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안동규, 신충호, 최정웅(2019), 중소기업 경영자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사결정 효율화에 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10(3), 311-326.
|
2 |
오병기(2012), 동태적 패널 분석을 이용한 광역자치 단체 투자적 지출의 지역경제 성과 분석, 지방행정연구, 26(1), 137-160.
|
3 |
유승훈(1997),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의 결정요인과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국제통상연구, 2(1).
|
4 |
유승훈, 김윤호(2014), 빅데이터 유통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사례 분석, 유통경영학회지, 17(4), 85-95.
|
5 |
이영성(2009), 시.군.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 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지역연구, 25(3), 5-23.
|
6 |
이우채, 김효선(2003),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관세학회지, 4(2), 93-111.
|
7 |
이윤준(2011), 지역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지역 벤처기업 육성 방안, STEPI Insight, (76), 1-25.
|
8 |
이장균(2017), 국내 벤처기업의 발전 과제와 시사점 -혁신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 정책 개발 요청, VIP Report, 714, 1-15.
|
9 |
이현철, 서민교(2011), 외국인 투자와 기업의 가치: 비선형적 접근, 국제경영리뷰, 15(3), 45-67.
|
10 |
이호영, 박원석(2011), 국내 외국인직접투자기업의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1), 58-74.
|
11 |
장석주, 박노국, 윤병섭(2007), 중소기업육성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모형 연구, 벤처창업연구, 2(1), 133-151.
|
12 |
장재홍(2008),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 응용경제, 10(2), 145-175.
|
13 |
조연상(2007), 지역총생산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지방재정학회 월례발표회. 한국지방재정학회.
|
14 |
최두열, 안시온(2014), 한국의 1 인당 지역내총생산 (GRDP)의 수렴에 대한 연구, 재정정책논집, 16(3), 149-184.
|
15 |
김성기(2013), 부산지역의 해외직접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503-511.
|
16 |
강인재, 김태중(2007), 한국의 지역내총생산 작성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논집, 12(2), 149-174.
|
17 |
김경애(2010), 외국인투자지분율 차이가 외국인투자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17(4), 37-55.
|
18 |
김남현, 이충기(2012), 관광개발, 해외직접투자 및 경제성장 간 그랜저 인과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7(3), 43-57.
|
19 |
김수은(2019), 전북코인 도입 및 활성화 방안.
|
20 |
김철민(2018), 빅데이터 분석으로 살펴본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변화, 지역정책연구, 29(1), 29-44.
|
21 |
박선화, 남현정, 임석준(2020), 해외직접투자는 '삶의 질'향상에 기여하는가?-중국의 對ASEAN 직접 투자 분석을 중심으로, 기업경영리뷰, 11(1), 1-14.
|
22 |
문휘창, 정진섭(2010),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7(2), 133-156.
|
23 |
박경주, 양동우(2006), 연구개발비가 기업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PO 이전과 이후 코스피기업의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9(4), 842-864.
|
24 |
박병주(2017), 지자체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확산, 경남발전, (136), 62-73.
|
25 |
배기수(2017), 충북지역 미니클러스터의 글로벌화를 위한 중소기업 육성 방안, 지역정책연구, 28(1), 51-80.
|
26 |
서익진(2002), 발전양식으로서의 한국의 개발독재: 작동방식과 논리의 규명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50(1), 5-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