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gnition Analysis of Factors of Employment and Successful Career Among Faculty, Students, and Business Leaders in Engineering

여성 취업과 직장 내 성공 요인에 대한 공대학생, 교수 및 기업체 대표 간의 인식 분석

  • Paik, Seoung Hey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 Soosu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Kim, Jung Hee (WISET Chungbuk Branch)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 조수선 (한국교통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과) ;
  • 김정희 (WISET 충북지역사업단)
  • Received : 2013.08.25
  • Accepted : 2013.11.25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We compared the cognitions of students, faculty, and business leaders in engineering related to woman employment and successful career. For this research, we developed questionnaires for 240 student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8 faculty who taught the students in the improvement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environment for gender sensitivity, and 28 business leaders of company located in Chungbuk. As results,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 among the cognitions of students, faculty, and the leaders related to woman employment and successful career. Especially, leaders gave considerable thought to upright character and affective capacity when they select employees. Therefore, we need to concentrate efforts to bring up talent women whom companies prefer by strengthening the strength and make up for the weakness as women in the improvement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environment for gender sensitivity.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통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공과대학 학생들 240명과 성인지공학교육환경개선 프로그램을 맡아 학생들을 가르친 8명의 공대 교수들, 그리고 충북에 소재한 공학계열 기업 대표 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여성의 취업과 직장에서의 성공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과 교수들, 그리고 기업에서 생각하는 여성의 취업에 필요한 능력과 직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기업에서는 인성과 정의적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효과적인 성인지공학교육환경개선 프로그램을 통해 여학생들이 여성의 장점을 살리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 많은 취업의 수요를 창출하고, 기업에서 선호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익, 이영화(2009).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WIE 프로그램의 영향, 한국공학교육학회, 12(4): 46-55.
  2. 노태천, 이소이, 류승민, 구진희, 이영민, 김용재, 채정배(2011). 고교, 대학, 산업체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조사, 공학교육연구, 14(1): 11-19.
  3. 박성종 한명석, 김갑일(2000). 직업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 개발, 공학교육연구, 3(2): 61-70.
  4. 서광규, 안범진(2012). 공과대학생의 취업과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 산업체의 인식 조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5(6): 3-8.
  5. 송효진(2012). 여성 IT인력 과소공급해결을 위한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공학교육인증, 2012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6. 양승실, 김현진, 주경필(2006). 기업의 대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유인상(2010). 공과대학 교육에 대한 교수와 기업담당자의 인식 차이 및 해소방안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49-56.
  8. 이공주복, 민무숙, 최무현, 이영민, 권지혜, 최문용, 김수연(2009). 여성과학기술인력의 고용현황추이 및 활용 인프라 분석. WIST정책조사연구보고서.
  9. 이원섭, 정기효, 장준호, 유희천, 장수영, 전치혁, 정무영, 한성호(2008). 혁신제품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과 산업체 실무 자의 요구사항 분석, 공학교육연구, 11(4): 11-18.
  10. 전국경제인연합회(2002). 기업에서 본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과제.
  11. 전효진, 김학진, 김영옥(2013). 공학교육인증 졸업생과 비인증 졸업생의 취업률 비교 분석,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1): 64-74. https://doi.org/10.18108/jeer.2013.16.1.64
  12. 채창균, 옥준필(2006).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 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한국경영자총협회(2008). 대학 신입사원 채용 및 재교육 현황 조사 결과.
  14. 한국고용정보원(2010). 구직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면접조사.
  15. 한국교육개발원(2006). 기업의 대학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
  16. 한지영(2012).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연구 동향,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5(5): 140-150. https://doi.org/10.18108/jeer.2012.15.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