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gwon-Do

검색결과 1,172건 처리시간 0.023초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동향 (Occurrence Trends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in Korea)

  • 이인용;박중수;서영호;김은정;이순계;조승현;권오도;김상국;정완규;박태선;김창석;이정란;문병철;강충길;박재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1-126
    • /
    • 2012
  •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발생면적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전국 8개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조사하였다. 8개 도 농업기술원에서 2011년 8월에 논토양을 채취하여 피라조설퓨론에틸 피리미노박메틸입제를 30kg $ha^{-1}$ 처리하여 설포닐우레아(SU)계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의 발생면적을 추산하였다. 전국 벼 재배면적(유기 및 친환경농업 벼 재배면적 제외)의 20.9%인 167,081ha에서 SU계 저항성 논잡초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08년과 대비하여 본 결과 60,130ha가 늘어났다. 발생비율을 보면, 충청남도가 논 면적의 47.6%로 제일 많이 발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전라남도로 36.9%, 충청북도 25.7%, 강원도 20.3%, 경기도 13.0% 순이었다.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중 발생면적이 가장 넓은 초종은 물달개비로서 65,313ha로 전체 39.1%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순이었다. 이들 3초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생하여 제일 문제되는 잡초들이다. 그리고 미국외풀 13,964ha(8.4%), 강피 5.1%이었다.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Study On the Geographic Locations of Gugoks and Dongcheons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 강기래;이해주;김희채;이현채;김동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7-75
    • /
    • 2017
  • 유교의 사상적 완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곡(九曲)과 동천(洞天)의 문화는 조선시대에 널리 성행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학주자(學朱子), 존주자(尊朱子)의 기치 아래 자연 속에서의 심신수양을 통한 주자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진리의 체득을 위한 과정에 있다는 자기 위안의 행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지의 표출로서 각 지역의 경치가 좋은 곳에 주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모방한 '구곡'과 이상향을 나타내는 '동천'을 설정하고 경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구곡 동천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학계에 보고된 우리나라 전체 구곡은 약 60여 개소에 이르며, 동천은 이보다 더 많지만 정확한 위치나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강원도에 산재하고 있는 구곡 동천에 대한 위치확인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곡과 동천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선행연구와 보고서, 인터넷 검색과 각 지역 문화원의 발간 서적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각 지역에 실재하는지에 대한 답사를 진행하였고, 위치정보를 획득하였다. 이 외에 상상 속의 구곡 동천이나 멸실된 곳, 출입이 불가능한 지역 등을 정리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강원도의 구곡은 8개소로 파악되었다. 이 중 그 위치나 기록 등이 비교적 명확한 곳이 곡운구곡과 옥계구곡이다. 벽계구곡과 수회구곡은 서로 위치나 명칭이 서로 겹치기도 하고, 설정한 시기나 경영자가 명확하지 않다. 서울의 우이구곡은 홍양호가 설정하였으나 그 위치가 일부는 확인되고 일부는 위치의 논란이 있으며, 일부는 훼손되어 있다. 서울 경기도와 강원도의 동천은 모두 38개소로 파악되었다. 서울지역에 위치한 동천은 16개소이다. 이 중 실제 존재하지만 출입이 금지된 곳은 도화동천과 양산동천, 쌍류동천 등이다. 경기도 지역의 동천은 13개소이며 온수동천은 개발로 인해 그 위치를 알 수 없으며, 귀래동천은 기록만 있고 실제로 확인은 불가한 곳이다. 강원도 지역의 동천은 9개소이다. 화음동천은 곡운구곡의 상류에 위치한 화음동정사지(華陰洞精舍址)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커뮤니티 비지니스 지정 현황과 발전방안 제언 - 강원도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Growth Plan and the existing designed Community Businesses in Gangwon-do - Social businesses and town businesses in Gangwon-do -)

  • 배중남;박노국;지경배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75-82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자립화와 지속화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티비지니스의 개념을 정립 후,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지정현황을 파악하고,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사업내용과 사업추진형태를 분석 후, 일본의 100년 이상의 기업 가게의 지속요인을 분석하여 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의 지속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강원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는 예비사회적기업 86개, 마을기업 62개, 사회적기업 38개, 계186개가 지정 운영되고 있다. 예비적사회기업과 사회적 기업은 도시지역에 많이 지정되어 있고 사업내용은 제조와 교육부문이 많고 기업의 추진형태는 주식회사와 유한회사가 많았다. 반면, 마을기업은 군지역에 지정이 많고 사업내용은 농식품과 문화부분이 많으며 사업추진주체가 영농법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차이를 알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비지니스 사업추진주체가 임의단체인 기업이 총 38개 기업으로 전체의 20.4%로 영농법인수까지 고려하면 기업경영 전문성의 부족을 보안할 필요를 알 수 있었다. 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가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진사례분석으로 부터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좋은 재료의 확보, 제품 품질의 향상과 유지를 위한 기술력, 기업의 전통유지와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면서 기업을 유지할 수 있는 인력 양성으로 정리 할 수 있었다. 이는 도내 커뮤니티비지니스가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질 좋은 재료를 확보하고 품질 향상과 유지를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며, 또 기업 경영 주체의 경영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계와 기업, 기업과 행정, 기업과 기업이 연계하여 지역사회의 지원 운영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Production in Korea

  • Ryu, So Young;Lee, Sang Yoo;Woo, So Young;Kang, Seung Yoon;Song, Jeonghun;Jeong, A-Yeong;Chun, Hyang Sook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0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production. Nine hundred forty-three responses were obtained using a nationwide, questionnaire-based survey (2018-2019) with non-probabilistic snowballing sampling.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pondents were primarily over the age of 50 years (97.1%) and female (97.9%). In addition to soybeans, the most used ingredients were red pepper (85.8%) and charcoal (85.5%), which most respondents obtained through direct farming (50.4-59.9%). Seasonal production occurred later in the higher latitude regions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do) (p < 0.01), which have lower average temperatures, and the fermentation period was shorter in the lower latitude regions (Jeolla-do, Gyeongsang-do, Jeju-do) (p < 0.01), which have higher average tempera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eason when doenjang was made, with most production occurring during January and February (81.1%). Most respondents (71.3%) made doenjang using homemade meju (soybean block used as a starter) in a traditional way to allow the microorganisms to be naturally inoculat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opics such as starter development, standardized production, and safety of household doenjang.

Infection status of pond smelts, Hypomesus olidus, and other freshwater fishe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6 large lakes

  • Cho Shin-Hyeong;Sohn Woon-Mok;Shin Sung-Shik;Song Hyeon-Je;Choi Taek-Gyun;Oh Chang-Mi;Kong Yoon;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243-246
    • /
    • 2006
  • In order to determine the current infection status of pond smelts, Hypomesus olidus, and other freshwater fishe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a total of 4,861 pond smelts and 18 other freshwater fishes, collected from the Soyang and Uiam Lakes in Gangwon-do, the Unam Lake in Jeollabuk-do, the Jangseong Lake in Jeollanam-do, the Uirim-ji (lake) in Chungcheongbuk-do, and the Andong Lake in Gyeongsangbuk-do, were individually digested with 1 % pepsin-HCI and examined under a dissecting microscope. In all pond smelts caught from the 6 lakes, we were unable to detect any known human infectious trematode metacercariae in Korea. However, in other freshwater fishes, such a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Unam Lake), and Zacco platypus (Jangseong Lake) and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Jangseong Lake), metacercariae of human-infecting trematodes, i.e., Clonorchis sinensis and Metagonimus sp. were detected, respectively.

접근성을 이용한 농촌지역 유아보육환경의 공간적 특성 분석 (Analysis on Spatial Pattern of Child Care Environment in Rural Area using Accessibility)

  • 전정배;박미정;최진아;임창수;김은자
    • 농촌계획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18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 capita accessibility to child care facilities using road map in rural village unit considering the supply and demand of child care facilities in municipal (Si-Gun) units. Using these estimated accessibility, the most accessible regions to child care facilities was identifies using Moran's index. Assuming establish a new child care facility in the most accessible region, the sensitivity of child care environment was analyzed. The number of regions are 71 si-gun-gu where supply of child care facilities is insufficient. The average accessibility per capita is 1.09 km to child care facilities and the average accessibility in Myeon unit is approximately 2.2 times higher than accessibility in Eup unit (Eup unit 0.54 km, Myeon unit 1.21 km). Approach tendency from village to child care facilities has positive relationship as 0.451 global Moran's index. The high-high (H-H) accessibility regions are wide as Gangwon-do,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nam-do and Chungcheongbuk-do. Assumed to be established the new child care facilities in Yangyang-gun (Ganwon-do), accessibility changes of child care environment are up to 2.7 times greater and the recipient population is 77% of Yangyang-gun.

농약물질 중 살충제 관련 농업 종사자들의 직무-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III) : 과일류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ing Job-Exposure Matrix (JEM) of Farmer Related to Insecticide of Pesticide (III) : Fruit)

  • 최정학;김기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fruit cultivation to suggest job-exposure matrix(JEM) regarding farmers treating agricultural insecticide. Materials and Methods: Th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fruit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wo research methods. The former method is to use agricultural pesticides published annually from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and the latter method is to apply cultivation area of fruit provided officially from Statistics Korea(SK). Results: It was found that its domestic usage amount has decreased gradually from the first sale to presence(2012).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nnual usage trend of insecticide for fruit cultivation between shipments and estimation. The annual usage trends of insecticide for fruit cultivation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total aspect. Conclusions: The region which used insecticide for fruit cultivation the most in Korea was as follows: Gyeonsang-do, followed by Jeolla-do, Chungcheong-do, Jeju-do, Seoul/Gyeonggi-do and Gangwon-do. An averaged ratio of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based on shipments and those based on estimation by cultivation area was $980{\pm}186%$, which means that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estimated by shipments are ten times higher than those based on cultivation area.

고속버스, 승용차 O/D를 활용한 지방도시권의 교통네트워크 분석 (An Analysis on Traffic Networks of Local Metropolitan area Based on Express Bus and Car O/D)

  • 장환영;김남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59-56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교통연계성에 따른 각 권역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국토공간 구조상에서 발생하는 지역 간 흐름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향후 권역별 발전방향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교통DB센터에서 제공하는 2010년 전국 고속버스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단위의 교통 연계성을 먼저 살펴보고, 그 이후, 2010년 승용차 O/D 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도, 서울특별시 등 총 7개 권역(125개 시군+서울특별시)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권역 내 교통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수도권과 전라권, 경상권을 중심으로 하는 교통연계성이 강하게 나타남과 동시에 각 권역별로 내 외부 연계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는 곧 권역마다 차별적인 발전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근거를 시사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계성 분석결과와 더불어 대표적인 지역진단지표인 성장잠재력과 결합한 권역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토공간의 균형적 발전과 각 권역별 맞춤형 정책개발 및 발전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for Agricultural Irrigation in Plastic Film House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김진호;최철만;이종식;윤순강;이정택;조광래;임수정;최승출;이경자;권의석;경기천;엄미정;김희권;이유석;김찬용;이성태;류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유역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업용 지하수의 수질 경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서 이용하고자 하였고, 또한 이들 결과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을 이용하는 등 다각적인 방법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수질분석 결과, 일부 지점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농도가 높은 경우는 있었지만, 평균 농도로 볼 때, 농업용수 수질기준에 적합하였고, 농작물에 대한 피해가 없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는 영농활동 전인 4월과 영농활동기인 7월에는 EC와 $Mg^{2+}$가 각각 0.810(p<0.01), 0.776(p<0.01)으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EC와 양이온간에는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고, 영농활동후인 10월은 $NO_3-N$과 T-N이 0.794(p<0.01)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4월과의 상관성 차이가 뚜렷하여 같은 건조기라 할지라도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설재배지의 지하수 수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건조기인 4월과 10월에는 4개의 인자가 각각 64.9%, 60.2%의 누적기여율로 추출되었고, 7월의 경우는 5개의 인자가 70.7%로 추출되었는데, 주인자인 제1인자에 속하는 수질항목들이 시기별로 모두 EC, $Ca^{2+},\;Mg^{2+},\;Cl^-,\;{SO_4}^{2-}$와 같은 양이온 및 음이온들이었으므로 시설재배지에서의 지하수 수질은 이들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인자점수를 이용한 군집분석 결과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들 중 $COD_{Mn}$의 농도가 높고, 평균적인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의 경향을 보이는 149개 지점의 A그룹은 우리나라에서의 일반적인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H와 $PO_4-P$가 높은 41개 지점의 B그룹, 양이온, 음이온, EC가 높은 경향으로 특히 $NH_3-N,\;NO_3-N$, T-N이 높은 16개 지점의 C그룹, 그리고 $COD_{Cr}$이 높은5개 지점의 D그룹으로 분류되어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 특성은 각각 그룹별로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Nursing and Future Career)

  • 방경숙;전명희;김현숙;손행미;강정희;유수정;권미경;김지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31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nursing and future career according to school years and gender. Method: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October to December, 2007. Participants were 279 second year and 250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do, Jeonla-do, and Gyeongsang-do. Result: 1) The senior showed higher scores in 'a job with plenty of spare time', and 'good possibilities to be promoted' than the sophomore. Otherwise the senior students showed lower score in 'possibilities for part-time working' than the sophomore. 2) The senior showed higher scores in 'cooperative relationship', 'physical health', and 'contribution to nursing' than the sophomore. But in 'nursing skill', the senior showed lower score than the sophomor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nting department, wanting graduate school, and major obstacles for the longer working between the sophomore and senior. 4) Male students were lower academic performance than femal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 job with social reputation', and 'contribution to nursing' by gend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it's important that nursing educators make nursing students improve their job professionalism and guide nursing students' future career in view of students' gender and school y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