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cultivar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Sclerotirum cepivorum에 대한 마늘 재배종의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to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왕휴;이두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4-597
    • /
    • 1998
  • The optimal quantity of inoculum was determined to screen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against Sclerotium cepivorum and 30 cultivars was tes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 in detached roots, Disease incidence was increased when the inoculum density was raised form 10 to 100 sclerotia. The optimal inoculum density to differentiate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of garlic cultivars was seemed to be 50 sclerotia. The cultivars collected from England, Japan, Nepal and Turkey, and cultivars such as common red, PI1356104 and PI135693 were less than the other cultivars in their disease incidence. The growth of S. cepivorum in detached roots varied from 23 to 33 mm according to garlic cultivar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 incidence and the growth in detached roots. The sclerotial germin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root extract was extract was added. The addition of only distilled water resulted in 13% germination, but the addition of 0.25 g of root extract in 100 ml distilled water resulted in more than 85% ger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imulation of sclerotial germination among cultivars which showed different resistance.

  • PDF

한국과 몽고 일부 재배마늘의 유전적 변이와 재배종 특이적 RAPD 마커의 탐색 (Genetic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RAPD Markers from Some Garlic Cultivars in Korea and Mongolia)

  • 배성국;정은아;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58-464
    • /
    • 2010
  • 국내외에서 재배되는 12종의 마늘을 수집하여 총 143개의 임의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55개의 primer로부터 종간에 다형성을 보이는 DNA밴드가 나타났다. RAPD에 의해 다형성을 보인 55개의 primer에서 확인된 총 DNA 밴드 수는 187개였으며, 그 중 128개(68.5%)가 12종의 마늘 지방종간에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PCR에서 다형성을 보인 DNA 밴드를 대상으로 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가 0.71이상에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졌는데, 제1그룹은 의성, 서산, 삼척, 예천-A, 예천-B종, 의성노랑, 정선, 남도, 단양 및 육백종 등으로 대서종을 제외한 한국의 재배종이 모두 포함되었으며, 제2그룹과 제3그룹은 각각 몽골종과 대서종 단독으로 나누어졌다. 종 특이적으로 DNA밴드를 나타내는 primer를 분석한 결과 21개 primer에서 30개의 DNA밴드가 어느 특정의 지방종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지방종 마늘 10종을 구분할 수 있는 30개의 RAPD 마커가 확인되었다.

국내외 재배종 마늘의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 of Amino Acids in Domestic and Foreign Garlic Cultivars)

  • 권순태;전익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5-42
    • /
    • 2014
  • 국내외에서 재배되는 12종의 마늘을 수집하여 인편과 캘러스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재배종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아르기닌과 아스파라긴은 인편과 캘러스에 함유된 총 아미노산 함량의 78%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글루탐산, 라이신, 아스파르트산, 발린, 글리신, 히스티딘 및 오르니틴 순으로 많았다. 12개의 재배종 마늘의 인편의 아미노산 구성으로 볼 때 마늘 재배종은 3개의 주요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그룹에는 단양종, 의성종, 서산종, 제주종, 몽골종 및 터키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남도종, 중국종, 맥시코종, 네팔종이 포함되어 있고, 세 번째 그룹에는 필리핀종과 대서종이 포함되어 있다. 캘러스의 아미노산 구성으로 볼 때, 첫 번째 그룹에는 몽골종, 의성종, 단양종 및 서산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제주종, 대서종, 중국종 및 남도종이 포함되어 있고, 세 번째 그룹에는 네팔종, 맥시코종, 필리핀 및 터키종 종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마늘의 인편과 캘러스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조성은 한지형 재배마늘을 구분하는데 뚜렷한 기준을 제시해 주었다. 특히 캘러스에 함유된 아미노산함량 조성은 인편에 함량조성보다 한지형과 난지형을 구분하는데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 주었다.

RAPD에 의한 마늘의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 among Garlic Cultivars Based on RAPD Analysis)

  • 권순태;오세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71-676
    • /
    • 1999
  • 국내에서 재배되는 7종의 마늘과 오국종인 헝가리종 및 중국 산동종을 수집하여 총 70종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요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32개의 primer에서 종간에 다형성(polymorphism)을 보이는 DNA벤드를 확인하였다. PCR에 의해 증폭된 DNA밴드 수는 151개였으며 그 중 125개의 밴드가 수집종 간에 다형성을 보였다. 다형성을 보인 밴드를 대상으로 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전적 거리가 0.271인 값에서 9종의 수집마늘은 두 개의 group으로 나누어 졌는데, Group I은 창녕종과 헝가리종 이었고 Group II는 남도, 산동, 예천, 의성, 정선, 영월 및 단양종으로 분류되었다. 마늘의 주요 생태형인 난지형과 한지형은 유전적 거리가 0.200값을 전후하여 나누어 졌다. 각각의 primer로부터 나타난 밴드들은 지방종 간에 특이성을 보이는 것이 다수 존재하여 외국종과 국내종 마늘이나 국내종 간의 종을 구분하는 표식이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마늘유래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변이 분석 (Genetic Variation of Cytochrome P450 Genes in Garlic Cultivars)

  • 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4-590
    • /
    • 2011
  • 의성종 마늘의 유묘로부터 상처(wound)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ytochrome P450 유전자군의 하나인 P450-Esg cDNA를 탐색하였다. P450-Esg는 1,419 bp의 open reading frame(ORF)을 가지고 473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polypeptide를 코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와 몽골로부터 수집한 12개의 재배종으로 부터 P450-Esg 유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시작코돈(ATG)에서 472~510 bp 및 1,210~1,240 bp 부위의 염기에서 재배종간에 차이를 보이는 염기서열을 다수 확인하였다. cDNA 1,210~1,240 bp의 부위는 P450 유전자에서 공통적으로 알려진 heme binding domain으로, 각 지역에서 수집된 재배종은 염기서열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도 특이적인 변이를 보였다. cDNA 472~510 bp 부위에서 코딩하는 13개 아미노산의 서열은 12개 재배종에서 모두 동일하였으나, 13개 아미노산 중 7개에서 재배종 마다 각각 다른 DNA 염기로 코딩하는 단일 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을 보이는 서열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다양하게 존재하는 국내외 마늘 재배종을 구분하는 marker로 사용될 것이며, 외국산 마늘에 대한 유전적 우선권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

남부지방 마늘 녹병의 발생 현황 (Occurrence of Garlic Rust in Southern Regions of Korea)

  • 이동현;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21-124
    • /
    • 2003
  • 1998년과 1999년 2년 동안 전남 고흥군과 경남 남해군의 주요 마늘 재배지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마늘 품종인 대서마늘과 남도마늘에 발생한 녹병의 발병 현황을 조사하였다. 마늘 녹병의 발병도는 최저 1.2에서 최고 85.8까지 조사년도와 품종에 따라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1999년에 비해 1998년에 녹병 발병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1998년 마늘 생육기에 잦은 강우와 습도가 현저하게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대서마늘에서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였지만 남도마늘에서는 발생이 낮아 마늘 품종에 따라 녹병에 대한 감수성 또는 저항성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녹병 발병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한 수량 감소를 나타내어 녹병이 마늘 재배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늘추출액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Garlic Extracts on Some Plant Pathogens)

  • 서상태;이중섭;박종한;한경숙;장한익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49-352
    • /
    • 2004
  • 4품종(남도마늘, 고흥마늘, 단양마늘, 중국산 수입마늘)의 마늘추출액의 식물병원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실험에서 마늘추출액은 그람양성세균, 그람음성세균, 진균 모두에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4품종의 마늘추출액 중 남도마늘과 중국산 수입마늘이 보다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람양성세균인 Clavibacter michiganensis가 마늘추출액에 가장 민감하였으며, Burkholderia cepacia가 가장 저항성이 컸다. 마늘추출액을 이용한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항균효과 포장실험에서는 59.7${\sim}$61.9%의 방제가를 보여주었다.

국내 재배마늘의 Cytochrome P450 유전자의 염기다형성 분포 (Nucleotide Polymorphisms of Cytochrome P450 Genes in Domestic Garlic Cultivars)

  • 권순태;정진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31-537
    • /
    • 2018
  • 국내 재배종 마늘을 대상으로 상처(wound) 처리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yt. P450 cDNA (ORF 1,419 bp) 중 1,210~1,240 bp 사이에 존재하는 heme-binding domain (HB-domain)의 염기서열 다형성을 바탕으로 국내산 재배마늘의 HB-domain의 다형성 분포를 조사하였다. 국내 재배마늘에서 7개의 각각 다른 염기서열을 가진 HB-domain 마커를 탐색하였고, 전국 6개 지역의 재배농가에서 임의로 수집한 120개 마늘의 마커 종류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경북, 충남, 충북, 강원지역에서 재배되는 한지형 마늘은 아미노산서열 FGGGRRICPG, DNA서열 5'-TTT/GGC/GGT/GGA/CGG/AGA/ATA/TGT/CCT/GGA-3'인 KP2형의 HB-domain을 가진 재배종이 51.3%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KP1형 13.7%, CP형 11.3%, CM형 8.8%, KW2형 5% 및 기타 1.3%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재배지에서 수집한 난지형 마늘은 아미노산서열 FGAGRRICPG, DNA서열 '5-TTT/GGC/GCA/GGA/CGG/AGA/ATT/TGT/CCT/GGA-3'인 KM형이 52.5%로 가장 많았고, KP2형 22.5%, KW2형 5%, KP1 및 CP형이 각각 2.5%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M형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에 재배되는 마늘은 유전적으로 상당히 혼재된 상태로 존재하며,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유전적 특징을 가진 재배종을 단정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배양에 의한 씨마늘의 상업적 생산 (Commercial Production of Seed Garlic by Tissue Culture Technique)

  • 남상일;박주현;최종인;권기석;엄정식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40
    • /
    • 2002
  • We, Tong Yang Moolsan Co. Ltd. (TYM) set up the mass-production system for virus-free seed garlic via tissue culture technique. TYM's tissue culture technique is called as 'Multiple shoot propagation technique'. This technique can lead mass propagation of genetically homogeneous seed garlic in a short period because of its highly proliferation rate of in vitro shoots ($15^{10}$ /year). TYM researchers applied the technique to some selected garlic cultivars with superior characteristics and carried out field test of productivity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for several years. According to the yearly results of field test with virus-free seed garlic, we ascertained that virus-free seed garlic can produce the highly yield increase (max. above $50\%$) and also can enhance the product quality. Consequently, we estimated that TYM's seed garlic will contribute to farmers with increase of income and can elevate the national position of garlic market in the world for its competitive power of technical and production cost.

  • PDF

품종별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균활성 (Physiochem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Cultivar)

  • 정우재;강민정;윤환식;성낙주;신정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91-100
    • /
    • 2012
  • 국내 마늘의 품종과 관련한 연구는 산지에 따른 비교로 한정되어 있어 마늘의 성분 및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품종별 마늘 시료 12종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품종별 마늘의 구폭은 캘리포니아 만생종(60.44mm, 53.73g)이 가장 크고 무거웠으며, 창녕종(44.04mm, 25.15g)이 가장 작고 가벼웠다. 품종별 마늘의 표면색 중 L값은 84.13~90.56, a값은 -1.10~0.77, b값은 18.24~26.61의 범위였다. 전단가는 캘리포니아 조생종이 가장 낮았으며, 94-12-2종은 $4211.35cm/kg^2$ 으로 타 시료에 비하여 전단가가 가장 높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6.40~11.33 %brix의 범위였는데, 창녕종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품종별 마늘의 pH는 5.57~6.53의 범위였다. 총 thiosulfinate 함량은 이태리종이 93.23 mM/g로 가장 낮았고, 캘리포니아 만생종이 146.05 mM/g로 가장 높았다. 총 pyruvate 함량은 유고종($162.50{\mu}M/g$)에서 가장 높았고, 캘리포니아 조생종($147.41{\mu}M/g$)에서 가장 낮았다. 품종 별 마늘의 추출물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eptococcus mutans균에서 활성이 가장 낮았으며, Escherichia coli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