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W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4초

순간수위 변화시험, 단공양수시험 및 단계양수시험을 통한 수리상수 추정연구 (Estimation of Hydraulic Parameters from Slug, Single Well Pumping and Step-drawdown Tests)

  • 조윤주;이진용;전성천;천정용;권형표
    • 지질공학
    • /
    • 제20권2호
    • /
    • pp.203-212
    • /
    • 2010
  • 본 연구는 연구지역의 수리상수를 추정하여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공법 설계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행된 수리시험은 순간수위변화시험, 단공양수시험 및 단계양수시험이다. 순간수위변화시험은 대표적인 Bouwer and Rice 직선법과 C-B-P 특성곡선법(type curve)으로 해석하였다. Bouwer and Rice법으로 해석한 평균 수리전도도 값은 $4.48{\times}10^{-3}cm/sec$ 이며 중앙값은 $1.16{\times}10^{-3}cm/sec$이다. C-B-P법으로 구한 평균 수리전도도 값은 $2.37{\times}10^{-3}cm/sec$이며 중앙값은 $7.09{\times}10^{-4}cm/sec$이다. 두 해석 결과 연구지역의 하부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체로 투수성이 낮아 Bouwer and Rice법으로 해석한 수리전도도가 높게 나타난다. 단공양수시험은 GW7, GW12 및 MW9 관정에서 수행하였으며 여러 종류의 특성곡선법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GW7 관정은 GW12 및 MW9 관정보다 수리전도도 및 투수량 계수가 낮으며 이는 기반암의 파쇄대 및 절리의 여부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단계양수시험은 KDPW1 및 KDPW2 관정에서 수행하였으며 해석방법에 따라 수리상수 값의 차이가 나타나지만 매우 미미하며 본 연구에서 해석한 수리상수 값은 오염지하수 정화설계에 있어 적절히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벼 종간잡종 유래 근동질 유전자계통 이용 종자중 관여 유전자 분석 (Mapping Grain Weight QTL using Near Isogenic Lines from an Interspecific Cross)

  • 강주원;양바오로;윤여태;안상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4-310
    • /
    • 2011
  • 1. 선행 연구에서 염색체 3번의 RM60~RM231 부근에서 종자중, 수당립수에 관여하는 QTL이 탐지되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크기와 위치가 다른 O. glaberrima 단편이 이입된 5 계통을 선발하여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계통별로 출수기, 임실률, 수당립수, 종자중을 제외한 형태적 특성들이 밀양23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염색체 지역이 밀양23호로 회복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2. 유전자의 위치를 자세히 알기 위해 RM60과 RM22 부위에 위치하는 SSR 마커를 이용하여 5개 계통의 유전자형을 검정하였다. 종자중과 수당립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4계통, IL3, IL26, IL25와 IL51을 비교한 결과 종자중과 수당립수를 조절하는 유전자는 RM60-RM523 사이의 재조환 지점과 단완 끝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거리는 약 1.2-Mb이다. 3. 본 연구에서 탐지된 연관된 종자중과 수당립수 QTL은 재배벼의 수량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시점별 직무만족도 및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in a Tertiary Hospital)

  • 하유미;하은호;김지희;김효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6-66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INCSW) 및 일반병동(GW)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도입한 의료기관의 간호 질 향상과 고품질의 간호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K 병원 INCSW와 GW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88명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6개월 동안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INCSW와 GW는 6개월 동안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삶의 질은 '전반적인 삶의 질'(1차 p=.033, 2차 p=.030)과 '전반적인 건강상태'(1차 p=.049)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차수별 비교에서는 '조직별 인정 및 전문적 성취'(2/3차 p=.037)와 '존중과 인정의 인간관계'(1/3차 p=.005, 2/3차 p=.006)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INCSW의 삶의 질을 차수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 삶의 질' 항목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3차 p=.025, 2/3차 p=.01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인력의 숙련도와 환자 요구도를 반영한 인력배치, 배치 전 직무 교육 및 조직문화 개선 등의 기간별 다양한 간호중재전략을 개발한다면 INCSW와 GW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초장립종 벼를 이용한 입형 관련 QTL 분석 및 국내 벼 품종 입형 개선 연구 (QTL Analysis to Improve and Diversify the Grain Shape of Rice Cultivars in Korea, Using the Long Grain japonica Cultivar, Langi)

  • 김석만;박현수;이창민;백만기;조영찬;서정필;정오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303-313
    • /
    • 2020
  • 본 연구는 단조로운 국내 벼 품종의 입형을 다양화하기 위하여 초장립종 자포니카 품종을 활용해 그 특성을 국내 벼 품종에 도입함으로써 입형이 다양한 새 품종을 개발하려는 기초 육종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입형 다양화를 위하여 세장형 자포니카 벼 품종인 Langi와 입형이 극단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자포니카형 조생자도를 교배하여 유전분석 및 QTL 탐색을 위한 mapping 집단을 육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입형 관련 형질의 상관분석, QTL 분석, validation test 및 탐색된 QTL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생자도와 Langi 조합의 교배립을 생산하여 F2 집단을 육성하였고 출수 일수를 고려하여 최종 265 개체를 선발·수확하여 주요 형질에 대한 조사와 QTL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육성된 mapping집단의 입형 관련 형질들은 종자 길이에 대해 종자 장폭비(0.89)와 천립중(0.69)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고, 종자폭에 대해서는 종자 길이(-0.47)와 장폭비(-0.82)가 음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종자두께(0.43)는 정상관을 보였다. 3. QTL 분석 결과 종자 길이와 관련하여 벼 5번 염색체에서 PVE 값이 20.31%인 qGL5와 7번 염색체에서 PVE 값이 각각 36.07%와 26.11%인 qGW5와 qGW7을 탐색하였다. qGL5는 세장형인 Langi로부터 유래하였으며, 두 QTL(qGW5, qGW7)은 원형인 조생자도로부터 유래하였다. 4. Validation test결과 Langi는 자포니카형 벼(qsw5_N)에서는 매우 드문 qSW5형 대립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qGL5와 함께 작용하여 집단내에서 종자 길이신장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탐색 QTL의 효과는 qGL5 (+)와 qGW5:qGW7 조합에서 중원형, 장원형, 세장형 등 입형의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Langi가 자포니카 생태형이란 점과 QTL의 효과가 증명되어 MAS활용이 가능하다는 점 등 입형 다양화를 위한 육종사업에서의 효과 및 활용도가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Sink와 Source 관련형질 변이가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 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nk and Source Related Characteristics on Grain Weight and Grain Nitrogen Content in Rice)

  • 이충근;권영업;이재은;서종호;신진철;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5-54
    • /
    • 2009
  • 2002년도에는 sink는 변화를 주지 않고 엽제거에 의해 source의 크기를, 2007년에는 파종기,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sink와 source의 크기를 조절한 후 이들이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의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던 바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제거를 통해 source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하였을 때는 출수전 엽에 저장되었던 동화산물과 질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해석에 혼란을 주었으며, 파종기,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 조정과 출수기 솎아내기를 통해 sink와 source의 크기를 조절할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sink와 source를 얻었지만 모든 sink와 source 관련 형질이 서로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등숙기간 중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에 미치는 sink 또는 source 관련형질의 개별효과를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2. source가 클수록 종실중과 $GW_P$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GW_T$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ink는 source와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또한 source 관련형질중 지상부 총건물중이 종실중과 그 구성인자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구성인자 중에서는 $GW_P$$GW_T$에 비해 종실중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source가 클수록 종실질소함량과 $GN_S$가 많은 경향이었으나, $GN_T$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sink는 source와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또한 source 관련형질중 지상부 총질소함량이 GN에 대한 영향이 가장 컸으며, 구성인자 중에서는 $GN_S$$GN_T$에 비해 종실질소함량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종실중과는 달리 $GN_T$가 종실질소함량을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컸다. 4. 등숙기간 중 종실 질소는 토양으로부터 먼저 공급되거나 적어도 잎 또는 줄기로부터의 전류와 토양으로부터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紅蔘).포도(葡萄) 병용투여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mbined-administration of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on Immune Response)

  • 박훈;이경아;전용근;임재윤;신태용;소준노;안문생;권진;은재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20-427
    • /
    • 2006
  • Immunological activities of the combined-administration of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were examined in C57BL/6 mice.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or 40% ethyl alcohol. Ginseng Radix Rubra water extracts (GW), the mixture (1:1) of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water extracts [GVW(1:1)], the mixture (1:3) of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water extracts [GVW(1:3)], 40% ethyl alcohol extracts of Ginseng Radix Rubra (GE), the mixture (1:1) of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40% ethyl alcohol extracts [GVE(1:1)] and the mixture (1:3) of Ginseng Radix Rubra and Vitis Fructus 40% ethyl alcohol extracts [GVE(1:3)] were administered p.o. once a day for 7 days, respectively. GVW(1:1) and GVW(1:3) decreased the viability of thymocytes increased by GW, but GVE(1:1) and GVE(1:3) increased the viability of thymocytes decreased by GE. GVW(1:1) and GVW(1:3) increased the viability of splenocytes decreased by GW or GE. Also, GVW(1:1) and GVE(1:1) enhanced the population of helper T cell in thymocytes, and GVE(1:1) and GVE(1:3) decreased the population of cytotoxic T cells increased by GE. Furthermore, GVW(1:1), GVW(1:3), GVE(1:1) and GVE(1:3) enhanced the population of $B220^+$ cells decreased by GW or GE,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l^+$ cells increased by GW or GE,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splenic $CD4^+$ cells increased by GW or GE. In addition, GVW(1:1) and GVW(1:3) de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peritoneal macrophages increased by GW, but GVE(1:1) and GVE(1:3)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peritoneal macrophages decreased by 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is Fructus has an regulative action on immune response of Ginseng Radix Rubra.

산지별 고려엉겅퀴의 Pectolinar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Pectolinar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irsium setidens Nakai by Cultivars)

  • 조봉연;이진하;라문진;김선영;강일준;한경찬;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0-2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주요 산지별 pectolinarin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라디칼 소거능 및 ORAC 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산지별 고려엉겅퀴의 pectolinarin 함량은 $3.95{\pm}0.05{\sim}7.29{\pm}0.07mg/g$로 강원도 D농장(GW-D)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지별로 $40.42{\pm}0.91{\sim}76.70{\pm}2.24mg\;PNE/g$ 수준으로 전라남도 A농장(JN-A)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강원도 A농장(GW-A) 추출물에서($40.42{\pm}0.91mg\;PNE/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산지별로 31.25% ~ 81.93%의 활성을 보였고, ORAC 지수는 산지별로 $179.62{\sim}514.49{\mu}M\;TE/g$로 강원도 D농장(GW-D)과 강원도 E농장(GW-E)에서 각각 514.49, $501.73{\mu}M\;TE/g$ 으로 가장 높은 ORAC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려엉겅퀴 추출물은 pectolinarin과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ORAC 활성 등의 항산화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EGS 지열발전의 이론적 및 기술적 잠재량 평가 (Estimation of Theoretical and Technical Potentials of Geothermal Power Generation using Enhanced Geothermal System)

  • 송윤호;백승균;김형찬;이태종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6호
    • /
    • pp.513-523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표되고 국제기구에 의해 공인된 protocol에 따라 인공 지열 저류층 생성 기술(EGS)을 통한 우리나라 지열발전의 잠재량을 평가하였다. 잠재량 추정에 필요한 입력 자료인 암석 밀도, 비열 및 열전도도는 1,516개 암반 시료의 측정값을 이용했으며, 열생산율은 180개 자료, 지열류량은 352개 자료, 그리고 지표면 온도는 54개 자료를 사용하였다. 내륙을 34,742개의 $1'{\times}1'$ 크기 격자로 나누어 3-10 km 깊이 범위에 걸쳐 1 km 깊이 구간별로 온도 분포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열에너지 부존량을 계산하였다. 지하 3-10 km 범위의 이론적 잠재량은 6,975 GW로 계산되었고 이는 2010년 우리나라 총 발전용량인 76 GW의 약 92배에 달한다. 기술적 잠재량은 3-6.5 km 깊이, 개발행위가 가능한 지역만을 고려하고 또한 암반으로부터의 열 회수율(0.14)과 발전시설의 온도 특성까지 포함해서 산출되었다. 온도하강요소 $10^{\circ}C$를 고려할 때 총 기술적 잠재량은 19.6 GW로 나타나고 있다. 만약 온도하강요소를 경제적 잠재량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제외한다면 기술적 잠재량은 56 GW로 늘어난다.

원전 배관용 SA 106 Gr.C의 협개자동용접 적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Narrow-Gap Welding Process for SA 106 Gr.C in Nuclear Power Plant)

  • 우승환;권재도;이춘열;강석철;신호상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101
    • /
    • 2004
  • Conventionally, SMAW process was applied to join pipes of RCL, which caused lot of loss in time and cost due to excessive heat input and defects in joining section. Recently, narrow-gap welding(NGW) process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SMAW. However, the application of NGW to nuclear power plant is not yet common because safety of NGW process is not proven. In present paper, the welded coupons are made of carbon steel. They are manufactured under different processes; general welding(GW), post-weld heat treatment(PWHT) after GW, repair welding after GW and PWHT with repair welding after GW in carbon steel. Performed are various mechanical tests investigation of microstructure, hardness test, tensile test at room and high temperature, bending test, impact test and J-R test. It is verifi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steel are greatly changed after repair welding process due to applied heat flux, and that the effect of PWHT is beneficial.

  • PDF

CCD를 이용한 변광성의 측광관측 (CCD OBSERVATIONS OF SOME VARIABLE STARS)

  • 정장해;이용삼;이충욱;양감징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85-195
    • /
    • 1994
  • 우리는 충북대학교가 보유하고 었는 $1024\times1024$ pixel의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변광성 U Cep를 1993년 1월 11-12일에 측광관측하였다. 이날 얻은 총 62개의 관측점을 가지고 제1극심 부근의 광도곡선을 완성하여 JD Hel 2448999.7274의 극심 시각을 결정하였다. 한편 1993년 10월 21-22일에 미국 네브라스카 대학의 Behlen 천문대에서 변광성 GW Cep와 V700 Cyg를 CCD 측광관측하여 총 168개의 관측점을 만들었다. 이들 자료를 가지고 광도곡선들을 완성하였고, GW Cep의 광도극심 시각 JD Hel 2449282.8485와 V700 Cyg의 광도극심 시각 JD Hel 2449282.7979을 각각 결정하였다. Behlen천문대의 CCD 관측방법과 충북대의 관측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충북대 관측 방법의 개선을 위해 노출후 램에 기억되어 있는 CCD화상으로부터 직접 필요한 부분의 밝기만을 측정하고 이를 저장하는 방식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