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Oriented Thinking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f-understanding on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tudents : A Mediating Effect of the Future-Oriented Thinking)

  • 김남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355-361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미래지향적 사고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지역 중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자기이해 척도, 미래지향적 사고 척도, 자기주도 학습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기이해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미래지향적 사고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고취를 위해 자기이해와 미래지향적 사고 발달을 고려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가정과 학교차원의 자기이해 및 미래지향적 사고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구성요소 간의 경로 분석 연구 (A Study on Path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 이재호;장준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6
    • /
    • 2020
  • 불확실한 미래를 살아가야 하는 미래 세대들이 배양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미래 사회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중심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계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컴퓨팅 사고력은 무엇이며, 어떤 역량들로 구성되는 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컴퓨팅 사고력을 구성하는 역량 요소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의 5가지 역량 요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의 역량 요소 간 관계성을 분석할 수 있는 경로 도형을 설정하였다. 셋째, 컴퓨팅 사고력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생 801명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컴퓨팅 사고력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 내용 분석 - 국내 SW중심대학 중심으로 - (Contents Analysis of Basic Software Education of Non-majors Students for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 Focus on SW-oriented University in Korea -)

  • 장은실;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1-90
    • /
    • 2019
  • 정부는 2015년부터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을 통하여 미래 인재에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에서는 각기 다른 전공지식과 소프트웨어 소양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하여 대학 내 인문, 사회, 공학, 자연과학, 예체능 등 모든 계열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전공자 대상의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전공자 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대부분은 미래사회에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 중심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컴퓨터과학에 기반을 둔 융합 능력 향상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전공별 특성을 반영한 교육 내용과 프로그래밍의 난이도 조정을 위해 블록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와 텍스트 기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고 있다. 문제해결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는 문제 중심 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 중심 학습(Project Based Learning)과 토의 토론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 후 이 논문이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의 체계적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컴퓨팅사고력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 Analysis of Computing Thinking)

  • 이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14-223
    • /
    • 2019
  • 본 연구는 컴퓨팅사고력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연구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컴퓨팅사고력 관련논문 138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컴퓨팅사고력에 관한 연구는 2015년 소프트웨어교육이 의무화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초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개발연구, 실험연구 등의 양적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컴퓨팅사고력 관련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컴퓨팅사고력 관련 변인관계 등에 대한 연구주제가 많았다. 향후 컴퓨팅사고력에 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컴퓨팅사고력을 촉진하는 변인과 그것들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방법, 수업도구 및 매체 활용, 평가방법 등의 실증적인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공학 융합역량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생의 인식 비교분석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 허지숙;황윤자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3-1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ducation requirements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on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ostering engineers suitable to industry demand and direction of focus improvement in the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field. To this end, 73 industrial representatives and 104 engineering students are surveyed the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from an industry perspective. In the IPA results, it shows that new knowledge generation and future-oriented vision skills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And it is showed that the creative thinking, knowledge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apabilities skills need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current competency levels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emic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other academic fields, humanities,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ic plans and efforts to reduce this perception gap should be prepared at the university.

A Study on the Design and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Software Education

  • Kwon, Jungin;Kim, Jaehyo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4057-4071
    • /
    • 2018
  • The software centered world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approaching 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ttach importance to software's ability as one of the key elements for training future human resources. In order to train software centered human resources, each university has designated Software Education as an essential curriculum for not only major but also non-majors. In the past Software Education was an education for a major, but recent Software Education was changed to the essential education that is necessary for all living in the software centered world. In the past the curriculum was focused on softwa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oriented education, but recent curriculum emphasizes sequential arranging and thinking of problem solving. In order to reflect trends in recent Software Education in detail, we integrate Software Education with major concep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main concept of Computational Thinking on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ed learners who received Software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here refers to learners who major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s). In addition, research models of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change was established as the elements of Software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Computational Thinking and Software Education.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by Social Workers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 김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9-58
    • /
    • 2020
  •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 사회복지사 대상으로 2018.6.20.~30 (10일) 간 조사한 49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에서 행동지향, 건설적 사고는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연보상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에서 행동지향, 건설적 사고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연보상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의 행동지향, 건설적 사고는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제언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자력을 활용한 로봇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obot Education Using Magnetic Force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 이재호;김학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75-283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산업구조가 과거와는 다른 모습으로 크게 바뀌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 모습도 빠르게 변화하여 우리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소프트웨어 분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미래 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생들에게 컴퓨팅 사고력을 길러 주는 것은 교육의 핵심 목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생활 속 모습을 소재로 한 소프트웨어 융합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구성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의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에 비해 약 32점이 향상되었으며 비교집단은 약 2점이 향상되었다. 통계상 유의확률은 .028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물은 향후 소프트웨어 융합교육과 미래인재 양성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Human Visual Intelligence and the New Terri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RHA, Ilju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1-16
    • /
    • 2007
  • The general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icate what can be researched in our field based on the new understanding on the ability of human visual intelligence. To follow this aim, three key discussions were followed. The first is to explain why the human visual intelligence research is so important in our field and how it was neglected. The basic orientations of the research questions used in its framing and in answering are reviewed. After reviewing traditional research orientations, as the second discussion, alternative, more useful perspective for thinking about human visual intelligence is suggested. An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on for the future research in general is discussed. In doing so, human visual intelligence was defined in rather practically oriented ways rather than theoretically oriented ones. More practical perspectives were suggested. The third discussion is to show how to use the alternative perspectives of human visual intelligence in the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t was hoped that the article lays out conceptual groundwork for gener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frameworks which can be used for the research conduct, reproduction and sharing by adopting practically oriented views on human visual intelligence as a new terri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수학교육에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의미 및 연구 동향 탐색 (A study on investigation about the meaning and the research trend of computational thinking(CT) in mathematics education)

  • 신동조;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483-505
    • /
    • 2019
  • 세계적으로 계산적 사고를 학교 교육과정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고, 수학교과는 이러한 움직임의 핵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Jeannette Wing의 주장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계산적 사고와 수학적 사고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계산적 사고를 수학교과에 통합한 국내외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