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FP expression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2초

빙핵활성단백질의 N-terminal 부분을 이용한 녹색형광단백질의 Zymomonas mobilis 세포 표면 발현 (Display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on the cell surface of Zymomonas mobilis using N-terminal domain of ice nucleation protein)

  • 이은모;최신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115-119
    • /
    • 2009
  •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uv) wa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ethanol-producing bacteria Zymomonas mobilis using N-terminal domain of ice nucleation protein (INP) as an anchoring motif. To evaluate the ice nucleation protein as plausible anchor motif in Z. mobilis, GFPuv gene was subcloned into Zymomonas expression vector yielding pBBR1MCS-3/pPDC/INPN/GFPuv plasmid., INP-GFPuv fusion protein was expressed in Z. mobilis and its fluorescence was verified by confocal microscopy. The successful display of GFPuv on Zymomonas mobilis suggest that INP anchor motif could be used for future fusion partner in Z. mobilis strain improvement.

  • PDF

Imaging Single-mRNA Localization and Translation in Live Neurons

  • Lee, Byung Hun;Bae, Seong-Woo;Shim, Jaeyoun Jay;Park, Sung Young;Park, Hye Y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12호
    • /
    • pp.841-846
    • /
    • 2016
  • Local protein synthesis mediates precise spatio-temporal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for neuronal functions such as long-term plasticity, axon guidance and regeneration. To reveal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local translation, it is crucial to understand mRNA transport, localization and translation in live neurons. Among various techniques for mRNA analysis, fluorescence microscopy has been widely used as the most direct method to study localization of mRNA. Live-cell imaging of single RNA molecules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to dissect the highly heterogeneous and dynamic nature of messenger ribonucleoprotein (mRNP) complexes in neurons. Here, we review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mRNA localization and translation in live neurons using novel techniques for single-RNA imaging.

Anti-oxidative Effect of Piperine from Piper nigrum L. in Caenorhabditis elegans

  • Park, Hyun Mee;Kim, Jun Hyeong;Kim, Dae Ke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255-260
    • /
    • 2019
  • Piper nigrum L. (Piperaceae), which is a well-known food seasoning,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omiting, abdominal pain, diarrhea and anorexia in Korea, China and Japan. Methanol extract from the fruit of P. nigrum was successively partitioned as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and $H_2O$ soluble fractions. Among those fractions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showed the most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iperine was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To know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iperine, we teste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together with oxidative stress tolerance and intracellular ROS level in Caenorhabditis elegans. To investigate whether piperine-mediated increased stress tolerance was due to regulation of stress-response gene, we quantified SOD-3 expression using transgenic strain including CF1553. Consequently, piperine enhanced SOD and catalase activities of C. elegans, and reduced intracellular ROS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piperine-treated CF1553 worm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OD-3::GFP intensity.

매자나무 Ethyl acetate 분획물의 예쁜 꼬마선충 내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Berberis koreana Palibin in Caenorhabditis elegans)

  • 최지우;김준형;이재혁;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66-71
    • /
    • 2023
  • Ethyl acetate (EA) soluble fraction of the Berberis amurensis (Berberidacea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po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rough Caenorhabditis elegans model system. The EA fraction was measured for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and oxidative stress tolerance by using C. elegans along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In addition, SOD-3 expression was conducted using a transgenic strain (CF1553) to confirm that the regulation of the stress response gene is responsible for the increased stress tolerance of C. elegans treated by the EA fraction. As a result, the EA soluble fraction of B. amurensis increased SOD and catalase activity, and decreased ROS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EA fraction-treated CF1553 worm showed higher SOD-3::GFP intensity than the control worm.

UBE2Q1 in a Human Breast Carcinoma Cell Line: Overexpression and Interaction with p53

  • Shafiee, Sayed Mohammad;Rasti, Mozhgan;Seghatoleslam, Atefeh;Azimi, Tayebeh;Owji, Ali Akb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723-3727
    • /
    • 2015
  • The p53 tumor suppressor protein is a principal mediator of growth arrest, senescence, and apoptosis in response to a broad array of cellular damage. p53 is a substrate for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however, the ubiquitin-conjugating enzymes (E2s) involved in p53 ubiquitination have not been well studied. UBE2Q1 is a novel E2 ubiquitin conjugating enzyme gene.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UBE2Q1 overexpression on the level of p53 in the MDA-MB-468 breast cancer cell line as well as the interaction between UBE2Q1 and p53. By using a lipofection method, the p53 mutated breast cancer cell line, MDA-MB-468, was transfected with the vector pCMV6-AN-GFP, containing UBE2Q1 ORF. Western blot analysis was employed to verify the overexpression of UBE2Q1 in MDA-MB-468 cells and to evaluate the expression level of p53 before and after cell transfection. Immunoprecipitation and GST pull-down protoco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binding of UBE2Q1 to p53. We established MDA-MB-468 cells that transiently expressed a GFP fusion proteins containing UBE2Q1 (GFP-UBE2Q1).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levels of p53 were markedly lower in UBE2Q1 transfected MDA-MB-468 cells as compared with control MDA-MB-468 cells. Both in vivo and in vitro data showed that UBE2Q1 co-precipitated with p53 protein. Our data for the first time showed that overexpression of UBE2Q1can lead to the repression of p53 in MDA-MB-468 cells. This repression of p53 may be due to its UBE2Q1 mediated ubiquitination and subsequent proteasome degradation, a process that may involve direct interaction of UBE2Q1with p53.

박 자엽조직을 이용한 효율적인 식물체 분화와 Agrobacterium에 의한 형질전환 (Efficient shoot regeneration using cotyledon explants and Agrobacterium tumefaciens - mediated transformation of bottle gourd (Lagenaria sicraria Standl.))

  • 김수윤;안율균;허윤찬;이혜은;김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40-145
    • /
    • 2014
  • 본 연구는 대목용으로 이용되는 박에 있어서 형질전환에 이용 가능한 품종을 선발하고 재분화 효율 및 형질전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3 mg/L BA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덩굴마름병 저항성 순계계통의 평균 신초형성 수는 0 ~ 7.3개였으며 3종류의 상용 품종의 신초형성 수는 2.0 ~ 6.5개였다. 덩굴마름병 저항성 순계 계통의 재분화율은 품종 간 편차가 상용품종에 비하여 컸다. 형질전환 효율을 검정하기 위해 GFP와 gus발현을 조사한 결과 공동배양 과정 중에 GFP가 67%와 100% 로 높은 일시적인 발현을 보였다. 식물체 재분화는 BA와 2.4-D를 조합한 배지조합에서 자엽의 절단부위에서 신초가 발생하였으며, 4주 후 BA를 단독으로 1 mg/L 처리한 배지에서 한 개의 절편체에서 발생하는 신초의 개수 및 신초의 신장도 좋았다. 캘러스의 발생은 1 mg/L BA와 2,4-D를 0.1 mg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활발하게 분화하였다.

락토페린 유전자도입 piggyBac 벡터에 의한 누에 형질전환 (Germ Line Transformation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with a piggyBac Vector Harboring the Human Lactoferrin Gene)

  • 김용순;손봉희;김기영;정이연;김미자;강필돈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7-42
    • /
    • 2007
  • 락토페린 cDNA 유전자를 도입시킨 누에 형질전환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사람 GI-101 세포주의 mRNA로부터 클로닝 된 락토페린 cDNA 유전자의 개시코돈 ATG와 종결코돈 TAA를 포함하는 open reading frame(2,136 bp) 영역을 확인하였다. 2. Sf9 배양세포의 조추출물 시료에 의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 락토페린으로 추정되는 약 80kDa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3. 누에 형질전환에 높은 전이효율과 활성을 나타내는 트랜스포존을 이용한 전이벡터 pPIGA3GFP를 개조하여 락토페린 cDNA를 삽입시킨 전이벡터 pPT-HLf를 구축하였다. 4. DNA 미량 주사법에 의한 누에 형질전환 개체의 발현 비율은 약 6.7% 정도를 나타냈다. 5. 형질전환 누에(G0) 동일한 세대간 교배 및 처리하지 않은 성충간의 역교배에 의한 차세대(G1) 개체로부터 락토페린 유전자와 동일한 크기의 2.1 kb DNA 단편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형질전환 G1 세대의 조추출물 시료에 의한 Western blot 분석 결과, 표준 락토페린 항체와 반응하는 약 80 kDa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사 종결 염기 서열이 Drosophila melanogaster Schneider line 2 세포에서 외래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criptional Terminator Sequences on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S2 Cell)

  • 황인숙;박종화;이윤형;윤재승;백광희;정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11-214
    • /
    • 2001
  • Drosophila melanogaster Schneider line 2(S2)세포의 외래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외래 단백질의 한시적 발현을 검토하고, 서로 다른 terminator를 이용하였을 때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정도를 검토하였다. 한시적 발현의 경우 transfection agent를 제거하고 36-48시간 동안 배양한 경우, 가장 높은 green fluorescent protein(GEP)의 발현을 보였다. SV4O p(A), SV4O small T-antigen, 인간 gastrin 3'UTR을 terminator로 지니는 발현 벡터시스템에 각각 endostatin유전자를 cloning시킨 뒤 재조합 endostatin의 mRNA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한시적 발현을 시킨 뒤 36시간 후 endostatin의 발현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SV40 p(A)를 terminator로 사용했을 때 mRNA및 단백질의 발현이 가장 높았다.

  • PDF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시 벼에서 OsABF3 유전자 분리와 ABA 신호전달 대한 연구 (Studies on OsABF3 Gene Isolation and ABA Signal Transduction in Rice Plants Against Abiotic Stress)

  • 안철현;박훤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1-577
    • /
    • 2017
  • ABA는 식물에서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내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식물 호르몬이다. 애기장대의 group A bZIP 전사인자는 ABA 신호전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벼에서는 group A bZIP 전사인자의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벼에서 group A bZIP 전사인자인 OsABF3(Oryza sativa ABA responsive element binding factor 3)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벼의 다양한 조직과 다양한 스트레스(가뭄, 염분, 저온, ABA, 산화 스트레스)에 따른OsABF3발현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maize의 원형질체에서 GFP fusion 벡터를 사용한 세포 내 위치 분석을 통해 OsABF3가 핵단백질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Yeast one-hybrid 실험을 통해 OsABF3의 C-terminal 부분이 ABREs에 결합한다는 것과 N-terminal 부분이 하위 유전자의 transactivation 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T-DNA가 삽입된 OsABF3의 homozygous 돌연변이체가 야생형과 과발현체에 비해 발아와 발아 후 단계에서 고농도의 ABA에 대한 민감도가 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합해 볼 때 OsABF3는 ABA의 의존적인 경로를 통해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전사 조절자이다. 또한 OsABF3의 transactivation을 측정하는 실험에 있어서 억제 domain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초파리 S2 세포 시스템에서 녹색형광단백질 생산을 위한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의 감염조건들의 영향 (Effects of Recombinant Baculovirus Infection Conditions on Production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Drosophila S2 Cells)

  • 조혜숙;김연규;김경로;차형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40-45
    • /
    • 2006
  • 원하는 유전자를 배큘로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S2 세포에 도입하는 배큘로바이러스/S2 세포 발현 시스템은 강력하고 안전한 배큘로바이러스의 장점과 세포가 파괴되지 않는 S2 세포의 장점을 접목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 목적 단백질로 발현 모니터링이 손쉬운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을 발현시키는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하여 S2 세포에의 감염조건들에 대한 영향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조합 배큘로바이러스의 S2 세포에의 감염조건으로는 multiplicity of infection(MOI), 초기 세포 수, 배큘로바이러스 용액이 세포를 적시는 최소 부피, 배큘로바이러스를 첨가한 후 제거하기까지의 배양시간 그리고 배큘로바이러스 제거 후 S2 세포를 혈청이 존재하는 배지에서 키우는 배양시간을 선정하였다. MOI는 일반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높은 발현 수율을 위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세포배양이 길어지는 경우 세포독성의 문제가 심각해 질 수 있고 실제적인 배양에서는 높은 MOI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하는 100 mm 배양접시에서 배큘로바이러스와 S2 세포가 접촉하는 동안의 변수들인 MOI를 적정의 값인 30으로, 배큘로바이러스 배양 시간을 1.5 시간으로 고정함으로써 배큘로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인 S2에 대해 미치는 세포독성을 낮출 수 있었다. 또한, 배큘로바이러스 최소 부피는 배양접시에서 사용부피의 2.4%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배큘로바이러스 용액을 10배 농축시킴으로써 이 부피를 맞추기 위해 첨가시키는 새로운 배지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배큘로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독성을 줄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세포 파쇄 및 배양접시 표면에서 탈착되는 것을 막고 높은 생장 상태를 유지해서 감염 효율도 높일 수 있었다. 배큘로바이러스의 감염이 끝난 후의 관여하는 변수들인 감염 후 배양시간은 24시간에서 최대의 녹색형광단백질의 발현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