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20.23.4.3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Huh, Ji-suk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jou University)
Hwang, Yunja (Center for Innovation Engineering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3, no.4, 2020 , pp. 3-1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ducation requirements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on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ostering engineers suitable to industry demand and direction of focus improvement in the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field. To this end, 73 industrial representatives and 104 engineering students are surveyed the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from an industry perspective. In the IPA results, it shows that new knowledge generation and future-oriented vision skills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And it is showed that the creative thinking, knowledge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apabilities skills need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current competency levels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emic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other academic fields, humanities,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ic plans and efforts to reduce this perception gap should be prepared at the university.
Keywords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Engineering education; Industry demand; Engineering stud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공학교육혁신연구센터(2016). 산업체 관점에서의 융합 신기술 교육에 대한 수요조사. II-4. Issue Report, 19. 인천: 인하대학교.
2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DOI
3 김경언.김주리.우혜정(2017).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공학 계열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 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공학교육연구, 20(4), 12-20.
4 김영미(2016). 창의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10), 1987-1993.   DOI
5 김재요(2014). 건축공학교육의 산업체 수요분석. 건축, 58(12), 41-45.
6 노태천 외(2011). 고교.대학.산업체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조사 - 지방 C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1), 11-19.
7 박성미(2014). 공학 분야의 학문융합 교육 가능성 분석. 공학교육연구, 17(6), 53-61.
8 백평구(2013).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교양교육연구, 7(3), 349-387.
9 서광규.안범준(2012). 공과대학생의 취업과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지역 산업체의 인식 조사. 공학교육연구, 15(6), 3-8.
10 신동주.황지원.송오성(2019).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K-CESA) 결과에 따른 차이 분석: 계열, 인증여부, 성별,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2(4), 50-60.   DOI
11 오현석.성은모(2013). 융합인재역량 분석 - 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4(4), 201-228.
12 유인상(2010). 공과대학 교육에 대한 교수와 기업담당자의 인식차이 및 해소방안 연구 -경원대학교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6), 1-8.
13 이장익.김주후(2012).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227-246.
14 이재용 외(2017). 융합 교육에서 찾는 공학 교육의 미래. 서울: 한국공학한림원.
15 이정은(2019). 공학역량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22(3), 3-10.   DOI
16 조규락.구준영(2014).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6(1), 157-185.
17 조동헌(2016).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도출과 평가지표개발.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진미석(2016).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연구, 1(1), 1-24.
19 진성희(2019). 4차 산업혁명 관련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사례 조사 및 산업체 수요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36-48.   DOI
20 진성희.김재희(2107). 공학전공 학생들의 융합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공학교육연구, 20(6), 12-21.
21 차석빈 외(2008). 사례를 통해 본 다변량 분석의 이해. 서울: 백산출판사.
22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9). 산업기술인력 수급통계 분석자료집.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3 최상덕 외(2015).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III): 고등교육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 2015-2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4 최영문(2016). 대학교육의 만족도 및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회계 및 경영교육을 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70, 329-347
25 한국공학한림원(2015). 차세대 공학교육 혁신방안 연구. 공학한림원 연구보고서 15-02-01. 서울: 한국공학한림원
26 허지숙(2018). 대학생들의 자기설계학기 참여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56(3), 123-154.
27 홍병선(2016). 현행 융합 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교양교육연구, 10(4), 13-35.
28 Bui, B. and Porter, P.(2010) The expectation-performance gap in accounting education: an exploratory study. Accounting Educ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13(3), 23-50.
29 Chan, C. K. Y., Zhao, Y. & Luk, L. Y. Y.(2017). A validated and reliable instrument investigating engineering students' perceptions of competency in generic skill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6(2), 299-325.   DOI
30 Ebrahiminejad H.(2017). A systematized literature review: Defining and developing Engineering Competencies. 2017 ASEE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columbus, Ohio.
31 Male, S. A. Bush, M. B. & Chapman, E. S.(2011). An Australian study of generic competencies required by engineers.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6(2), 151-163.   DOI
32 Martilla, J. A., & James, J. 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DOI
33 Oh.(2001).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22(6), 617-627.   DOI
34 Hundley, S. P.(2013). The attributes of a global engineer project: Updates, inputs, faculty development considerations. ASEE International Forum(June 2013). http://nlagroup.com/images/Publications/GlobalPerspectiveCulturalAwaren ess/International_Day_ASEE_2013_-_Attributes_of_A_Global_Engineer%20(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