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as Station

Search Result 4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LPG 저장탱크의 폭발에 대한 정량적 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Explosion of LPG Storage Tank)

  • 임사환;허용정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
    • /
    • 2013
  • LPG 충전소에서 발생하는 폭발의 피해를 Hopkinson의 삼승근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건물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프로빗 모델에 적용하여 피해예측을 평가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운용하는 20ton 저장탱크를 대상으로 누출량 10%를 프로빗 모델에 적용하여 계산하면 LPG 충전소에서의 안전거리는 각각 건물(손상)은 260m 이며, 인체(폐출혈 사망)는 30m이다.

LPG 충전소 내 설치된 방호벽의 효용성 평가 (An Availability Assessment of Protection Wall Installed in LPG Filling Station)

  • 이진한;조영도;문종삼;김래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45
    • /
    • 2018
  • LPG충전소 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고는 제트화재, 풀화재, 증기운 폭발로 구분된다. 방호벽을 충전소 내에 설치하면, 제트화재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복사열로 인한 피해를 경감할 수 있고 풀화재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풀의 확장을 제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증기운 폭발 시에는 증기운의 확산과 폭발과압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트화재, 풀화재, 증기운 폭발 등 LPG충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 시나리오별로 방호벽의 피해경감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LPG충전소 내 방호벽의 효과성에 대해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제트화재와 증기운 폭발 발생 시 방호벽 뒤에 위치한 수용체의 사망확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GIS를 활용한 대전시 주유소 입지와 판매권역 분석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sales area and the location of gas stations in Tae-jeon city)

  • 김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11-228
    • /
    • 2004
  • 본 연구는 대전시를 사례로 하여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과 판매권역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과 면접 조사, 그리고 GIS의 그리드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고수익 입지유형은 인구밀도와 1일 통행량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배후 상주인구와 통행인구가 많아 고수익이 예상되었고, 반면에 저수익 입지유형은 토지이용상 녹지와 개발제한구역 등으로 통행량도 낮아서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대전시 인구수에 기반하여 판매권역의 공간분포 패턴을 살펴본 결과, 주유소 판매권역의 크기는 인구밀도가 조밀한 중심지역에서 인구밀도가 낮은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확대되었다. 또한 인구수에 대비하여 주유소가 과다한 주유소 과밀지역과 과소 지역이 분포하는 불균형적 주유소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입지-배분모델을 적용한 결과 주유소 과밀 지역에서는 주유소의 수가 줄어들었고, 과소한 지역에서는 신규로 주유소가 입지하여 보다 균형적인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석유제품 유통기관별로 최소 배후지 규모를 만족시키면서 균형적 공간 분포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다차종 동시 충전을 위한 수소 스테이션의 안전 영향 평가 연구 (A Study on Safety Impact Assessment of a Multiple Hydrogen Refueling Station)

  • 김부승;한규진;홍승택;최영보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5-99
    • /
    • 2024
  • 수소전기차의 보급 확대가 빠르게 이루어지며 수소충전소의 모델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류별 수소 충전소의 안전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용·버스·트럭 등 다차종 동시 수소충전이 가능한 수소 스테이션의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정량적 위험성평가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Gexcon 사(社)의 Effects&Riskcurves Software를 활용하여 수소 누출에 따른 화재, 폭발 등의 시나리오를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복사 열, 폭발 과압에 의한 피해 영향 거리를 계산해냈으며, 주변 건물 및 인구에 미치는 위험도를 측정하였다. 피해 영향 거리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충전설비 및 고압 압축가스 설비의 화재 및 폭발이었으며 개인적 및 사회적 위험도에 가장 크게 기여한 설비는 고압 압축가스 설비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충전설비 및 압축가스 설비에 대한 안전거리를 보수적으로 책정하며 적절한 방호조치를 설치한다면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시 인적·물적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된다.

GPS를 이용한 가스설비 침하 감시 기술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the subsidence of the gas utilities using GPS techniques)

  • 조성호;전경수;박필호;박종욱;조정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3-61
    • /
    • 1999
  • 가스설비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여러 요소들 중의 하나는 지반 침하 현상이다. 지반 침하는 천연가스 공급배관 뿐 아니라 인수기지 및 공급관리소 등 당 공사 전 설비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하를 감시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적용코자 하였다. GPS기술을 당 설비에 적용하기 전에 GPS의 정밀도와 현장적용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모의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변위측정 능력 및 정밀도를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 mm급의 3차원 변위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한국가스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스공급관리소 중 침하가 우려되는 2곳에 GPS 설비를 설치하여 수개월간 배관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연간 수 mm의 움직임이 있음을 확인하져다. 실험결과로 부터 GPS 시스템이 가스설비의 침하 및 변형감시 현장 업무에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대기압이 가스유량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Gas Flow Measurement)

  • 정종태;하영철;이철구;허재영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2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363-369
    • /
    • 2002
  • Orifice meter is the most widely used flowmeter in custody transfer between KOGAS and city gas companies. Absolute pressure value is needed to calculate the gas flow of orifice metering system, but the gauge pressure transmitters are mainly used in the field. In case that the gauge pressure transmitters are used, the fixed value as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101.325kPa) is applied for the absolute pressure value. The real, local atmospheric pressures of each metering station a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condition as the altitude and weather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flow calculation error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examining the atmospheric pressures of 50 stations of KOGAS. The data for analysis are such like the time data of supplied gas amount, the altitude of each metering station, the time data of atmospheric pressures and altitudes of each weather observat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atmospheric pressures we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value and the gas flow calculation errors were distributed between $-0.024\%{\~}0.025\%$ based on the supplied gas amount in the year 1999 and 2000.

  • PDF

K-PSR을 이용한 LNG 충진소에 대한 정성적 위험성평가 (Qualitative Hazard Analysis for LNG Gas Stations Using K-PSR Method)

  • 고재욱;이재민;유진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3-69
    • /
    • 2006
  • 대기오염의 저감을 위한 천연가스자동차의 보급으로 LNG 및 CNG 충전소의 보급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1998년 부천 LPG 충전소의 화재 폭발사고와 같은 대형가스사고 때문에 충전소의 설치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NG/LNG 복합충전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현장방문을 통하여 정성적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고, 위험성감소방안(권고사항)을 제시하였다. K-PSR을 이용한 정성적 위험성평가 수행결과 누출에 의한 잠재위험성이 가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탱크로리에서 LNG 저장탱크로의 하역작업 중 LNG의 누출에 의한 위험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수소모빌리티 인프라 확대를 위한 수소충전소 사전컨설팅 제도 효과 분석 (Effect Analysis of the Pre-Consulting System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for Expanding the Hydrogen Mobility Infrastructure)

  • 이만욱;김성규;탁송수;김대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5-91
    • /
    • 2021
  • 정부는 2019년 1월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수소자동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산업생태계 구축 전략을 세웠다. 그 일환으로 2022년 310개소, 2040년 1,200개소의 수소충전소 보급목표를 수립하였다. 이에 발맞춰 2021년 2월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속도감 있는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해 시공단계에서 안전기준에 따른 다양한 현장 문제 발생으로 인한 시공지연을 사전해소하기 위한 수소충전소 사전컨설팅 제도를 운영하게 된다. 본 논문은 사전컨설팅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통한 액화수소충전소 안전성 고찰 (A Study on the Safety of Liquefied Hydrogen Refueling Station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 박우일;강승규;이인우;양윤영;유철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6-122
    • /
    • 2023
  • 본 연구는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 추진 중인 국제사회(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수소경제 동향 분석과 더불어, 국민과 밀접한 핵심 수소 사용시설인 기존 구축·운영 중인 기체수소충전소와 향후 구축 예정인 액화수소충전소의 유형별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정량적 위험성평가 프로그램인 SAFETI를 활용하여 액화수소충전소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조건부 허용영역인 개인적·사회적 위험도와 설비별 위험도 순위를 고려하여 설비 배치 등의 안전성 제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천연가스 유량변화에 따른 터보팽창기 감압시스템 운전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al Optimization of Turbo-Expander Pressure Reduction System to the Natural Gas Flow Rates)

  • 유한빛;김효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2-79
    • /
    • 2015
  • 천연가스 감압기지에 터보팽창기 감압시스템을 도입하여 천연가스의 감압과정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터보팽창기의 효율은 천연가스의 유량과 터보팽창기 설계유량의 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터보팽창기로 들어가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감압시스템을 운전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곳의 저압 정압기지에서 천연가스의 압력이 17.5 bar에서 8.5 bar로 감압될 때 천연가스의 유량에 따라 생산 가능한 전력을 계산하고 계산결과의 비교를 통해 터보팽창기 감압시스템이 최적으로 운전되기 위한 조건을 찾았다. 천연가스의 평균 유량이 크고 유량의 변화가 작을 때 터보팽창기가 효율적으로 운전되었고 터보팽창기의 설계유량은 천연가스의 유량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용량에서 결정되었다. 선정된 두 정압기지에서 회수 가능한 전력생산량은 9 MW(B 기지), 12 MW(D 기지)로 추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