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 Item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254초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의 범죄 연관성에 관한 실증 연구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Item Trade and Cyber Crimes)

  • 최성락;김철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9-79
    • /
    • 2011
  • 2000년대 온라인 게임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부터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가 사이버 범죄 등을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이라는 견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정말로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가 범죄 증가와 관련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가 범죄 증가와 실증적인 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는 사이버 범죄, 재산 범죄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는 범죄 행위를 절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은 아니며, 기존 범죄에 대한 새로운 대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온라인 게임 및 아이템 거래는 기존의 비재산 범죄를 재산 범죄로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추정된다.

온라인 게임 아이템 기반 분류법 (A Classification Method for Item-based Online Game)

  • 황신희;박은영;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19-424
    • /
    • 2007
  • 최근, 많은 게임시장의 활성화로 게임의 부가가치가 상승하기 시작했다. 특히 온라인 게임에 아이템 거래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창조됨으로 아이템거래의 유통시장이 형성될 정도로 용이한 재료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게임 개발 면에서 다른 기획요소에 비해 아이템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보다 많이 두고 있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이템을 기반으로 하는 분류를 통해 새로운 게임의 만족도를 높여 부가가치를 올리는 계기를 마련하고, 이와 더불어 새로운 분류법을 제시함으로서 게임 아이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복잡적응계로서 온라인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체계의 진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volution of Online-game Item Cash-trade-system as Complex Adaptive System)

  • 장용호;정원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7-59
    • /
    • 2010
  • 본 연구는 아이템 현금거래를 단순한 정적인 체계로 접근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거래의 진화과정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아이템 현금 거래를 복잡적응계(CAS)로서 접근하였다. 아이템 현금거래는 가상경제와 현실경제 간의 융합을 보여주는 복합적 현상으로 시간에 따라 아이템의 생산과 소비 과정이 역동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초기 아이템 거래가 단일한 행위자에 의해 설계된 의도적 체계가 아니라 내생적으로 창발하였음을, 둘째, 초기 거래 이후 아이템 거래는 다양한 행위자들(개인유저, 작업장, 게임 기업, 유저 커뮤니티, 중개인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체계로서 거래안전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자기조직화하고 있음을, 셋째, 복작접응계로서 아이템 거래 체계는 내부 행위자들의 욕구를 상호보완해주고 긍정적 피드백이 강력히 작동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이템 현금거래의 창발과 진화에 대한 이해가 부재한 인위적 규제가 체제 효율성을 왜곡시켜 비의도적인 정책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오버워치 루트 박스 시스템 분석 (Analysis of Loot Box System in Overwatch)

  • 한석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5-104
    • /
    • 2018
  • 본 연구는 미국의 블리자드社의 FPS 장르 게임 Overwatch의 루트 박스(Loot Box)의 구조를 탐구한다. 현재 최근 게임 산업 가장 큰 논란거리 중 하나는 게임 유저들이 고성능의 게임 아이템을 복권 형식으로 구입하는 "확률형 아이템"이다. 본 연구는 확률형 아이템과 비슷한 해외의 루트박스 사례를 다각적으로 탐구하여, 어떠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법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루트 박스 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국내의 확률형 아이템 문제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게임아이템 현금거래의 가치사슬 변화와 동향분석 (Change of Value Chain and Current Issues in Game Items Real Money Trade)

  • 한창희;김정민;박채희;홍유진;김민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5-56
    • /
    • 2011
  • 본 연구는 사용자간 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의 개념과 현금거래의 거래방식, 가치사슬, 이해관계자 그리고 발생 가능한 이슈에 대해 분석하였다. 게임아이템 현금거래는 게임 자체의 비즈니스 모델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사행성 및 작업장 등 민감한 사회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게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서 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의 거래방식과 가치사슬도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거래방식 및 가시사슬과 다른 현재의 게임아이템의 새로운 개념에 대해 새롭게 분석하였다. 또한 게임아이템 현금거래와 관련하여 계정거래, 캐릭터 선물하기 서비스, 캐릭터 육성하기 서비스, 자금세탁, 아이템 자동 등록기 등의 대한 다양한 이슈를 분석하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게임아이템 현금거래 관련 정책 및 각 이해관계자들의 전략 수립 등에 중요한 현황자료가 될 것이다.

게임 속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가 아이템 구매 및 게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Game Character Identification on Item Purchase and Game Play Intention)

  • 이원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1-50
    • /
    • 2021
  • 게임 캐릭터 동일시는 이용자의 게임 이용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자아에 대한 지각이며, 게임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 정도에 따라 게임에 대한 태도 역시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에 대한 통제, 소유권, 개인화, 동일시, 플로우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게임 이용의도나 아이템 구매의도와 같은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결과에 따르면 캐릭터 소유권, 개인화는 캐릭터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캐릭터 통제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동일시와 플로우 간의 긍정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동일시로 강화된 플로우는 이용자의 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MMORPG에서 아이템의 효과적인 제작 및 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A Thought on Efficient Item Productions and Managements for MMORPG)

  • 김인홍;김경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1-66
    • /
    • 2005
  • 아이템은 게임성을 높여주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요소이며, 플레이어에게 다양한 쾌감을 제공하는 요소로써 인간에게 내재된 원초적인 경제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템에 명성치를 주고 그것의 DB화를 통해서 플레이어들의 커뮤니티와 경제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게임성을 높임과 동시에 해킹등 게임의 역기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PDF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온라인게임 유저의 과금 성향 분석 (The Study on Game Users' Payment Intention through Language Network Analysis)

  • 김은비;위정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7-130
    • /
    • 2021
  •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기능성 아이템과 장식용 아이템, 두 집단 간의 아이템 중요도 및 과금에 대한 생각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기능성 아이템을 구매하는 유저는 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때 경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투력과 능력치 요소가 함유된 유료 아이템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장식용 아이템을 구매하는 유저는 자기만족감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캐릭터의 외형 변화를 통한 치장과 이러한 치장용 아이템 수집욕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아이템 구매를 통해 게임의 재미를 느끼고 있었으며, 나아가 게임 캐릭터를 통해 자기 자신의 투영과 '또 다른 나'를 인식했다,

Design of 2.5D Survival Game using Inventory

  • Kim, Soo Kyun;Kim, Hong-Rae;Lee, Won J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31-36
    • /
    • 2018
  • The survival game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survive until the item is collected and the game is completed at the specified time, and the inventory function to store the item is the core of the game. Typical survival games include 'Don't Starve', 'H1Z1', and 'Lu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 2.5D survival game that can be enjoyed by the smart device using Unity 3D engine. Because it is designed as a mobile platform, designing light inventory function using two lists rather than existing inventory function makes it easier to design than existing inventory and light design suitable for mobile. In general, it is characterized by designing a mobile game so that it does not depend on the place of the survival game.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경매 방식 전자상거래 설계 기법 (A Design Method of Auction type e-Commerce for Online Game Items exchange)

  • 김종수;김태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3-160
    • /
    • 2010
  • 일반적인 온라인 게임의 목표는 자신이 소유한 캐릭터의 레벨을 얻는 것인데, 캐릭터의 성장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에 맞는 아이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지만 각 유저들이 게임 중에 획득하는 아이템은 자신이 소유한 캐릭터의 특징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각자의 아이템을 교환한다. 아이템을 교환하는데 있어서 게임이 제공해주는 기능은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게임 아이템을 효율적으로 매매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아이템 거래 사이트처럼 다양한 거래 방식을 게임 내에서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매매 방식 외에 경매와 같은 방법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아이템 거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인터넷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몇몇 온라인 게임에서 구현된 아이템 매매 기능과 인터넷 아이템 거래 사이트의 기능을 분석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린 경매방식 전자상거래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특정한 아이템을 매매하고자하는 사용자들이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고, 다양한 거래 방법을 통하여 필요한 아이템을 매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