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ingredient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9초

건강기능성식품 기능성원료로서 양파껍질추출물의 품질특성 (Potential of Onion Peel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s)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07-1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고자 양파껍질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양파껍질추출물에 대한 생리적 기능성과 같은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껍질추출물에서는 K가 13,767.56~15,506.78 ppm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Na이 8,602.44~9,796.00 ppm, Ca은 4,255.78~4,903.33 ppm으로 세 번째로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Mg, P, Fe은 각각 1,433.11~1,561.22 ppm, 1,212.44~1,428.89 ppm, 760.67~858.89 ppm의 함량을 차지하였고 Zn은 34.11~66.89 ppm으로 미량 검출되었다. Total phenol 함량은 598.57~626.73 mg/g, total flavonoid 함량은 211.73~238.52 mg/g 범위로 quercetin 함량은 93.67~107.29 mg/g의 범위로 나타났다. 양파껍질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00 ppm에서 16.45~17.92%, 200 ppm은 29.96~35.41%, 1,000 ppm은 81.05~84.60%의 소거활성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은 10,000 ppm에서 31.92~39.29%, 20,000 ppm에서 85.85~91.5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능은 20,000 ppm 농도에서는 plasmin에 비해 약 3배 높은 활성을 가졌다. 따라서 양파껍질 추출물은 항산화력 및 항혈전효과능을 가진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체지방 감소에 대한 털부처꽃 추출물의 효과: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대조군 비교 인체적용시험 프로토콜 (Effect of Lythrum salicaria Extract on Body Fat Reduction: A Protocol for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박혜진;허인;박예진;안효진;신수;차윤엽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7-93
    • /
    • 2024
  • Objectives: Obesity is a globally prevalent public health issue. Henc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afer and more effective anti-obesity drugs. Lythrum salicaria,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used for centuries,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fat accumulation. It also has a low toxicity profile. Therefore,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health functional foods needs to be evaluated. Methods: In this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90 participants will b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Each subject will orally receive L. salicaria extract (1,350 mg/day) (500 mg L. salicaria+850 mg lactose as vehicle) or lactose (1,350 mg/day) as a hard capsule formula for 84 days (12 weeks). The primary outcome will be body fat mass (kg), which will be assess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performed only at visits 2 and 4). Secondary outcomes include body mass index, body weight, waist-to-hip ratio, body fat percentage (%) measured using DXA, lean body mass (kg) measured using DXA (assessed only at visits 2 and 4), lipid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calculate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ree fatty aci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adiponectin, and leptin. Conclusions: This protocol will be implemented after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pproval number: PNUKHIRB-2022-08-002) and registration with the Korean National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 (CRIS-KCT0008060). The results of this trial will provide potential of L. salicaria as a new anti-obesity functional food with fat-reducing effects and low toxicity.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54-161
    • /
    • 2010
  • 도화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한 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0ppm에서 각각 54.0, 58.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40.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였다. 또한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56.5%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57.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1,000ppm에서 48.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ppm에서 41.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아세톤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화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밤부산물(율피)의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The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of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 장민정;천순주;김희영;권대준;김학윤;김세현;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4-738
    • /
    • 2011
  • 율피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름개선, 미백 및 수렴효과를 검증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과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율피 아세톤 추출물 100 ug/ml에서 51.0%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50 ug/ml 에서 96.4%, 94.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세톤 및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비교시 약 50%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율피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오이풀 아세톤 추출물을 이용한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Sanguisorbae officinalis L. with Acetone)

  • 김희영;여신일;이진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89-93
    • /
    • 2011
  • 오이풀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electron donating ability을 측정한 결과 ethyl actate 층과 n-butyl alcohol 층이 전 농도에서 대조군 BHA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결과 ethyl acetate 층, n-butyl alcohol 층, water 층 모두 전 농도에서 99%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BHA와 유사하였다.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 결과 ethyl acetate 층, n-butyl alcohol 층이 대조군 ascorbic acid 보다 효과가 높았다.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n-butyl alcohol 층이 1,000 ${\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효능이 있었으며,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n-butyl alcohol 층의 1,000 ${\mu}g/mL$에서 45%의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오이풀 아세톤 추출물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층과 n-butyl alcohol 층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새로운 항산화 화장품의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쑥부쟁이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ter yomena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1-153
    • /
    • 2015
  • 쑥부쟁이 분말을 첨가하여 부가가치 기능성 성분으로 가능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쑥부쟁이가루 첨가(0,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품질특성, 밀도, 반죽 pH, 퍼짐성, 수분함량, 색도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관능 특성을 측정했다. 경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크게 쑥부쟁이의 함유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되었다. pH와 반죽의 밀도, 명도 L값은 쑥부쟁이를 첨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쿠키의 관능검사에서 쿠키의 색과 맛,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특성의 결과는 3%와 5% 첨가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7%와 9%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3%와 5% 첨가군이 대조군과 다른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외관, 향은 쑥부쟁이 가루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쑥부쟁이 첨가 쿠키 제조 시 품질특성, 항산화성, 기호도 면에서 3%, 5% 가장 높게 평가되어 쿠키의 관능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3~5%의 쑥부쟁이 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3~5% 쑥부쟁이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품질 특성이 높고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쿠키제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쑥부쟁이 분말 쿠키는 품질, 기호도 측면의 관능평가 결과로 전반적인 충분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쑥부쟁이 분말을 이용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아바 잎 분말 첨가가 양념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uava Leaf Powder on the Quality of Seasoned Pork)

  • 박영미;한병렬;김영중;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2
    • /
    • 2013
  • 본 연구는 저지방 양념 돈육에 구아바 잎 분말을 첨가하여 천연 연육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첨가량을 찾아보고자 양념 돈육의 수분, pH,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관능적 특성(정량적 묘사분석, 기호도 검사)을 측정하였다. 수분은 가열육의 경우 생육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구아바 첨가량 1% 첨가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는 생육은 1%, 1.5%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구운 고기에서는 대조군, 1%, 2%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육과 구운 고기의 명도는 1% 첨가 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값의 황색도는 높아졌지만 a값의 적색도는 낮아짐을 확인했다. 텍스처 특성에서 탄력성은 1% 첨가 군에서 가장 높았고, 그 밖의 씹힘성, 경도, 검성은 1%와 1.5%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이며 첨가율 증가에 따른 연육효과를 확인했다. 정량적 묘사분석에서 갈색은 구아바 잎 분말 첨가율의 증가에 따라 갈색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고기 누린내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구아바 잎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누린내가 약하게 나타났다. 구수한 향미, 연도와 다즙성, 쫄깃한 정도에서는 모두 구아바 잎 분말 1.5%첨가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시료는 구아바 잎 분말 첨가 1.5%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아바 잎 분말 1.5%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효과와 기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향후 돈육의 소비불균형의 해결과 기능성 재료로서의 연육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마라소스 주원료인 고추 및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Effects of Red Pepper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Ethanol Extract, Main Ingredient of Mara Source)

  • 공연희;최금부;김태석;여익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44-15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중국 사천지역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확인 후,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중국 사천지역 고추,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투여 후 체중, 간과 복부 피하지방 무게,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고추 및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HCA(hydroxyl citric acid)를 경구투여한 군의 6군으로 분류하여 8주간 사육 후, 체중, 간, 피하지방,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간, 복부 피하지방, 혈장지질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 8주 후 고지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켰고, 복부 피하지방 양은 고지방군 3.77 g, 고추군, 산초군, 고추와 산초복합군은 각각 0.88 g, 0.9 g, 0.97 g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복부 피하지방 양을 감소시켰다(P<0.05).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혈액 내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고지방군에 비해 고추, 산초 및 고추와 산초복합군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P<0.05)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콜레스테롤의 분해 및 배설을 촉진하여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량을 감소시켜, 고추 및 산초에탄올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만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황을 첨가한 발효유의 발효특성과 면역조절 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Modulating of Fermented Milk with Curcuma longa L Powder)

  • 렌친핸드;손지윤;어르가말;백승희;이조윤;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3
    • /
    • 2015
  • 강황 (Curcuma longa L.)은 건강기능성 식품의 훌륭한 소재로 전통적인 약용식물이다. 강황의 주요성분인 안토시아닌계인 curcumin은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는 혼합유산균을 스타터로 사용하여 강황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발효유의 발효특성은 대조군에 비해 강황 첨가군에서 유산균의 성장이 현저히 빠르게 나타나 pH는 감소되었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우유단백질의 분해도 부분적으로 일어났고 유기산은 lactic acid와 acetic acid가 높게 생성되었다. 기호도는 강황 특유의 쓴맛과 강한 향으로 인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강황 발효유 배양액을 처리한 RAW 264.7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염증성 싸이토카인으로 TNF-${\alpha}$와 IL-6는 강황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강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NO의 생성은 강황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황 첨가가 유산균의 성장을 촉진시켜 발효유 제조에 도움을 주고, 염증활성을 조절하므로 강황을 이용한 발효유, 음료 제품 및 다양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주름개선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Anti-Wrinkle Materials using Galloyl-Peptide Derivatives)

  • 정해수;송미영;김형식;서효현;이정훈;이경록;홍일;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52-5457
    • /
    • 2015
  •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phytochemical에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펩타이드의 결합을 통해 소재 자체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수용액 상태에서의 분산성을 증대시켜 주름개선 효능과 더불어 우수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항산화, 항염 및 항암 등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phytochemical인 갈릭산을 이용해 phytochemical-펩타이드 유도체를 개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갈릭산에 LVH, IVH, KTTKS, YGGFM, YGGFLRKYP 총 5종의 펩타이드를 각각 합성하여 만든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real-time PCR로 주름개선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종 유도체 모두 우수한 자유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collagen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collagen 생성시 분비되는 펩타이드의 증가를 통해 항산화뿐만 아니라 주름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갈릭산 펩타이드 유도체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