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C_2S$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36초

가계의 세탁기사용방식과 사용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and Extent of Washer Use in Household)

  • 김선미;이기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7권2호
    • /
    • pp.95-107
    • /
    • 1989
  • In this study one aspect of consumer behavior in household equipment utilization was investigated the pattern, frequency, rate of washer use and their relation to the following factors a) Washer related factors : extent of the presence of desired characteristics, the evaluation of washer's intrinsic features and related household facilities. b) Psycho-social factors : attitude of energy conservation, preference & ability to wash by hand, standard of washing of the respondent homemaker. c) Socio-demographic factors : age,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status of homemaker, house-hold income, the presence of children under seven years, size of family, the presence of a paid hel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6 homemakers with washer in Seoul.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fuequency, one-way ANOVA, Gamma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of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1) The pattern, frequency, rate of washe use appeared various in every household. 2) Extent of the presence of desired characteristics was very low and respondents evaluated their washer's intrinsic features moderate. 3) The pattern of washer use was affected by the evaluation of washer's intrinsic features, preference & ability to wash by hand, wife's employment and household income. The frequency of washer use was affected by family size and preference & ability to wash by hand. The rate of washer use was affected by extent of the presence of desired characteristics, the evaluation of washer's intrinsic features and preference & ability to wash by hand. Therefore, washing by hand is major substitute for washer. If more desired characteristics are added to washer, intrinsic features are improved, and maintenance costs are reduced or household income is raised, every houshold with washer will use washer more than washing by hand in washing ask so that it may gain more utility from washer.

  • PDF

고수확답(高收穫畓)과 저수확답(低收穫畓)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 비교(比較)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High and Low Productive Paddy Soil)

  • 오왕근;박영선;정동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1
    • /
    • 1968
  •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 pH, Eh, $Fe^{+{+}}$, 및 $NH_4{^{-N}}$의 변화(變化)가 고수확답(高收穫畓) 토양(土壤)과 저수확답(低收穫畓) 토양간(土壤間)에 어떠한 차이(差異)로 변화(變化)하는가를 알기 위(爲)하여 2개(個) 종류(種類)의 토양(土壤)에 일정량(一定量)의 증류수(蒸溜水)를 넣어 $30{\pm}2^{\circ}C$로 항온(恒溫)하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조사(調査)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pH는 양토양(兩土壤) 공(共)히 항온(恒溫) 13일(日) 까지는 계속(繼續) 상승(上昇)하다가 그 후(後)는 거의 평형(平衡)을 유지(維持)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토양간(土壤間)의 차(差)는 고수확답(高收穫畓) 토양(土壤)이 pH 0.25~0.30 정도(程度) 높았다. 2. Eh는 양토양(兩土壤) 공(共)히 항온(恒溫) 10일(日) 까지는 계속(繼續) 하강(下降)하다가 그 후(後)는 거의 평형(平衡)을 유지(維持)하였는데 토양간(土壤間)의 차(差)는 고수확답(高收穫畓) 토양(土壤)이 $Eh_6$ 50~70mv 정도(程度) 낮았다. 3. $Fe^{+{+}}$는 양토양(兩土壤) 공(共)히 항온(恒溫) 4~5 일(日) 사이에 급격(急激)한 상승(上昇)을 보였다가 그 후(後)는 거의 평형(平衡)을 유지(維持)하였다. 토양간(土壤間)에는 고수확답(高收穫畓) 토양(土壤)이 약(約) 1.0mg/gr soil 정도(程度) 높았다. 4. $NH_4{^{-N}}$는 항온(恒溫) 초기(初期)는 급상승(急上昇)하였다가 하강후(下降後)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으로 유지(維持)해 가는데 토양간(土壤間)에는 고수확답(高收穫畓) 토양(土壤)이 초기(初期)에는 $20{\sim}25{\gamma}/1\;gr$ 정도(程度) 높고 후기(後期)에는 $10{\sim}15{\gamma}/1\;gr$ 정도(程度) 낮았다.

  • PDF

SCNN1A 유전자 변이로 발생한 상염색체 열성 가성 저 알도스테론증 1형 1례 (A Case of Autosomal Recessive Pseudohypoaldosteronism Type 1 with a Novel Mutation in the SCNN1A Gene)

  • 김수연;이주훈;정해일;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137-142
    • /
    • 2013
  • 전신형 PHA 1은 ENaC의 ${\alpha}$ (SCNN1A), ${\beta}$ (SCNN1B), ${\gamma}$ (SCNN1G) 아단위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변이로 경상피나트륨 수송의 결함으로 발생하게 되며 신생아기에 생명을 위협하는 염분 소실,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신장 뿐 아니라 대장, 침샘, 땀샘 및 호흡기상피 등의 다양한 표적 기간에서 전신적으로 알도스테론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난다. 최근 전신형 PHA 1의 임상상과 유전자형 및 이환된 환아들의 장기 추적 결과에 대한 보고가 되고 있으나 질환의 희소성으로 임상 표현형을 설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저자들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전해질 이상을 보인 환아에서 PHA를 의심하여 염분 및 양이온 교환수지를 투여하여 효과적으로 전해질 교정이 되어 추적관찰 중이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missense mutation을 나타낸 전신형 PHA1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Chloroform Fraction of Carpinus tschonoskii Leaves Inhibit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HaCaT Keratinocytes and RAW264.7 Macrophages

  • Kang, Gyeoung-Jin;Kang, Na-Jin;Han, Sang-Chul;Koo, Dong-Hwan;Kang, Hee-Kyoung;Yoo, Byoung-Sam;Yoo, Eun-Soo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55-262
    • /
    • 2012
  • Inflammation is the immune system's response to infection and injury-related disorders, and is related to pro-inflammatory factors (NO, $PGE_2$, cytokines, etc.) produced by inflammatory cells. Atopic dermatitis (AD) is a representative inflammatory skin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serum levels of inflammatory chemokines, including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 Carpinus tschonoskii is a member of the genus Carpinus.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 tschonoskii by studying the effect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prepared from its leaves on inflammatory mediators in HaCaT and RAW264.7 cells. We found that the chloroform fraction of C. tschonoskii inhibited MDC at both the protein and mRNA levels in HaCaT cells, acting via the inhibition of STAT1 in the IFN-${\gamma}$ signaling pathway. In addition, the chloroform fraction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factors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stimulation, except COX-2 and TNF-${\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loroform fraction of C. tschonoskii leaves may include a component with potential anti-inflammatory activity.

Acyclovir저항성 Herpes Simplex Virus의 복제, DNA합성 및 형질 발현에 미치는 Ganciclovir 및 Vidarabine의 병용효과에 관한 연구 (Combined Effect of Ganciclovir and Vidarabine on the Replication, DNA Synthesis, and Gene Expression of Acyclovir-resistant Herpes Simplex Virus)

  • 양영태;정동균;모리 마사가즈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5-134
    • /
    • 1989
  • Ganciclovir(GCV)와 Vidarabine(ara-A)을 단독으로 또는 동시에 HSV-1에 작용시켰을때 HSV-1의 복제, DNA합성 및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4가지의 다른 HSV-1(Wild type KOS, $VCV^r$, $IUdR^r$, 및 $PAA^r5$)를 사용하였다. Virus복제에 미치는 항 virus약의 효과는 Vero 세포단층 배양에서 Yield reduction assay에 의해서 관찰하였다. 항 virus약의 virus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은 NaI 밀도 구배초원심침전후 $H^3-$표지 virus DNA의 방사능에 의해서 관찰하였다. Virus 단백질의 합성에 미치는 항 virus약의 효과는 $^{35}S$를 표지한 후 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법, 자가방사기록법 그러고 virus bands의 음영농도주사법을 이용,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CV는 wild trype HSV-1 KOS와 $PAA^r5$의 복제를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나 $ACV^r$$IUdR^r$는 GCV에 대해서 중등도의 저항을 보였다. ara-A는 실험대상의 모든 HSV-(KOS, $ACV^r$, $IUdR^r$$PAA^r5$)의 복제에 대해서 거의 비슷하게 억제효과를 보였다. GCV와 ara-A 동시첨가는 KOS와 $PAA^r5$의 복제에 대해서 상승적인 억제효과를 보였고 $ACV^r$$IUdR^r5$의 복제에 대해서는 상가작용이하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2. GCV또는 ara-A는 HSV-1감염 Vero세포에서 virus DNA의 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GCV와 ara-A의 동시첨가는 KOS 또는 $PAA^r5$ 감염세포에서 virus DNA 합성을 GCV 또는 ara-A를 단독 첨가하였을때 보다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ACV^r$ 또는 $IUdR^r$ 감염세포에서는 이런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3. Wild type HSV-1 감염세포에서 virus-단백질의 합성은 GCV, ara-A의 단독 첨가 또는 GCV와 ara-A의 동시첨가에 의해서 변경되지 않았다. Wild type HSV-1 감염말기에 GCV 또는 ara-A 단독 혹은 동시첨가에 의해서 virus 단백질의 합성은 경미하나마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Wild type HSV-1과 $PAA^r5$에 의한 단백질의 합성은 GCV 또는 ara-A 단독 첨가에 의해서 유의성있게 억제되었다. GCV또는 ara-A의 동시첨가는 GCV또는 ara-A를 단독으로 첨가했을 경우보다 단백질의 합성을 더욱 억제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GCV와 ara-A의 동시사용은 HSV-1 혹은 ACV저항 DNA polymerase변이주인 $PAA^r5$에 대해서 상승적인 억제작용을 나타냈으며 이 효과는 virus DNA 합성 억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ACV저항 thymidine kinase 변이주인 $ACV^r$$IUdR^r$에 대해서는 ara-A가 유효하였다. 항 virus 약물에 의한 virus 단백질합성의 변화는 virus DNA 합성에 대한 억제효과에 인한 것으로 사려된다.

  • PDF

In vitro response of rat microglia and human polymorphonuclear cells (PMN) to immunoactive compounds

  • Lombardi, Valter RM;Eetcheverria, Ignacio;Fernandez-Novoa, Lucia;Diaz, Joaquin;Seoane, Silvia;Cacabelos, Ramo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3호
    • /
    • pp.216-230
    • /
    • 2005
  • Although the field of study in immune enhancing compounds is relatively new, natural products from plants represent a rich and promising source of novel molecules with immunomodulating properties, Microglial cells, the main immune effector cells of the brain, usually display a ramified morphology and low expression levels of immunologically relevant antigens such as MHC class I and class II. Since any compound which participates in activation of phagocytic cells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potentially toxic factors, the search for convenient in vitro test-systems and study of mechanisms of action of these agents are of great interest. Human blood polymorphonuclear (PMN) cells and primary microglial cells isolated from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s cellular screening tests for study of phagocytosis-stimulating action of immunomodulating agents. Numbers of phagocytic activity were evaluated by the phagocyte ingestion of yeast cells and NO-synthase activity, nitrite production, and nitroblue tetrazolium test were determined after phagocyte stimulation.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at indexes of phagocytic activity can be used as quantitative indicators for measurement immunomodulating activity. As a positive control, Zymosan A-induced phagocytosis in both PMN cells and primary microglial cells was used. $IFN-{\gamma}$ (0.1 -1 U/ml) stimulated phagocytosis in PMN cells 1.2 times after 2 - 3 h incubation, although at higher concentrations (10 - 100 U/ml) it strongly inhibited phagocytosis. In a similar way, at higher concentrations, $IFN-{\gamma}$ (100 - 500 U/ml) suppressed phagocytosis in zymosan-A stimulated microglial cells. When Polypodium leucotomus, cambricum and vulgare extracts were tested alone, increased levels of phagocytosis were observed in PMN. In addition, microglial cells showed both increased phagocytosis and MHC class-II antigen expressions. Surprisingly, when PMN and microglia wer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Polypodium and $IFN-{\gamma}$, phagocytosis was not inhibited. We did not find changes in NO-synthase activity and nitrite production in both microglia and PMN cells activated by different immunomodulating ag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imary microglial cell cultures as well as human PMN cells can provide reproducible quantitative results in screening phagocytic activity of different immunoactive compounds. Furthermore, both inhibitory or activation mechanisms might be studied using these in vitro experimental approaches.

Investigation of Immune Biomarkers Using Subcutaneous Model of M. tuberculosis Infection in BALB/c Mice: A Preliminary Report

  • Husain, Aliabbas A.;Daginawala, Hatim F.;Warke, Shubangi R.;Kalorey, Devanand R.;Kurkure, Nitin V.;Purohit, Hemant J.;Taori, Girdhar M.;Kashyap, Rajpal S.
    • IMMUNE NETWORK
    • /
    • 제15권2호
    • /
    • pp.83-90
    • /
    • 2015
  • Evaluation and screening of vaccines against tuberculosis depends on development of proper cost effective disease models along with identification of different immune markers that can be used as surrogate endpoints of protection in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evaluation of subcutaneous model of M.tuberculosis infection along with investigation of different immune biomarkers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BALB/c mice. Groups of mice were infected subcutaneously with two different doses : high ($2{\times}10^6CFU$) and low doses ($2{\times}10^2CFU$) of M.tuberculosis and immune markers including humoral and cellular markers were evaluated 30 days post M.tuberculosis infections. Based on results, we found that high dose of subcutaneous infection produced chronic disease with significant (p<0.001) production of immune markers of infection like $IFN{\gamma}$, heat shock antigens (65, 71) and antibody titres against panel of M.tuberculosis antigens (ESAT-6, CFP-10, Ag85B, 45kDa, GroES, Hsp-16) all of which correlated with high bacterial burden in lungs and spleen. To conclude high dose of subcutaneous infection produces chronic TB infection in mice and can be used as convenient alternative to aerosol models in resource limited settings. Moreover assessment of immune markers namely mycobacterial antigens and antibodies can provide us valuable insights on modulation of immune response post infec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long with optimization of study protocols are needed to justify the outcome of present study and establish such markers as surrogate endpoints of vaccine protection in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in future.

적소두(赤小豆) 외피(外皮)(Phaseolus angularis shell)의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모델에서 항비만, 항고지혈증 효과 (The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hell on Soyang-in Metabolic Syndrome with Obesity)

  • 곽진영;박정환;고영미;박정미;안택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6-153
    • /
    • 2017
  • Objective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aseolus angularis shell on metabolic syndrome. Methods Each 5 C57BL/6J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normal diet group, high-fat diet(HFD) control group, high-fat diet plus 15.6 mg/kg/day of Orlistat(HFD-Orlistat) group, high-fat diet plus 100mg/kg/day of Phaseolus angularis shell extract(HFD-PAS_E) group. Weight, the blood chemical and hematologic parameter was med. The mRNA expression was assayed through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Results In HFD-PAS_E group, the body weight gain, weight of liver, and the level of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level of H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ize of adipocyte in HFD-PAS_E group was smaller than HFD group's. In HFD-PAS_E group, the expression of leptin, PPAR-${\gamma}$, AP2/FABP4 mRNA in liver adipocyte tissue wa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UCP-2 mRNA in liver adipocyte tissue was in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Leptin, C/EBP-a, AP2/FABP4 mRNA in epididymal adipocyte tissue was decreas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aseolus angularis shell has inhibitory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by reducing the body weight and the levels of lipid contents in high-fat-diet induced obese mice.

국내 재배 아마란스 어린잎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between Amaranth Baby-Leaves Cultivated in Korea)

  • 장혜림;유민;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80-98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기능성 쌈 채소로의 육성과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Amaranthus cruentus와 Amaranthus hypochondriacus 어린잎의 영양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아마란스 두 종류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A. hypochondriacus보다 A. cruentus의 수분 함량이 더 높았다. 반면 A. hypochondriacus 잎의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탄수화물 및 식이섬유 함량이 A. cruentus 잎보다 높았다. 아마란스 잎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로 확인되었으며, fructose는 A. hypochondriacus의 잎에서, glucose는 A. cruentus의 잎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를 제외한 acetic, malic, f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아미노산은 methionine과 proline, tyrosine을 제외한 총 17가지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아마란스 잎 모두 필수 아미노산 함량보다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더 높았으나 비필수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어 이에 따른 감칠맛의 정미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타 아미노산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taurine과 GABA(${\gamma}$-amino butyr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쌈 채소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아마란스 두 종류의 무기질은 K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무기질은 A. cruentus보다 A. hypochondriacus에서 높았다. 아마란스 잎의 지방산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이었으며, 그중에서도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 함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A. cruentus와 A. hypochondriacus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478.72{\mu}g/100g$, $474.12{\mu}g/100g$으로 측정되었으며, 비타민 B군은 $B_2$, $B_3$, $B_5$만이 검출되었고 $B_1$, $B_6$, $B_{12}$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A. hypochondriacus 잎에는 A. cruentus 잎보다 더 많은 양의 항산화 비타민 C와 E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마란스 잎은 품종, 재배 지역 및 환경 등에 따라 각 함량에 차이는 있으나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쌈 채소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콘크리트의 고열과 방사선으로 인한 주요 열화거동 분석 (State-of-Arts of Primary Concrete Degradation Behavior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Radiation in Spent Fuel Dry Storage)

  • 김진섭;국동학;최종원;김건영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3-260
    • /
    • 2018
  •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시스템과 관련하여 고온 및 방사선으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과 열화특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고온에 의한 장기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임계온도는 일반적으로 $95^{\circ}C$이며, 온도경사는 콘크리트 균열방지를 위해 $60^{\circ}C$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열화정도는 노출온도와 노출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강도가 고온에 보다 민감한 특성을 보인다. 한편 방사선의 에너지가 $10^{10}MeV{\cdot}cm^{-2}{\cdot}s^{-1}$ 이하일 경우에는 핵반응으로 인한 가열을 무시할 수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10^{19}n{\cdot}cm^{-2}$ 이상의 중성자에 혹은 $10^{10}$ rad를 초과하는 감마선량에 노출된다면 콘크리트의 역학적 물성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그 손상정도는 콘크리트 구성재료의 특성에 의존적이다. 콘크리트에 대한 방사선 조사시 재료의 역학적 물성변화는 주로 온도상승으로 인한 콘크리트 내부 함수량의 변화 및 재료간의 열적물성 차이로 인한 체적증가와 균열발생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건식저장과 관련된 기술의 조속한 확보 및 인 허가를 위해서는 그 간의 선행연구 결과를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콘크리트 캐스크 관련 국내 자체기술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