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uge method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34초

공용중인 교량의 응력이력 계측 및 응력범주를 고려한 피로평가 (Fatigue Evaluation of a Steel Bridge in Service through Stress History Measurement and Consideration of Stress Category)

  • 나성옥;권민호;차철준;김인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08-116
    • /
    • 2014
  • 강교의 정확한 피로균열의 발생원인 또는 교량의 피로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응력이력 측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의 응력이력 측정은 현장 여건과 경제성, 작업성 등의 이유로 1개소의 스트레인게이지를 설치하여 계측을 실시한다. 이는 특정 구조물의 실제 치수와 게이지 길이 용접부 응력집중 등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고, 구조 모델링을 통한 응력해석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용접단부에 다수의 게이지 설치, 최소 길이 게이지 사용, 설치 위치 등의 개선된 방법을 적용하여 용접단부와 스트레인게이지 설치 거리에 따른 변형률 진폭에 대한 상관식을 도출하고 국제용접협회 (IIW)의 제안식과 비교하였다. 또한 적합한 피로등급 상세범주 선정을 통해 공용중인 교량의 피로손상도 평가 및 잔존수명을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로균열 발생빈도가 높은 부재파악, 용접 단부와 게이지 설치 거리에 따른 변형률의 정량적 파악으로 정확한 피로손상도 평가 및 잔존수명 예측이 가능하므로 향후 교량의 응력이력 계측 시 개선된 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LCC 분석을 이용한 대차교환과 자동궤간가변 시스템의 효율성 평가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Bogie Exchange and the Automatic Variable Gauge System using LCC Analysis)

  • 정광우;안준용;김철수;나희승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34-342
    • /
    • 2012
  • 유라시아 대륙에는 다양한 궤간이 존재하고 있다. 이런 차이는 서로 다른 궤간의 접속점에서 화물을 환적하거나 혹은 차량 운행 조립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등 철도수송 시스템의 운영에 많은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철도 수송 시스템의 효율성은 복잡한 하역 및 교환 기술에 관련된 궤간 극복 방법에 매우 의존한다. 본 논문은 대륙철도 연결을 통한 국제 화물 수송에서 발생되는 1520/1435mm 궤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철도 수송 시스템의 효율성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궤간 변경지점에서 현재 수행되고 있는 수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교환 기술에 대한 사전 분석을 수행하였다. LCC 모델에 기초하여 리프트에 의한 대차교환 방식과 자동궤간가변 시스템의 효율성을 비교평가 하였다.

스트레인 게이지식 로드셀의 고정밀 크립보상 (High Accurate Creep Compensation of the Loadcell using the Strain Gauge)

  • 서해준;정행섭;류기주;조태원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4-44
    • /
    • 2012
  • 본 논문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식 로드셀(loadcell)의 대표적인 크립오차(creep error)에 대해서 디지털 신호처리방식을 사용한 실용적인 보상법(compensation method)을 제안한다. 신호의 보상방법은 로드셀의 출력응답을 실측해서 보상상수(시정수)와 보상계수를 결정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메모리에 보상상수와 보상계수를 저장한 후 중량값을 디지털로 표시할 시점에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처리한 크립에러 보상처리값을 로드셀의 출력신호에서 실측한 에러값과 서로 상쇠시키는 보상방법이다. 추가적으로 보상방법을 디지털전자저울에 직접 적용 시험하기 위해서 전용의 보상소프트웨어를 제작한 후 디지털전자저울의 크립특성을 실측해서 보상전 정격출력의 크립오차 0.03%의 로드셀을 정밀디지털전자저울의 허용오차 범위인 0.01%~0.001%이상으로 복잡한 연산처리 없이 정확하게 직접 보상처리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안했다.

전파강수계의 다중 고도각 자료를 이용한 면적 평균 강우 추정 기법 (Areal average rainfall estimation method using multiple elevation data of an electromagnetic wave rain gauge)

  • 임상훈;최정호;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417-425
    • /
    • 2020
  • 홍수와 같은 수문 재해를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강우량을 정확하게 추정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파강수계의 다중 고도 관측 데이터를 사용한 면적 평균 강우량 추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소형 전파강수시스템은 K 대역 이중 편파 기술을 사용하여 매우 짧은 거리를 관측하는 소형 레이더이다. 면적 평균 강우 추정 방법은 관측 거리와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관측 범위에서 강우 변동이 작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제안된 방법은 지상우량계 및 파시벨우적계와 같은 지상 장비와 비교하여 평가되었다. 비교 평가된 강우 사상들에 대해 전파강수계로부터 추정된 평균강우와 지상장비로부터 관측된 강우량이 잘 일치함을 보여준다.

국지 우량계 보정 방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 조정 (Adjustment of Radar Precipitation Estimation Based on the Local Gauge Correction Method)

  • 김광호;이규원;강동환;권병혁;한건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5-130
    • /
    • 2014
  • 우리나라에서 악기상으로 인한 재해 유발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방재 및 수자원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국지성 강한 강우에 대한 방재를 위해서는 강우량을 정량적으로 관측 및 예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추정 오차의 지구통계학적 유효반경을 LGC 방법에 적용하여 레이더 추정강우를 조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지구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의 실제오차에 대한 유효반경을 결정하였고, LGC 방법을 기반으로 여름철 집중호우 네 사례의 레이더 강우를 조정하였다. 여름철 집중호우 사례의 레이더 1시간 누적강우량과 총누적강우량의 오차는 조정 후 각각 약 40%와 60% 이상 개선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여름철 국지적으로 강한 강우 현상의 레이더강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적법 고진공표준기에 의해 교정한 스피닝 로터 게이지 불확도 평가 (Uncertainty Analysis of Spinning Rotor Gauge Calibrated by High Vacuum Standard of Static Expansion Method)

  • 홍승수;임인태;신용현;정광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6-194
    • /
    • 2005
  • 정적법 고진공 표준기를 이용하여 스피닝 로터 게이지를 $4.04\times10^{-3}$ $Pa\~1.11\times10^{-2}$Pa에서 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권고한 측정불확도 표현지침에 따라 불확도를 계산 및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기준압력 $7.5488\times10^{-3}$ Pa에서 교정된 SRG의 합성표준불확도는 $95\%$ 신뢰수준, 포함인자 k = 1에서 $3.0035\times10^{-5}$ Pa로 나타났다.

응력해석을 통한 회전체의 축정렬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otor axes arrangement method through the stress anaylsis)

  • 김경석;정현철;이시연;윤주호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5-360
    • /
    • 1995
  • In order to align the shaft, the dialgauge method has used as a means of solution until now. The method using a dialgauge require a great deal of labour and money due to making by hand, the accurate alignmentis not up to the expectation. For aligning the shaft, all the rotor must come to accord. It means that the moment of the point of coupling must keep being "Zero". The ideal measurement method as to material on the zero is used by straingauge which can gauge the moment at any point of the shaft. Also, the dialgauge method cannot be compared with straingauge measurement method, form the viewpoint, which can gauge in short time.hort time.

  • PDF

정밀 강설량계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igh Resolution Snow Gauge)

  • 이부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70-274
    • /
    • 2006
  • 본 연구에서 고안 설계한 적설 관측용 수위 센서는 야외에서 일 변화량은 0.1 mm 내외의 적은 양의 오차를 기록하여 강설관측 센서로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실내 검정 결과 기상청에서 요구하고 100 mm의 강수 검정범위에 대해서 1%이하의 신뢰성 있는 검정결과를 나타내어 강설량 관측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20^{\circ}C$의 테스트에서도 0.1 mm에 해당하는 아주 작은 변화 값을 타나내어 겨울철 야외환경에도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깔때기가 없으며 수수구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 새로운 강수 관측구조는 적은 양의 강설관측이 가능하여 겨울철 예보에 필요한 레이다. 영상과 위성 영상에 의한 강설 연구와 해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적설상당수량 관측이 가능하여 수자원 분야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부동액을 사용하므로 고체 상태의 강설에 대해서 직접 관측이 가능하여 강설 관측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고 있는 신적설 관측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추후 야외 관측용 모델을 제작하여 야외 환경에서 여타 장비들과 비교 실험을 통해서 성능을 검정하고 개선할 계획이다.

Ergonomic Design of the Gauge Cluster Display for Commercial Trucks

  • Kim, Taehun;Park, Jaekyu;Choe, Jaeho;Jung, Eui S.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64
    • /
    • 2015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the effective menu type to be placed in the center of a gauge cluster display for commercial trucks and to present a set of ergonomic designs for the gauge cluster display. Background: An effective ergonomic design is specifically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gauge cluster display for the commercial trucks, because more diverse and heavier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ruck drivers, compared to the information to passenger car drivers. Method: First, all the information that must be shown on the commercial truck display was collected. Then, the severity, frequency of use, and display design parameters were evaluated for those information by commercial truck drivers. Next,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attributes and the heuristic evaluation utilizing the display design principl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a design alternative of the main screen to be displayed was constructed by priority.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lternative and existing main screens was also conducted to see the efficacy of the designs. Last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for the selection of menu typ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driving simulator with an eye-tracking devic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the menu reflecting the commercial truck characteristics such as grid type, icon type, list type, and flow type. We measured preference, total execution time, the total duration of fixation on the gauge cluster area, and the total number of fixation on the gauge cluster area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Four types of driver convenience information and six types of driver assistance information were selected as the information to be placed primarily on the main screen of the gauge cluster. The Grid type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menu type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that appears on the main screen of the display, the division of the display and the design of the menu type for commercial truck drivers were suggested. Appli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guidelines on the ergonomic design of a gauge cluster display for commercial trucks.

전자처리 Speckle Pattern 간섭법에 의한 균열평판의 Strain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in Analysis of Cracked Plate by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 김경석;양승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382-1390
    • /
    • 1995
  • 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ESPI) with a CW laser, a video system and an image processor was utilized to measure the in-plane displacement. Unlike traditional strain gauges or Moire method. ESPI method measure the in-plane displacement on real time with out any surface preparation on surface attachment. The specimen has a crack of 10*0.1 mm in the middle of plate and strain gauge was also attached on that surface to compare with ESPI method. This study reveled the ESPI method to measure the displacement and distribution of strain in the specimen. It was shown in tensile tests that the measurement by ESPI method was comparable with strain gau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