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8초

투자 및 육성지원이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빅 데이터 실증분석 (Big Data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Investment and Nurturing Support on Gross Regional Product)

  • 안동규;신충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3호
    • /
    • pp.45-51
    • /
    • 2020
  •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투자 및 육성지원이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역내총생산(GRDP)은 각 지역의 생산규모·지출수준·소득수준·산업구조 등을 집약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지수로써, 지역경제 분석 및 국가의 정책수립에 활용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의 주요 국정과제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경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최근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외투자는 투자유치국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하여, 이에 대한 많은 실증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투자 및 국내육성지원이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으로 투자와 지원이 지역내총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충청북도 분기별 GRDP 추계방안 연구: 소지역 추정법의 적용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hungbuk Quarterly GRDP by Using Small Area Estimation)

  • 이계오;김윤수;유정빈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2호
    • /
    • pp.131-152
    • /
    • 2001
  • 지방화와 정보화사회에서는 지역내총샌산(GRDP)이 지역 경제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충청북도의 경제자립도를 제고하고 효과적인 지역경제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개발하는 지역경제 예측시스템에는 충북 GRDP의 분기별 추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GRDP를 분기별로 추계하기 위하여 소지역 추정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한국은행의 전국 GRDP와 통계청의 충북 연간 GRDP의 변화추이가 공행성을 갖는다는 조건하에서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고자 하였다. 경제활동 부문별로 전국 분기별 GDP에서 분기별 변화추이 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충북 연간 GRDP를 분기별로 세분화하는데 적용하여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였다.

  • PDF

충청북도 분기별 GRDP 추계방안 연구: 소지역 추정법의 적용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hungbuk Quarterly GRDP by Using Small Area Estimation)

  • 이계오;김윤수;유정빈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152
    • /
    • 2001
  • 지방화와 정보화사회에서는 지역내총생산(GRDP)이 지역 경제정책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충청북도의 경제자립도를 제고하고 효과적인 지역경제 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개발하는 지역경제 예측시스템에는 충북 GRDP의 분기별 추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북 GRDP를 분기별로 추계하기 위하여 소지역 추정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한국은행의 전국 GRDP와 통계청의 충북 연간 GRDP의 변화추이가 공행성을 갖는다는 조건하에서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고자 하였다. 경제활동 부문별로 전국 분기별 GDP에서 분기별 변화추이 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충북 연간 GRDP를 분기별로 세분화하는데 적용하여 분기별 충북 GRDP를 추계하였다.

벤치마킹방법을 이용한 분기 GRDP의 추정 (Estimating Quarterly GRDP Using Benchmarking Method)

  • 이긍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1호
    • /
    • pp.75-88
    • /
    • 2009
  • 지역경제를 대표하는 통계인 GRDP는 시의성이 부족하고 연간으로만 발표되어 정책수립 및 통계분석 연구에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분기 GRDP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별 GDP와 산업별 GRDP가 공행하고 지역별로 산업구조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한 분기 참고 지표를 먼저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벤치마킹방법인 Chow-Lin 방법과 다변량 Denton 방법을 적용하여 시간적 일치성과 회계적 일치성을 가지는 분기 GRDP를 작성하였다.

지역내총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y Factors Affecting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of Korean)

  • 안영균
    • 지역연구
    • /
    • 제35권1호
    • /
    • pp.47-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지역내총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별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 지역으로 대구광역시를 선정했는데 대구광역시는 영남 지역의 중추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으며, 우리나라 섬유 화학제품 등의 수출 전략기지로 지위하고 있다. 또한 영남 지역에 도달하는 주요 수입화물의 기종점 역할을 수행하는 등 이처럼 대구 지역은 우리나라 수출입 무역 확대와 국가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적분모형(Co-integration Model)과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을 사용하여 대구 지역내총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균형함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내총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의 영향력을 정량적인 방식을 통해 추정하고 장기 균형 시점의 총생산으로부터 괴리가 발생했을 때 얼마나 빠른 속도로 장기균형으로 수렴하는가를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창조화 요인이 지역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ional Creativity Factors on Regional Growths)

  • 마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7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지역창조화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우리나라 15개 시 도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의 지역창조화 균형패널자료를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법을 통해 지역창조화와 지역성장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무형자산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의 창조적 지역환경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과 창조산업은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지역내총생산)와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조직화 부문은 하위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GRDP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조직화 부문의 창업과 기업가 정신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산 부문의 유형 무형 창조자산 영역, 조직화 부문의 융합경영과 융합행정, 경제주체 부문의 대 중견 중소기업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창조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창조화를 위한 현황을 진단하고, 추진과정과 장단기성과를 점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와 분권강화 정책을 견인할 수 있는 기초수단이 될 것이다.

정전에 따른 지역 및 산업종별 부가가치 저감을 고려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지역별 공급지장비 단가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Macroscopic Outage Cost using Reduction of Regional Added Value due to Power Outage)

  • 이재걸;최영도;전동훈;서철수;최재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4호
    • /
    • pp.726-732
    • /
    • 2011
  • To establish the transmission system expansion plan based on reliability, valuation of outage cost become more important. In previous studies about outage cost estimation, macroscopic, microscopic and analytic methods are proposed but they have some limit. For instance, microscopic method involves a complex field survey process and macroscopic method can not estimate regional outage cost. So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estimate regional macroscopic outage cost using the reduction of value added due to power outages is proposed. This method uses regional add value according to production activities calle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GRDP) and regional electricity sales.

통합대기환경지수와 지역내총생산에 의한 지역개발매력도 분석 - 충청남도 시·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veness of Comprehensive Air-quality Index and Gross Domestic Product - Focusing on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nam-do -)

  • 이병학;정남수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91-9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veness of the national level determined in the previous study to the city and county level of Chungcheongnam-do. We verified results with the population change of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In order to measure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veness in 2020, Chungcheongnam-do's integrated air environment index and per capita gross regional product were gathered. Population movement data over the past five years have been used to analyze population changes in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veness depended on the data of GDP per capita, which had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The rate of increase or decrease in population change by city and county in Chungcheongnam-do over the past five years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2021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group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region, it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a new analysis of Korea's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selection of target sites. Policy suggestions can also be made in spatial plans such as short-term comprehensive plans, long-term comprehensive plans, and development plans. It can be a limit of this research that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veness was determined by the relatively large per capita gross domestic product.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regional development attractiveness by closel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ocial problems, and emissions of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노동력 고령화가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효과: 우리나라 광역시와 도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orkforce Aging on Human Capital Job and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focusing on Metro Cities and Provinces)

  • 이성훈;이향수;정용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5-31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시와 도를 중심으로 1995-2017년의 지역별 패널통계를 활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고정효과를 반영한 2단계 최소자승 패널 회귀 분석 결과에서 노동력 고령화는 광역시의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도의 인적자본 취업비중과 1인당 지역총생산은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사업체 비중은 광역시의 인적자본 취업비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도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광역시에서는 인적자본 취업비중이 1인당 지역총생산 증가에 유의하게 기여하고 있지만 도의 경우는 물리적 자본이 1인당 지역총생산 증가에 유의하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광역시와 도에 따른 다른 분석결과는 노동력 고령화에 대응하는 인적자본과 1인당 지역총생산 증가를 위한 광역시와 도의 최적화된 정책은 지역에 따라 차별화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공항투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Spillover Effects of Airport Investment on Regional Production)

  • 이영혁;유광의;김민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50
    • /
    • 2005
  • 일찍이 1980년대 미국경제가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난관에 봉착했을 때 그 이유 중 하나로 공항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시설 투자의 부족을 지적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후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투자와 생산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으나 그 결과는 연구자에 따라 상당부분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공공투자를 고려한 지역생산함수를 이용하여, 공항에 대한 투자가 지역총생산(GRDP)에 미치는 여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그 투자효과를 지역 내로 국한하지 않고 타 지역의 생산에 미치는 파급효과(spillover effect)까지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 투자 스톡을 별도의 독립변수로 분리 채택한 생산함수를 지역별로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합한 패널자료(panel data)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총량자료(aggregate data)를 이용하여 산업전체 생산에 대해 분석한 겨롸는 지역 내${\cdot}$외의 GRDP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파급효과에서 모두 정(+)의 관계를 보여 공항투자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7개 산업부문별로 분석한 결과는 일정하지 않았다. 즉, 산업의 특성에 때라 공항투자의 직${\cdot}$간접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투자가 지역 내${\cdot}$외의 산업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지역경제의 구조조정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