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elements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6초

감정규칙을 사용한 게임 캐릭터 분석 (Analysis of Game Character Using Emotion Rule)

  • 박준형;고일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18
    • /
    • 2014
  • 감정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게임요소 중 하나이다. 그동안 게임에서 캐릭터들의 성격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은 그래픽과 특정행동에 대한 반응 정도로 고려되었다. 하지만 최근 감정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게임에서도 감정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구조화가 필요해졌다. 자율성 에이전트 분야에서는 감정의 활용가능성 연구를 통해 12가지 감정규칙을 정의했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규칙을 게임에 사용되는 용어로 정의하고 확장시켜 게임 감정규칙을 만들었다. 그리고 게임 감정규칙을 사용해 실제 게임 속 캐릭터의 감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슷한 장르의 게임에도 각자 다른 게임 감정규칙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게임 이용자의 특성 분류를 통한 게임 캐릭터 선호도에 관한 조형 연구 (A Formal Study on Game Character Preference through Game User Classification)

  • 노경희;이태일;조성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3-31
    • /
    • 2007
  •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의 성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게임 이용자를 유형화하고, 게임 캐릭터 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조형요소를 도출하여 이용자의 유형과 캐릭터 선호도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게임 이용자의 성향에 따른 게임 캐릭터 개발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게임 이용자의 몰입도와 관련된 이용자 분류 방법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 유형을 재정의 하였고, 게임 캐릭터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이용자의 성향에 따른 캐릭터 선호도차이를 규명하였다.

  • PDF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의 헬스 케어 정보를 활용한 게임 앱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ame app production utilizing wearable smart device health care information)

  • 최용석;주우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8-169
    • /
    • 2015
  • 최근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춘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들이 연이은 출시를 이어나가고 있지만, 소비자를 위한 콘텐츠 부족으로 외면 받고 있다. 기기가 발전하면서 사용자의 몸에 장착하는 유형의 기기가 출시되었고 이는 사용자와 기기간의 상호작용하는 헬스 케어 제품들이 많은 관심을 받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콘텐츠 시장을 중심으로 헬스 케어 요소와 게임 콘텐츠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징을 파악하고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 맞는 게임 콘텐츠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개발되거나 출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활용한 게임 콘텐츠를 조사하고 게임 개발에 관련된 기존 문헌을 연구 하였다. 이를 토대로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에 맞는 상호작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 PDF

성공적인 배틀 로얄 게임에서의 사용자 이동 원인 분석 - 배틀그라운드에서 포트나이트로 (Analysis of User Transfer of Successful Battle Royale Games - From Player Unknown's Battleground to Fortnite)

  • 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1-76
    • /
    • 2020
  • 배틀 로얄 장르는 다수의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전투 모드에서 최후의 1인 혹은 1 유닛이 살아남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게임 장르이다. 최근 이 장르의 1인칭 슈팅 게임이 크게 유행했는데 2017년부터 2018년 상반기의 세계적 선두주자는 한국 PUBG의 Player Unknown's Battleground였다. 하지만 2018년 들어 같은 장르의 3인칭 게임인 포트나이트의 추격을 받고 있는데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국제 시장에서 PUBG가 고전 중이다. 본 논문은 이 두 게임의 내부 전투 구조, 무기 체계, 생존 장치 등의 게임 장치를 서로 비교하고, 두 게임을 모두 사용해 보고 현재 포트나이트를 사용하고 있는 플레이어들을 중심으로 어떤 점이 배틀그라운드의 약점이며 무엇이 후발 주자인 포트나이트를 선호하게 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투와 관련된 게임성은 여전히 배틀그라운드가 높았으나 생존 요소와 과금 제도의 창의성과 사용자 친화성에서 배틀그라운드가 보완해야 할 사항들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이것이 2018년에 일어난 두 게임의 흥행 곡선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군사훈련용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ious Game for the Military Training)

  • 하수철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7호
    • /
    • pp.233-270
    • /
    • 2009
  • Serious game played with a computer in accordance with specific rules, that uses entertainment to further government or corporate training, education, health, public policy, and strategic communication objectives. The main goal of a serious game is usually to train or educate users while giving them an enjoyable experience. Serous games are video games with serious purposes such as teaching or training and whose principal aim is educ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serious games involve pedagogy which are all of the activities that educate, train, or instruct the player. Other characteristics of serious games are that they use entertainment principles, creativity and technology to build games that carry out serious purposes.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serious game for the military training and to describe the elements of game design for developing it.

  • PDF

게임의 재매개성 (The Game's Remediation)

  • 손종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305-310
    • /
    • 2012
  •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미디어는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최첨단의 미디어라 할지라도 그 원형에는 이전의 여러 가지 미디어 형태를 차용하여 발전해왔다. 제이 데이비드 볼터와 리처드 그루신은 이를 학문적으로 "이전의 미디어를 재매개(Remediation)하여 사용한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미디어 중에서도 게임이라는 분야의 재매개성에는 게임의 본질, 게임의 방식, 게임의 내용, 게임기기의 외형적 형태 등 다양한 부분에서 재매개의 특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재매개의 활용은 사용자로 하여금 미디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더 나아가 게임 컨트롤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으며, 게임의 재미를 높여주어 게임에 대한 몰입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게임의 재매개 요소들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게임에 활용한다면 게임의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Design and An Implementation of Education Shooting Game for kids

  • Seo, Jeong-M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75-81
    • /
    • 2020
  • 교육용 게임의 정의와 게임 개발의 중요, 교육용 게임의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게임에서 사용되는 화면의 설계,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시스템 환경과 실험에서 게임 구현에 대한 설명을 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게임의 비폭력성, 아동들이 선호하는 게임, 게임의 유익함, 게임의 재미요소 등이 있는지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육용 슈팅게임과 기존의 게임을 비교분석하여 게임의 우수함을 기술하였다. 기존의 아동용 게임들은 상업성이나 교육적인 면에서 부족한 면이 많이 있었지만, 제안한 게임은 폭력성이 적고, 교육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디지털 한복 디자인 연구: 온라인게임을 중심으로 (A Study of Digital Hanbok Design: focuse on Online Games)

  • 조두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195-203
    • /
    • 2018
  • Online game digital hanbok has an aesthetic value in a digital culture and is useful for developing a digital hanbok design for online games as well as other industries. This thesis analyzes its attire and design composition elements to design a 3D digital hanbok by utilizing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literature review defines them as transmutability, virtuality, fictionality, reality and playfulne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late digital generation and online games. We analyzed 471 images from 50 online games. Sonmaep was used for making 3D digital hanboks. Its attire was grouped into jogori pants, jogori chima, po and armor. Its design composition elements were classified as pleat, layering mu or hemline, mu sub gyeopmagi mitbadae, vent, git dongjung and decoration elements. The results feature 8 digital hanbok designs. Reality designs are replicas of jogori daegugo for men and po for women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Virtuality designs are slightly changed shapes of yoseoncheolrik for men and white jogori yellow chima for women in the Koryo Dynasty. Fictionality designs are casual fusion armors for men and women as a hyperbolic form. Playfulness designs are doll costumes for men and jogori chima for women as a kitsch and childish style. The concept of online game digital hanbok escapes from conceptual limitations of traditional hanboks. This result can be used for designing digital hanbok contents in various industrial parts.

Impacts of Badges and Leaderboards on Academic Performance: A Meta-Analysis

  • KIM, Areum;LEE, Soo-Yo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3권2호
    • /
    • pp.207-237
    • /
    • 2022
  • As technological changes continue to accelerate every day, meeting the needs of a shifting educational landscape requires leaving an exclusively "in-person" education behind. Gamified learning environment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in light of conflicting studies to suit students' need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is to draw conclusive result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most commonly used game elements in education, i.e., badges and leaderboard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ir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in online learning. Review Manager (RevMan 5.4) was used to analyze eligible studies selected from Emerald, SAGE, ERIC, EBSCO, and ProQuest between January 2011 and January 2022. Analyzing 37 studies found that using leaderboards and badges in online education enhanced academic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learning without gamification (SMD = 0.39). The badge-only intervention showed a larger effect size (SMD = 0.33) than the leaderboard-only intervention (SMD = 0.27). Badges and leaderboards together exhibited a larger effect size (SMD = 0.48) than individual game elements (SMD = 0.40). The impact of the game elements on academic performance was greater in the humanities (SMD = 0.51) than in STEM fields (SMD = 0.32) and was greater for K-12 students (SMD = 0.63) than for college students (SMD = 0.31). This study contributes to a timely discussion of the use of badges and leaderboards in COVID-19 online learning trends and provides relevant data for designing integrations of online education and gamification models.

게임 캐릭터 성격 모형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AHP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Game Character Personality Model: Focused on AHP methods)

  • 남기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7-88
    • /
    • 2020
  • 게임 캐릭터는 표현과 제작 방식에 따라 성격 디자인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요소별 중요도를 반영하여 성격 디자인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캐릭터의 성격 디자인 과정에서 효율적인 의사 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AHP를 통해 디자인요소 13개와 성격요인 13개로 구성된 게임 캐릭터 성격 모형에 대한 중요도를 도출하고, 중요도를 반영하여 게임 캐릭터 성격 디자인 체크툴을 제시했다. 디자인요소에서는 3D 실사풍, 3D 애니메이션풍, 2D 애니메이션풍 모두에서 외양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격요인에서는 3D 실사풍에서 행동, 3D 애니메이션풍에서 외양, 2D 애니메이션풍에서 말이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