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for education

검색결과 809건 처리시간 0.023초

Analysis and simulator implementation of Mighty, an advanced imperfect information game

  • Lee, Jeongwon;Kim, Kwihoon;Kim, Seu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9-21
    • /
    • 2022
  • 마이티는 불완전 정보 게임으로, 국제적으로 대중적인 4인용 카드 게임 브리지와 유사하지만 게임 규칙 및 운영 측면에서 더욱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마이티 게임의 전략을 탐구하고 분석하기 위한 환경이 필요하지만, 브리지 등 타 카드 게임의 전략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가 다수 개발된 것에 비해 마이티 게임의 분석 도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심지어 마이티 게임에 대한 학문 차원에서의 정의 및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마이티 게임의 절차 및 규칙을 체계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마이티 게임을 학습하고 전략을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시뮬레이터는 서비스의 활용성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자바스크립트로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분석 기능을 PC/모바일 웹 환경에서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관련 분야에서 연구 주제로 다루고 있는 다른 트릭테이킹 게임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마이티 게임이 불완전 정보 게임으로서 연구 가치가 있으며 AI학습이 용이한 게임 특성이 존재함을 보였다.

게임 중독 치료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Game Addiction Treatment)

  • 이하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9-148
    • /
    • 2010
  • 이 연구는 게임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기존 연구와 게임 중독 관련 연수프로그램의 실태 그리고 게임 중독 예방 및 중독 치료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중독 치료 연수를 정상학생을 위한 예방프로그램, 잠재적위험군 학생을 위한 치료프로그램I, 고위험군 학생을 위한 치료프로그램II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예방프로그램은 기존의 연구와 연수프로그램에서 공통 내용을 추출하여 설계하였다. 치료프로그램은 게임중독 클리닉 자료와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다양한 내용과 전략을 추출하였다. 최종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해당교사와 전문가를 통하여 타당도 검사를 한 결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수 프로그램이 현장학교와 게임 중독 아동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초 과학 원리 이해를 위한 기능성 게임의 활용: 사이언스 히어로즈 게임 개발의 사례 (Application of Serious Games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Middle Schools: A case of Science Heroes Game Development)

  • 백승호;박지영;지형근;한정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89-9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 중학생의 기초 과학 원리의 이해를 위한 기능성 게임의 활용과 그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우리는 기능성 게임을 통한 자연스러운 과학 원리의 체득을 위하여 초등학교 3~6, 중학교 1~3학년의 과학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게임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 및 커리큘럼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용 기능성 게임 '사이언스 히어로즈'을 개발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서 추상적, 시간-공간적인 이유로 학습이 어려운 부분에 대해 교수-학습 과정을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게임에 대해 현직 과학 교과 교사들의 기능성 게임 평가 테스트를 수행하여 본 게임을 통한 실제 교육현장으로 적용 가능성 및 보완점을 알아보았다.

Automation of Decision-Making in the Game "Ecopoly" for Education on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Economy

  • Komuro, Tatsuya;Shinozaki, Ayano;Kim, Aramu;Doyo, Daisuke;Matsumoto, Toshiyuki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1권1호
    • /
    • pp.123-132
    • /
    • 2012
  • Recently,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come serious due to human 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build a sustainable society in which human economic activities coexist with natu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and enhance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preceding study, a board and computer game of "Ecopoly," which is the game for education on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ere developed. This study further aims to develop algorithms which make decisions in Ecopoly, to automate decision-makings of opponents using the algorithms, and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game "Ecopoly V" which enables self-learning. In order to develop the algorithms, the board game of Ecopoly was played, and each player's decision-makings at the all points at which players make a decision were observed and analyzed. From the analyses, it became clear that the decision-makings were distinguished by 3 characteristics; Ecology type, Economy type, and Balance typ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factors and standard values of each decision-making were made clear. Algorith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actors and standard values. Ecopoly V was developed by incorporating the algorithms into the computer game of Ecopoly. Experimental testing of the game was conducted and the validity of the game was verified.

역사교육에 대한 게임 활용 방안: 기능성 게임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Games Application Methodology for History Education: Case Study of Developing a Serious Game for History Education)

  • 정찬용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9-38
    • /
    • 2018
  • 유럽을 중심으로 게임을 활용하는 다양한 교육 방안이 수업에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게임기반 학습(GBL) 비율은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역사교육 GBL의 실천적 활용을 고취하기 위한 학제연구로 사례분석과 유형분류를 통하여 설계 요구사항과 학습준거, 수업모형을 도출한 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실행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핵심적인 차별화 형식요소는 수업목표에 따라 교육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씬 관리와 역사적 전환점에 종속되도록 게임 흐름을 통제하는 개념이다. 교육자와 학습자, 교육게임 개발운용책임자로 구성된 평가단에 의한 반복적 타당성 평가를 통하여 프로토타입을 확정하였다.

NCS기반 게임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CS-based Game Curriculum Focused on the Game Contents Dept. of Kimpo Univ.)

  • 권용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81-387
    • /
    • 2019
  • 2013년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체계가 전문대학 및 직업훈련기관을 중심으로 적극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게임분야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므로 게임교육과 NCS를 연계하는 첫 연구로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NCS 기반의 게임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게임산업 환경을 분석하고 게임업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실무에서 필요한 지식과 직업기초능력 과목을 도출하였으며, 게임직무별 현장전문가(SME)를 활용하여 인력양성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인력양성 유형에 적용할 NCS의 세분류 및 능력단위를 조사하고 각 능력단위의 유용성을 분석함으로써 NCS 교과목을 도출하였으며, NCS교과목과 비NCS교과목을 학습순위에 따라 학기별로 배치함으로써 김포대학교 게임콘텐츠과의 2년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NCS와 게임콘텐츠제작 분야를 연결하는 마중물로서 의미가 있으며, NCS기반으로 게임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여타 교육기관의 참고가 됨은 물론 향후 게임교육과정에 대한 향상방안 및 게임교육 품질관리(CQI)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게임 (Mathematics education game based on augmented reality)

  • 이혜선;이종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17-822
    • /
    • 2008
  • 그래픽과 통신 산업의 발달로 컴퓨터 게임 산업은 기술적으로 정정 발전하고 있다. 다양한 연령충의 사람들에게 게임은 여가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만큼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게임은 발전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왔다. 이러한 흐름에서 게임은 단순한 놀이에 그치지 않고 교육적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시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특정한 목적과 효과를 의도하는 게임을 Serious Game 이라고 한다. Serious Game은 게임의 본질인 재미를 통해 새로운 유익함을 얻는데 그 의미를 가진다. 여러 분야에서 Serious Game에 관련된 다양한 범주의 콘텐츠들이 시도되어 왔고, 그중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내는 분야는 교육이다. 교육에 관련된 분야는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게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유아/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보드게임을 바탕으로 하였고, 사용자의 체험적 요소의 극대화와 게임의 다양성을 살리기 위해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게임 참여를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보드를 디자인 할 수 있는 풀을 제공하였다.

  • PDF

Teaching Mathematics Through Games at the First Stage of Elementary Education

  • Soylu, Yasin;Isik, Ahm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4호
    • /
    • pp.223-234
    • /
    • 2003
  • Children interest themselves in all different toys they see, before beginning to speak. The psychological reasons for children′s interest in toys have been investigated for a long time. Thus many scientists have studied on the question "what is game?", but they have not reached a consensus yet. Such contradiction may be dependent upon different points of view of the researchers about game. Besides, the view of game of a child and an adult is different too. According to an adult game is a rebirth and escape from monotony. For child it is a wor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mathematics regarding a mass of abstract concepts for the students of grade 1-3 of primary school in the concrete operations period, more attractive with the help of educational and instructional games, and to contribute to student′s developing. The capability of thinking and producing by changing abstract concepts into concrete ones.

  • PDF

대학에서 대체현실게임기반 교육방법 (Alternate Reality Game Based Education in College)

  • 장희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15-422
    • /
    • 2019
  • 게임 세대인 대학생들은 이전세대들과 인지적 특성이 달라서 강의와 같은 기존교육방법에서 주의집중력이 떨어지는 현상들이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학교육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임을 이용한 교육방법으로 학생들의 흥미 유발과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체현실게임을 이용한 대학교육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교육방법이 대학 교육 환경에 적합한지 그리고 실제 운용가능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교육방법이 대학교육현장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고 필수기능들의 정상작동여부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대체현실게임 기반 교육방법이 현 교육방법보다 학생에게 흥미유발과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중.노년층의 컴퓨터 게임이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Understanding of Game Information for the Elderly)

  • 안정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5-24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derly generation's understanding of game information and for recognition of computer based games as a recreation activity for the mid-to late adults. This study investigated game use and personal thoughts about the influences of computer games on each gener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 with the subjects being 242 adults aged 40 to 72 living in Busan and Kyung-nam area. Findings indicated that 43.5% of adults used computers to access games. The purposes for computer use were: business, searching portal sites, and games. 44.8% of adults knew about game information education. 67.4% of adults who had someone as a game information resource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provided the game information. Most adults used arcade games and recognized the influences of game information as positive to adults and the elderly but negative to children and adolescents. Finally, the adults aged "after mid-life" who knew about game information education showed higher ego-integ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derly education programs aimed at promoting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