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Them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VR 테마파크 활성화 이슈 (VR Theme Park Activation Issues)

  • 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2-123
    • /
    • 2018
  • 본 연구는 VR 테마파크를 국내 설치하여 운영하는데 발생되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VR은 신산업으로서 4차산업혁명의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실제 현장에서 그 가치를 체감하기 힘든 현실이다. 이는 기존의 법 테두리에서 VR 바라보기 때문에 VR의 본질보다는 기존의 법 망에 갇혀 한 발짝도 움직이지 못하는 현실이다. 이는 VR을 유원시설의 유기기기로 바라보기도 하고 게임물로 간주하기도 함에 따라 전자는 관광진흥법에 법률 적용을 받고 후자는 게임산업법에 적용을 받는다. 하나의 콘텐츠와 하드웨어가 두 가지 법률에 동시에 적용을 받고 그에 따른 규제를 받다보니 VR의 특성이 제대로 반영된 운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법률에서 각각을 조금씩 조정하는 방법과 VR 자체를 적용할 수 있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VR 테마파크를 국내 조성함에 있어서 궁극적인 쟁점을 제시함으로써 VR산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GPS game machine of space and a position information system

  • Lee, Dae-Young;Park, Kil-Hwan;Bae, Sang-Hyun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243-246
    • /
    • 2003
  • This system is unionized form about GPS and a pocket game machine. This game machine of the use only for the game with an existing system but the function of various purposes which carries out service relevant to a user's position information. This system have the game function, the function to offer space guidance service by the theme interlocked with a user's position, and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function.

  • PDF

QR코드를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학습 설계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Design of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by Using QR Code)

  • 박형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41-15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설계와 학습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및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으며, 첨단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 참여를 촉진하는 게임형태의 주제중심 통합학습 교수설계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QR코드를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사례인 퀘스트 기반학습은 학습동기, 경험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QR코드를 활용한 설계는 자신의 인지구조를 확장하는데 요구되는 사회적 상호작용 전략, 동기증진 전략, 구성 주의에서 강조하는 복잡한 문제 상황과 스캐폴딩 전략이 포함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을 지원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게임형 퀘스트 기반학습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 증진, 학습자 중심의 참여 학습, 활동중심, 협력학습,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의 창출 측면에 대한 교수 설계에 창의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기회를 확인하였다.

Study on development of GPS game machine of space and a position information system

  • Song, Byung-Ho;Kwon, Chang-Hee;Park, Kil-Hwan;Shin, Min-Hwa;Koh, Jin-Gwang;Bae, Sang-Hyu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2
    • /
    • pp.826-829
    • /
    • 2002
  • This system is unionized form about CPS and a pocket game machine. This game machine of the use only for the game with an existing system but the function of various purposes which carries out service relevant to a user's position information. This system have the game function, the function to offer space guidance service by the theme interlocked with a user's position, and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function.

  • PDF

가상현실 기반 콘텐츠의 가능성과 한계 -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Virtual Reality Based Content - Focused on the Theme Park)

  • 김기정;한호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73-380
    • /
    • 2017
  • 최근 가상현실 콘텐츠는 게임, 교육, 의료, 전시, 영화, SNS 등 여러 영역에서 실험되고 있으며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가상현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산업적, 기술적 관점에 치우쳐 있어, 콘텐츠 중심 또는 콘텐츠 관점에서의 가상현실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가상현실의 미래를 제대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기술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콘텐츠 중심의 연구가 매우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콘텐츠 관점에서의 가상현실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대상으로 테마파크에 적용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유형과 특성 그리고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 기반 테마파크 콘텐츠 유형의 분류를 시도하였고, 유형 분류의 기준으로는 플레이어의 위치 이동 가능성 및 이동 방식에 따라 '고정형', '연속적 이동형', '분절적 이동형'으로 나누고 여기에 촉각, 미각, 후각, 균형감 등의 감각이 결합되는 방식에 따른 분류법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게임 패러다임 : 디지털 피지컬 필드 게임 (Introduction of New Game Paradigm-Digital Physical Field Game)

  • 우탁;임익수;원광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13
    • /
    • 2010
  •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에 맞는 새로운 게임으로서 디지털 피지컬 필드게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업 혁명과 정보화 혁명과 같은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게임의 변화를 소통의 측면에서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기존에 존재하는 유비쿼터스 게임과 그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에 맞는 새로운 게임으로서 디지털 피지컬 필드 게임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해를 돕고자 설계한 게임을 가장 잘 보여 줄 수 있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유비쿼터스 게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테마파크 및 체험관에 적용되는 기능성 콘텐츠로서 게임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해외 게임 개발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A Cloud Computing Technology in Overseas Game development)

  • 한상근;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1-462
    • /
    • 2015
  •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용어가 IT에서 중요한 화두로 부각된 지 오랜 시간이 흘렀다. 이에 세계적으로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 및 시장의 규모가 커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게임 개발에 사용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기존 문헌을 연구하여 현재 출시된 해외 클라우드 게임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여 게임을 개발하고자 할 때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예수 부활 문제에 대한 소설적 접근의 몇 가지 유형 "가룟 유다에 대한 증언"과 "사람의 아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eatment of Jesus′s Resurrection in Korean Novels)

  • 이동하
    • 인문언어
    • /
    • 제2권1호
    • /
    • pp.153-174
    • /
    • 2002
  • Dong-Ri Kim's Shaphan's Cross, Do-Gi Paek's A Testimony about Judas Iscariot and Mun-Yeol Yi's Re Son of Man have a common point. In the three novels, Jesus Christ plays an important role. Shaphan's Cross researches the theme of Jesus's resurrection directly and minutely. Dong-Ri Kim shows the attitude of a sincere Philosopher in this work. A Testimony about Judas Iscariot avoids such a theme in treating Jesus Christ, but Do-Gi Paek is concerned only about the moral problem, showing the attitude of a sincere philosopher. Re Son of Man researches the theme of Jesus's resurrection directly and minutely like Shaphan's Cross, but Mun-Yeol Yi does not show the attitude of a sincere philosopher. He, instead, shows the property of a dilettante who enjoys an intellectual game. In short, these three novels play important roles in enlarging the territory of Korean literature.

  • PDF

소셜 카지노의 슬롯 해부하기: Slotomania를 중심으로 (Anatomizing Slots of Social Casino: Focus on Slotomania)

  • 한석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77-88
    • /
    • 2018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온라인 슬롯 게임 Slotomania에 존재하는 슬롯들의 다양한 특징들을 해부한다. Playtika사(社)에서 개발된 Slotomania는 Facebook을 통해 서비스가 되고 있는 소셜 카지노 장르의 게임이다. Slotomania는 소셜 카지노 장르에서 개별 타이틀로 1위에 위치하였으며, 본 연구는 게임에 존재하는 슬롯들의 다양한 특징들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1) UI(User Interface) 2) 테마 3) 페이라인 & 베팅 4) 구조 & 심볼 5) 보너스 6) 부가적 특징의 요소들을 탐구한다. 그 결과, "다양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에 따라, 어떻게 그리고 왜 그러한 슬롯들이 사람들에게 매력을 주는지에 대해 조사할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기반의 소셜 카지노 장르의 시장을 탐구한다.

게임배경디자인의 한.중.일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삼국지게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Tendency of Localization for Game Environment Design - Based on the Analysis i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멍웨이;조동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42
    • /
    • 2013
  • 게임개발환경의 빠른 성장에 맞춰 게임시장은 더욱 실질적인 게임기술을 필요로 하지만 중국 온라인 게임은 같은 장르의 대부분 게임 스타일이 비슷하며 게임유저 선호에 밀접한 독창성에 대한 부분은 미흡하다. 따라서 전 세계에 거친 유저들이 동시에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각 나라만의 게임그래픽 선호도의 지침이 중요한 사항인데 반해 제작국가의 불분명성에 기인한 디자인이 만연하다. 한국, 중국, 일본은 이미 유명한 스토리텔링의 주제인 "삼국지"를 기반으로 중국의 전통문화와 자기나라의 상황을 결합하여 게임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각 나라의 독특한 게임디자인 스타일은 분명히 존재하며 산업적 활용성 차원의 게임디자인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치로써 중요한 배경을 이룬다. 본 연구는 각 나라의 25개의 "삼국지 게임"을 주제로 한 온라인 게임을 연구대상으로 게임 배경 디자인 요소를 회귀분석을 통한 비교분석을 진행하여 각 나라의 디자인 특징을 설명, 향후 동종연구자들 및 실질적인 게임그래픽 디자이너의 게임디자인 개발에 효율적인 방향을 제언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