conduct programs and education related to gender intelligence within dental hygiene curriculum.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역할 갈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ender Sensitivity, the Gender Role Confli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우정희;유승연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1-5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degree of gender sensitivity, gender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During Jan. 19 to Feb. 5 in 2021,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187 nursing students by on-line research method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mean comparison(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5.0. Results: The gender sensitivity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and gender role conflic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he prediction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major satisfaction,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conflict. The total variance was 8.2% by predictor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various way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major should be sought, and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gender sensitivity and reduce gender role conflict.

보육교직원의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 이서영;양성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44-257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태도를 질적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원장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총 227명을 모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시각방법론에 근거하여 젠더감수성 교육과 관련된 그림책을 이용한 프로토콜서술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중심주제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다. 젠더감수성 교육은 성역할 유연성과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참여자 대부분이 성역할 유연성 교육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연구참여자들은 성역할 유연성이란 주제가 이미 사회적으로 포용되었고,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며, 보육현장에서 실행하기에 용이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육의 효과도 아동의 개별성 존중에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하였다. 한편, 성지향 개방성 교육에 대해서는 연구참여자의 53.3%가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쟁점이 아직 사회적으로 합의되지 않았고, 발달적으로 유아보다는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 적합하며, 실제로 보육현장에 적용하기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의 40.5%가 향후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사회적 포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보육현장에 적합한 교재와 교수방법이 개발되면 결국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성지향 개방성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쟁점으로 부각된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유아 젠더감수성 교육의 실천적 담론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rrelation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Stereotypes

  • Hwang, Ji-Min;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3-218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stereotypes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xpand social awareness of equal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in dental hygiene and student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correl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dental hygiene students at colleges in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April 30, 2021. The final sample was analyzed on 157 subjects.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stereotyp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Equal variances were tested using the Levene statistic,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Scheffe's post hoc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sensitivity and gender role stereotypes. Results: Gender sensitivity was 2.69 and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1.83. Among the sub-areas of gender sensitivity, gender role openness was the highest at 2.86, and non-violence was the lowest at 2.50. As for gender role stereotypes, social stereotypes were the highest among sub-areas at 1.7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pposite sex friends (p=0.011). The gender identity openness of gender sensitivity and the physical sub-areas of gender role stereotype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r=0.955). Among the sub-areas of gender sensitivity, gender role openness and domestic stereotypes showed the lowest negative correlation (r=-0.404) among the sub-areas of gender role stereotypes. Conclusion: Dental hygiene students should be able to critically analyze and solve problems of not only sexual violence but also gender discrimination and imbalance in social life. For thi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chool education and professor guidance must be strengthened.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과 거부민감성의 융합적 관계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 이윤주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75-8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과 거부민감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2022년 8월 26일부터 9월 4일까지 I지역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한 후 SPSS 24.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은 성 정체성에 대한 개방성과 성역할에 대한 개방성의 점수가 높았고 거부민감성의 하위요인 중 과잉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은 여학생, 23세 이하, 종교가 없을 때, 성차별 경험이 있을 때, 가족, 친척 또는 친구 중 성소수자인 사람이 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거부민감성은 여학생일 때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성인지 감수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성찰과 거부민감성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지 감수성의 자기성찰을 제고하기 위해 거부민감성의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학 교과목의 성인지 교육 효과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 (A Cognition of Students and Facult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Gender Sensitivity in Engineering Courses)

  • 백성혜;김정희;조수선;김순자;김향숙;김동익;김송자;이부형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52-6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educational effects of gender sensitivity in engineering courses based on the cognition of students and faculty. For the research of nationwide scale, the data from engineering courses managed by WISET Chungbuk branch, Deakyung Gangwon Branch, Gyungnam Branch, Junbuk Branch, and Chungnam Branch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 gender sensitivity, interests in major, interests in job related to major, the efforts for employment of major field, the efforts for success after employment. As results, students realized lectures were important for gender sensitivity ability improvement. This means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engineering courses were proved. But the courses could not change students' thought of interests in job related to major, the efforts for employment of major field, the effects for success after employment.

포괄적 성교육 개념에 근거한 나다움어린이책의 젠더감수성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s Underpinning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in Nadaum Children's Books)

  • 서지은;양성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93-607
    • /
    • 2021
  • 젠더감수성은 성 역할 발달 초기 단계인 아동기부터 고려되어야 할 개념이다. 이에 유네스코는 '포괄적 성교육 가이드라인(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여성가족부가 아동기 젠더감수성 증진을 위해 '나다움어린이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나다움어린이책 속에서 포괄적 성교육의 개념들이 얼마나 다루어지고,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를 유네스코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저학년 아동을 위해 선정된 101권의 나다움어린이책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내용분석과 중심주제분석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서에 나타난 포괄적 성교육 개념의 양적 출현비율과 도서가 내포하고 있는 젠더감수성 가치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나다움어린이책에서 가장 빈번히 나타난 포괄적 성교육 개념은 '가족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 및 '관용, 포용, 존중의 가치'였다. 반면 '사춘기' 및 '성과 임신을 위한 건강' 등의 개념은 다뤄지지 않았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나다움어린이책이 젠더감수성의 가치를 추구하는 행동과 그 가치가 실현되는 과정을 주로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제적 기준에 부합되는 젠더감수성 증진 아동 도서에 관한 비판적 담론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한다.

과학기술 젠더 불균형: 현황과 과제 (Gender-mainstreaming through Gender-sensitivity in Science and Technology)

  • 김지형;김효민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51-280
    • /
    • 2014
  • 과학기술의 젠더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시도가 이루어져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과학기술계에서 여성은 여전히 과소대표되고 있다. 과학기술 젠더 불균형 개선을 위해서는 인력 구조의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조직 문화, 교육 제도, 연구 환경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젠더 포괄성이 성공적으로 증진된 사례를 모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계의 젠더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기술 교육, 연구, 직업적 환경의 전반에 걸쳐 시도된 국외의 성공적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논문의 주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공적인 젠더 다양성 증진 사례들이 과학기술계의 제도적, 문화적 환경에 대한 성인지(gender-sensitivity)적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성인지 관점에서 출발한 젠더 불균형 개선 시도들이 일부 여성과학기술자들의 지위 향상을 넘어 과학기술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한국의 과학기술 젠더 불균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여성 취업과 직장 내 성공 요인에 대한 공대학생, 교수 및 기업체 대표 간의 인식 분석 (A Cognition Analysis of Factors of Employment and Successful Career Among Faculty, Students, and Business Leaders in Engineering)

  • 백성혜;조수선;김정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58-64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통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공과대학 학생들 240명과 성인지공학교육환경개선 프로그램을 맡아 학생들을 가르친 8명의 공대 교수들, 그리고 충북에 소재한 공학계열 기업 대표 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여성의 취업과 직장에서의 성공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과 교수들, 그리고 기업에서 생각하는 여성의 취업에 필요한 능력과 직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기업에서는 인성과 정의적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효과적인 성인지공학교육환경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여학생들이 여성의 장점을 살리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 많은 취업의 수요를 창출하고, 기업에서 선호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