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dex

검색결과 2,913건 처리시간 0.027초

일리노이주의 옥수수 포장에서 질소질 비료의 적정시용에 대한 전문가체계의 검증 (Model Verification of Decision Assisting Nitrogen Expert System NES to Illinois Cornfields)

  • 김원일;정구복;;김길용;박노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4-70
    • /
    • 2001
  • 전보에서 개발한 질소질 비료의 적정시비량 산정을 위한 전문가체계 모델인 NES 를 일리노이주 옥수수 포장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검증에는 Howard 박사와 5개의 일리노이주 농업 시험장에서 수행한 옥수수에 대한 질소질 비료의 시용 결과를 각각 이용하였고, 현행 일리노이주 옥수수 포장의 질소시비 추천량, Hoeft 추천량, 이론적 최대이익산출 추천량 및 NES 추천량 등 각각의 추천기준에 대한 예상수량, 질소회수율 및 질소유실량을 산정 비교하였다. 생산성 지표(PI), 토양 유기물함량(SOM) 및 시비전 질산태질소 함량(PSNT) 등 3개의 토양특성을 고려한 NES의 추천량이 타 추천량에 비해 가장 적었으며, 이에 따른 질소의 회수율도 가장 높았다. 그러나, 수익면에 있어서는 NES 추천량이 이론적 최대이익산출 추천량에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환경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경작 형태나 경운, 환경 비용 등에 따른 질소의 효율성을 고려한 보다 발전된 시비량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NES 모델 개발 : 질소비료 적정 시용에 대한 전문가체계 (NES Model Development: Expert System for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s to Cornfields)

  • 김원일;정구복;;;박노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5-63
    • /
    • 2001
  • 일리노이 옥수수 포장에서 질소비료의 적정 시용량 결정에는 작물 수량의 극대화와 더불어 질소 손실의 최소화가 고려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질소 전문가체계(NES)가 개발되었다. NES는 전문가의 지식과 사고의 결정과정을 컴퓨터체계로 전환하는 Smart Element program에 의해 만들어졌다. NES는 현재 일리노이 옥수수포장에서 사용중인 생산성지수 (PI)와 토양중 유기물함량 (SOM) 및 시비전 질산태질소 함량 (PSNT)의 요인을 고려하여 시비수준을 결정하였는데 각각의 수준에 따라 49개의 rule 등을 사용하였다. NES는 시스템상에서 성공적으로 작동되었으며 3개의 토양특성 (PI, SOM, PSNT)를 입력하여 적정 시비량을 결정하였다. NES는 다른 시비량 결정 방법에 비해 환경에 대해 질소의 유입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으며 모델에 대한 검증이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이에 따른 수량의 감소를 보여, 질소 비료의 적정 시비량은 수량과 더불어 질소유실에 따른 환경 영향평가와 기타 다른 경제적 또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 요인을 추가한 NES의 검증 및 개선방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산과 알칼리 조건하에서 Na-벤토나이트의 팽창경향과 상대적 수리전도도 (Swelling Patterns and relevant Hydraulic Conductivities of Na-Bentonite under Various Acidic and Alkali conditions)

  • 정덕영;양재의;오택근;이교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76
    • /
    • 2007
  • 높은 팽창능을 가진 서로 다른 입경의 Na-bentonite의 팽창특성과 상대적 수리전도도를 서로 다른 pH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최대 팽창에 도달하는 시간은 각각 pH 6.5 이상의 조건에서는 84 시간 그리고 염산으로 처리한 pH 3.5 조건에서는 156 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pH 조건하에서 팽창은 중류수로 처리시의 50 % 정도이나 입경이 증가할수록 최대 팽창지수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한편 처리 전후의 변화는 HCl으로 처리된 pH 3.5에서는 변화가 매우 크나 알카리 조건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완전히 팽창된 조건하에서 수리전도도는 대기압이나 1 bar 정도의 수두압하에서는 용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가한 수두압이 1.5bar 이상으로 약 500초 정도 가해졌을 때 용출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1.5, 3.0, 그리고 5.0 bars 조건하에서 안정화된 수리전도도는 $7{\times}10^{-3}cm\;day^{-1}$ 내지 $6{\times}10^{-3}cm\;day^{-1}$, 정도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수리전도도는 증류수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산성조건하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면 경사도가 있는 뒷채움토와 지반특성을 고려한 역T형 옹벽의 지진시 취약도 평가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of Inverted T-type Wall with a Backfill Slope Considering Site Conditions)

  • 서환우;김병민;박두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33-541
    • /
    • 2021
  • 옹벽 구조물은 철도, 도로, 원자력 발전소, 댐, 하천 시설 등 토압 저항을 통한 사면 붕괴방지에 활용된다. 동토압 산정 및 지진시 거동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수치해석 프로그램(FLAC, PLAXIS, ABAQUS 등)을 활용하여 동적 하중에 대한 구조물과 지반의 비선형 거동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진취약도 곡선을 산정하여 확률론적 지진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프로그램 FLAC2D를 활용하여 뒷채움토의 사면 경사도가 있는 역T형 옹벽의 지진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옹벽 벽체의 상대적인 수평변위를 고려하여 지진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지진하중을 고려하기 위해 암반에서 계측된 7개의 지진파를 활용하여 각 지반특성 별(S2, S4) 비선형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고, 산정된 지진파의 크기를 5가지(0.1, 0.3, 0.5, 0.7, 0.9 g의 최대지반가속도)로 조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수치해석 모델은 다른 수치해석결과와 실험결과, 주동토압 산정식을 활용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옹벽 높이에 대한 상대수평변위를 손상지수로 고려하여 옹벽의 손상상태를 결정하여 지진취약도 곡선을 산정하였다. 상대적으로 깊고 토층 평균 전단파 속도가 느린 S4 지반에서 S2 지반보다 옹벽 벽체의 수평 변위에 대한 지진취약도가 크게 산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ge-related digestibility of nutrients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ent in aged dogs

  • Kim, Ki Hyun;Seo, Kangmin;Cho, Hyun-Woo;Jeon, Jung-Hwan;Kim, Chan Ho;Jung, Jiyeon;Chun, Ju L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355-1361
    • /
    • 2021
  • Digestibility of pet food can affect the health of dog, especially of aged animals. To maintain the health of dogs in an overall good stat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tritionally balanced food. For example, the digestibility of dogs was known to be decreased along aging. In addition, losing teethes is an often event in aged dogs that could induce a problem to eat a large size dry pet food. Nonetheless, few detail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most suited feeding for aged dogs. As part of the nutritional study of food for aged dogs, in this study, we tested whether food type impacts on digestibility on adult versus senior dogs. The methodology to measure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was chosen the index method using chromium oxide. Dogs were fed the same commercial dry or wet diets, which were supplemented with 0.5% chromium oxide. The wet food was prepared by adding twice volume of water in the dry food prior to incubated overnight (14-16 hours) at room temperature. After five days, their feces were collected up to a total weight of > 200 g which was the amount to analyze undigested nutrients in feces as 3 repeats. In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breed, no difference in the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ash, and energy was observed regard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ood. Noteworthy, the digestibility of nitrogen free extrac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nior dogs fed dry dog food compared with adult dogs fed the same diet, whereas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nior and adult dogs fed wet food. The small breed dog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experimental breed dogs. However, the digestibility of crude fat was additionally affected by age and food type unlike the experimental breed dog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food moisture content affects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dogs with aging. Hence, it may be helpful to determine the nutrient contents in foods for senior dogs depending on the food type.

상지추출물이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도된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 미치는 항염증 효능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lberry twig extracts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mouse model)

  • 최설뢰;김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39-148
    • /
    • 2019
  • 본 연구는 DSS 유도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 MT열수 추출물의 항대장염 효능을 확인하고자 ICR 마우스에 5일 동안 3% DSS와 함께 MT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대장염의 임상적 증상 및 염증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T추출물의 투여는 DS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 증상의 지표들, 즉 체중 감소와 혈성 설사를 포함한 질병 활성도, 대장점막증식, 그리고 $TNF-{\alpha}$와 IL-6를 포함한 염증성 사이토카인량 증가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SS에 의해 증가된 Cox-2, iNOS, p-Erk 등 염증 지표 단백질의 발현도 MT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MT추출물이 항대장염 효능이 있음을 제시하며 향후 MT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효능과 관련기작이 규명된다면 상지를 물로 우려내어 섭취하는 상지차 형태의 대장염 예방 혹은 개선용 건강식품으로의 개발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T3-L1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HR-1 마우스 피부에 도포한 한약 추출 복합물의 항비만 효과 및 안전성 평가 (Anti-obesity Effects and Safety of the Mixture of Herbal Extracts in 3T3-L1 Cells and HR-1 Mice Fed a High Fat Diet)

  • 정의선;박소이;이기훈;나주련;김진석;박경목;김선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84-395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novel formulation of an herbal extracts has an inhibitory effect on obesity. To determine its anti-obesity effects, we performed anti-obesity-related experiments in vitro and in vivo. Thus, our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herbal extracts using a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e mouse model and 3T3-L1 adipose cells. The effects of each herbal extracts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ere examined using Oil Red O staining. Results showed that treatment with each herbal extracts at $10{\sim}100{\mu}g/ml$ had no effect on cell morphology and viability. Without evidence of toxicity, herbal extracts treatment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compared with the untreated adipocytes controls as shown by the lower absorbance of Oil Red O stain. Futhermore, compared with control-differentiated mature adipocytes, each herbal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mature 3T3-L1 adipocytes. In the HFD-fed obese mice, body weight, liver weight and white adipose tissue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mixture of herbal extracts administration in mouse skin. Futhermore, we found that mixture of herbal extracts administration suppressed serum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HO) in HFD-induced obese mouse model. The mixture of herbal extracts of permeability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value in pig skin. The optimized formulations of herbal extracts (Test 3 formulation) showed skin permeation. However, test 1 formulation containing essential oil as enhancer showed maximum skin permeation. After confirming the enhanced skin permeability, in vivo studies were performed to assess whether skin irritation potential on the basis of a primary irritation index (PII) in rabbit skin. Reactions were scored for erythema/edema reactions at 24 h, 48 h and 72 h post-applic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test 1 formulation was not irritation (PII = 0).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test 1 formulation might be of therapeutic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treatment of obesity.

The effect of nanoemulsified methionine and cysteine on the in vitro expression of casein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 Kim, Tae-Il;Kim, Tae-Gyun;Lim, Dong-Hyun;Kim, Sang-Bum;Park, Seong-Min;Lim, Hyun-Joo;Kim, Hyun-Jong;Ki, Kwang-Seok;Kwon, Eung-Gi;Kim, Young-Jun;Mayakrishnan, Vijayakuma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57-264
    • /
    • 2019
  • Objective: Dairy cattle nutrient requirement systems acknowledge amino acid (AAs) requirements in aggregate as metabolizable protein (MP) and assume fixed efficiencies of MP used for milk protein. Regulation of mammary protein synthesis may be associated with AA input and milk protein outpu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anoemulsified methionine and cysteine on the in-vitro expression of milk protein (casein)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MAC-T cells). Methods: Methionine and cysteine were nonionized using Lipoid S 75 by high-speed homogenizer. The nanoemulsified AA particle size and polydispersity index were determin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correlation spectroscopy using a high-performance particle sizer instrumen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ytotoxicity effect of AAs with and without nanoionization at various concentrations (100 to $500{\mu}g/mL$) in mammary epithelial cells. MAC-T cells were subjected to 100% of free AA and nanoemulsified AA concentration in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nutrient mixture F-12 (DMEM/F12) for the analysis of milk protein (casein) expression by th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Results: The AA-treated cells showed that cell viability tended to decrease (80%)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before nanogenesis, but cell viability increased as much as 90% after nanogenesis. The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genetic markers related to milk protein indicated that; ${\alpha}_{s2}$-casein increased 2-fold, ${\kappa}$-casein increased 5-fold, and the amount of unchanged ${\beta}$-casein expression was nearly doubled in the nanoemulsified methionine-treated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free-nanoemulsified methionine-supplemented group. On the contrary, the non-emulsified cysteine-administered group showed higher expression of genetic markers related to milk protein ${\alpha}_{s2}$-casein, ${\kappa}$-casein, and ${\beta}$-casein, but all the genetic markers related to milk protei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nanoemulsification. Conclusion: Detailed knowledge of factors, such nanogenesis of methionine, associated with increasing cysteine and decreasing production of genetic markers related to milk protein (casein) will help guide future recommendations to producers for maximizing milk yield with a high level of milk protein casein.

Utility of a modified components separation for abdominal wall reconstruction in the liver and kidney transplant population

  • Black, Cara K;Zolper, Elizabeth G;Walters, Elliot T;Wang, Jessica;Martinez, Jesus;Tran, Andrew;Naz, Iram;Kotha, Vikas;Kim, Paul J;Sher, Sarah R;Evans, Karen 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462-469
    • /
    • 2019
  • Background Incisional hernia is a common complication following visceral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 patients are at increased risk of primary and recurrent hernias due to chronic immune suppression and large incision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with a history of liver or kidney transplantation who underwent hernia repair to analyze outcomes and hernia recurrence. Methods This is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review of 19 patients who received kidney and/or liver transplantation prior to presenting with an incisional hernia from 2011 to 2017. All hernias were repaired with open component separation technique (CST) with biologic mesh underlay.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1.0{\pm}8.3years\;old$, with a mean body mass index of $28.4{\pm}4.8kg/m^2$, 15 males (78.9%), and four females (21.1%). There were seven kidney, 11 liver, and one combined liver and kidney transplant patients. The most common comorbidities were hypertension (16 patients, 84.2%), diabetes (9 patients, 47.4%), and tobacco use (8 patients, 42.1%). Complications occurred in six patients (31.6%) including hematoma (1/19), abscess (1/19), seroma (2/19), and hernia recurrence (3/19) at mean follow-up of $28.7{\pm}22.8months$. With the exception of two patients with incomplete follow-up, all patients healed at a median time of 27 days. Conclusions This small, retrospective series of complex open CST in transplant patients shows acceptable rates of long-term hernia recurrence and healing. By using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abdominal wall reconstruction, we believe that modified open CST with biologic mesh is a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in the transplant population with complex abdominal hernias.

청주지역 일부 대학생의 식생활지침 실천여부에 따른 당류 섭취실태 및 당류 저감화 인식 (Sugar Intake and Sugar Reduction Perception by Practice of Dietary Action Guides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Cheongju)

  • 연지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40
    • /
    • 2021
  • 본 논문은 청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을 식생활지침의 실천여부와 당류 섭취 실태 및 당류 저감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당류 섭취 줄이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건강한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식생활지침 실천여부를 점수화한 후 중앙값을 기준으로 식생활지침 실천도가 높은군과 실천도가 낮은군으로 성별에 따라 구분하였다.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식생활지침 실천여부에 따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군간 차이가 없었고, 여학생의 실천도가 낮은 군에서 주당 간식 횟수, 흡연율, 객관적인 단맛 인지도 평가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실천도가 낮은군에서 탄산음료, 가공우유, 집 밖에서의 간식 섭취가 높은 식행동을 보였고, 당류 간식으로부터 당류 섭취량이 실천도가 높은군에 비해 높았다. 여학생의 실천도가 낮은군에서 당류 섭취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비율이 36.59%로 실천도가 낮은군(13.6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당류 섭취 저감화 필요성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간식 구입 시 영양표시를 확인한다는 응답율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실천도가 낮은군에서 낮았다. 영양표시 교육의 필요성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생활지침 실천을 장려하는 것은 대학생의 당류 섭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