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Motiva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초

병원 전산시스템 활용에 영향을 주는 컴퓨터불안과 제변수간의 관계 (A Correlation of the Computer Anxiety 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pplication of a Hospital Computer System)

  • 김용순;박지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7-632
    • /
    • 1995
  • Nowadays, most big hospitals have a computer system to manage their administration. For maxi mum effectiveness in managing the computer system, an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its implementation is necessary from the beginning.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operation of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The theoretical base for this study considered the combined effects of user expectations of computerization, and computer-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theoretical base were analyzed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each variable were also analyzed. This study was done in two steps. First, 344 nurses were given an initial questionnaire develop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Based on the results, a second revis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8 nurses who had been working in the areas where H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itial study was done with nurses who were trained on the computer system briefly before HIS was implemente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computer anxiety and expectation regarding computer system usage in that initial study included, length of career, type of degree or certification, previous experiences with a computer, training on a computer, desire for computer training, and level of acceptance of a computerized work environment. But in the second study with nurses working in areas of the hospital where HIS was introduced, the work site was the only influenc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applying a computer system, overcoming work-environment barriers will be more import-ant than any individual characteristics. 2. The computer anxiety of the nurses i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computer system ap-plication, was below the average level but the expectation of the effects of computerization was above average. The nurses using the computer program showed an abov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omputer system itself, and with its effect on their efficiency. Therefore, the ability of nurses operating HIS will be positively. predictive. 3. For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all of the correlational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variation correlation. Therefore, the theoretical base of the study, "expectation in con junction with computer anxiety" can be considered an model which can be evaluated.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nurses' motivation to use the computer system and the lower the anxiety about computer usag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computer system acceptance by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applying a computer system in the hospital, the main characteristic influencing acceptance was where the individual worked ra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length of career, type of degree or certification, and previous experiences with a compute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first step in uncovering and eliminating hindrance factors in ap-plication of a computer system should be an analysis of working conditions in relation to the functional content of the computer system. The suitability of the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hypothesis ap-plied in this study should be further tested.

  • PDF

정보화시대를 대비한 CAI로서의 Web 활용 (Using Web as CAI in the Classroom of Information Age)

  • 이광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8-48
    • /
    • 1997
  • 컴퓨터, 정보생산능력, 공동 생산과 이용, 기능적 사회, 참여적 민주주의, 시간 가치의 중요성, 인간의 자율성과 공동목표 등은 정보화사회의 특징이다. 인간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정보 공학을 이용한 주변 문제의 해결능력은 우리의 중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화사회를 대비한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정보사회의 특징과 현재의 교육과정, 교육환경 및 교사교육의 교육 현장 측면을 고찰한후 CAI와 인터넷의 특성을 요약하고, 마지막으로는 CAI로서의 웹 활용을 제시하였다. 거대한 통신망인 인터넷을 교육에서 활용하면 개인차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해 줄 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풍부한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또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한편 하이퍼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서비스인 웹은 학업 성취도 고양, 창의력,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인터넷과 웹은 오랫동안 폭발적인 통신 도구로 우리 곁에 있게 되며, 다양한 데이타뱅크로 부터 여러가지 형태의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원격교육이나 재택가강의에도 활용되어 보편화 될 것이다.

  • PDF

스마트폰 사용행태 분석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and Intention of the Health Care Application in the Analysi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

  • 양재민;현병환;옥준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303-315
    • /
    • 2020
  • ICT의 발전으로 모바일과 헬스케어의 융합을 통해 건강 관리와 관리 효율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확산되고 있으나 소비자의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수용과 불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비자 행동과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과 수용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흡한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각 여부와 그로인한 위험성 인지와 해결하고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의도 및 기능과 가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BIO 2018 in Boston' 전시회에 참가 및 참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5일간 1:1심층 설문 작성한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표본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스피어만 상관분석, 카이제곱검정, 일원분산분석, 정확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바르지 못한 자세를 자각 할수록 위험성 인지와 문제해결 행동의 의지도 높다. 둘째, 헬스케어 앱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과 함께 건강관리와 헬스케어 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사용자 행동변화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또는 기능구현에 포커스를 맞춰야한다. 넷째, 시각적으로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효율적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청 행위의 가치 사슬 구조 연구 국내 수도권 지역 대학생의 뉴스, 드라마, 코미디 프로그램 시청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Value Chain Structure on TV Programs Focused on Means-End Chain theory on News, Drama, and Comedy)

  • 권상희;차민경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1권
    • /
    • pp.194-223
    • /
    • 2015
  • 이 연구는 TV 프로그램 시청 선택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 단계 요인을 분석(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시청 가치), 시청자의 어떠한 욕구가 시청 행위와 관계를 가지는지 '가치단계도(HVM, Hierarchical Value Map)'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를 적용, 개인적 가치와 시청 행위 간의 인과관계를 측정하였다. 특히 다매체 시대에 태어나 다양한 시청권 활용에 비교적 능숙한 우리나라 20대 대학생들의 TV 시청 행위 가치단계도를 조사하여, 미래 미디어 환경에서 TV의 역할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APT 래더링을 활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25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TV 장르별(뉴스, 드라마, 코미디) 프로그램 선택의 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시청 가치에 이르는 수단-목적 가치 사슬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TV 뉴스는 시청각 요소를 통해 빠르고 쉽게 정보를 습득하여 실생활에 도움을 얻는 데에 활용되고 있었고, 개인적 사회생활을 원활히 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었다. TV 드라마 선택은 '주변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이들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선택 목적이었다. 프로그램의 사회적 명성과 인기가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채널의 신뢰도, 제작사의 브랜드가 드라마 선택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진, 제작진과 프로그램 자체의 명성이 선택의 주요 요인이었다.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선택 요인에는 프로그램 신뢰감이 선택의 중요 기본 요인이며, 시청 가치는 타인과 우호 관계 증진, 소속감, 활기찬 삶이 심리적인 속성과 상관관계를 가졌다.

  • PDF

스마트 밴드에 대한 사용자경험 분석 (User Experience Analysis of Smart bands)

  • 김건아;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99-105
    • /
    • 2017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의 발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사회로 진입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이 2020년까지 급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대중적인 호응은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용자경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스마트밴드로하여 상품리뷰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경험은 유용성, 사용성, 심미성, 가치성, 신뢰성으로 추출할 수 있었고 이렇게 추출된 자료에서 극성을 분석하여 시각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격이 고가이고, 기능 개발에 집중되어 있어 축적된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패션아이템이나 악세서리로 인식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제품의 지속적인 사용과 동기부여, 제품의 시장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2차로 스마트워치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밴드와 워치에 대한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노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일상생활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김희자;홍여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73
    • /
    • 1995
  •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Recent statistics shows that the aged are the fastest growing segment of our population by increasing life span. The age group of over 60 shows multiple health problems and the most serious handicapping problem of these. are related to the changes in muscular skeletal system. With aging, people lose. their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resulting from biological changes and physical inactivity. Studies documented a 30-50% loss of muscle mass in an advanced age and thus, ordinary life activities can be seriously affected due to weakened muscle strength. Preservation of muscle strength of lower limb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aged. Since it is readily affected from reduced physical activity in old age, sometimes to the detriment of moving or walking. So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designed for the elderly to improve leg muscle strength and leg muscle endurance. The research design used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 protest desig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utilizing Leg Press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Forty nin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four male and twenty five female. Twenty four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C-institution in Chung Buk province, and twenty fiv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O-institution in Chung Nam province.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2.8 years.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utilizing Leg Pre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9 week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993 to October, 1993.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t-test, ANCOVA test, Kruskal Wallis 1-Way ANOVA test using SPSS PC program.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muscle strength (leg lift strength, back lift strength and grip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than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ulcorner$F=52.35(p=.001), F=54.07(p=.001), F=6.97(p=.011), F=18.17(p=.001)$\lrcorner$ 2)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IADL than control group(F=7.51, p=.009). 3)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economical state and self esteem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than control group $\ulcorner$F=10.59(p=.002), F=6.97(p=.011)$\lrcorn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motional state, physical and functional state and relationship with reatives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s. 4) Scores on IAD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ulcornerx^2=7.73(p=.025),\;x^2=8.86\;(p=.011)\lrcorner$ 5) Scores on self esteem and physical and functional state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IADL $\ulcornerx^2=11.39(p=.003),\;x^2=9.02(p=.011)\lrcorner$. 6)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experiment in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perceived benefit on exercise, perceiv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emotion on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ulcorner$F=32.09(p=.001), F=5.07(p=.029), F=20.63 (p=.001), F=30.38(p=.001)$\lrcor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of strength training exercise program with Leg. Press had improved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ADL, and the perception of self esteem, physical and funtional state, and economical state. Thus strength training program could be beneficially applied for the prevention of disablity and promotion of health and wellbeing in the aged easily and safel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maintained their exercises till six months after the cessation of the experiment. This seem to illustrate that changes in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and the improvement in health status have reinforced motivation for the continuation of voluntary exercises.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maintainance of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to assess the effect of weight training program on bone density.

  • PDF

유료 유튜브 채널멤버십 이용동기가 이용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가치이론을 기반으로 (The Effect of Paid YouTube Channel Membership Motivation on Usag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Consumption Value Theory)

  • ;권지윤;양성병
    • 서비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181-203
    • /
    • 2023
  • 유튜브는 OTT와 개인방송 플랫폼의 특성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브리드적 특성을, 특히 유료 채널멤버십의 맥락에서 조사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치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튜브 유료 채널멤버십과 관련된 소비가치 요인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유튜브 유료 채널멤버십 맥락에서 인지된 네 가지 소비가치 요인(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을 도출하고, 각 요인이 이용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후, 이러한 관계에서 상황적 가치(유료 유튜브 멤버십 채널에서의 실시간 방송 시청경험)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데이터는 여러 유료 유튜브 채널멤버십에 가입한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274부가 수집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네 가지 소비가치 요인이 모두 이용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용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적 가치 또한, 기능적/감성적 가치와 이용만족 간의 관계와 이용만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OTT와 개인방송 플랫폼의 특성을 모두 포괄하는 유튜브 채널 유료 멤버십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연구로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인방송 진행자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시청자의 이용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채널멤버십 가입 및 지속유지를 유도하는 동기부여 요인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령별 성인 여성의 체중감량 다이어트 실태와 만족도 및 관련지식 (Weight Reduction Dieting Survey and Satisfaction Degree and Diet Related Knowledge among Adult Women by Age)

  • 김명경;이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72-582
    • /
    • 2006
  • 서울지역에 거주하는20대부터 50대 이상에 이르는 각 연령층의 여성 4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4년 6월부터 8월에 걸쳐 체격 및 비만도, 전반적인 다이어트 실태조사, 다이어트 방법에 대한 만족도, 다이어트에 관한 지식, 다이어트 후 경험한 부작용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20대 25.8%, 30대 26.5%, 40대 24.2%,50대 이상 23.5%이었으며 학력은 고졸이 32.6%로 가장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키는 160.45 cm, 체중 56.01kg, 희망체중 51.87 kg, BMI 21.92 $kg/m^2$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BMI를 체격지수로 한 비만도는 저체중(BMI<18.5)은 10.1%, 정상군($18.5{\leq}BMI{\leq}22.9$)은 58.4%, 과체중($23.0{\leq}BMI{\leq}24.9$)은 17.6%, 비만($BMI{\geq}25.0$)은 14.0%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비만도가 증가하였다(p<0.05). 다이어트의 목적은 '건강을 위해' 52.3%, '몸이 무거워 거동이 불편해서' 15.0%, '아름다워 보이기 위해서'가 32.6%이었으며, 아름다워지기 위한 다이어트는2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건강을 위한 다이어트는 40대, 50대 연령대에서 높았다(p<0.05). 가장 효과적이었던 다이어트 방법은 운동요법(50.2%), 식사요법(45.0%), 기타요법(4.8%) 순서이었다.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 횟수에 있어서 46.5%가 '전혀 하지 않는다'라고 답하였으며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운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당 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 횟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다이어트에 관한 정보 출처는 '가족, 친구' 31.7%, '신문, 잡지' 29.3%이었으며, 군살의 원인은 '식습관'이 39.6%, '운동부족'이 38.3%, '임신과 출산'이 10.5%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도가 높은 다이어트 방법은 식이 다이어트에서는 유기농 식품이었으며 유기농 채소와 잡곡밥 그리고 기능성 다이어트밥 등은 40대, 50대 연령대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운동 다이어트로는 유산소 운동, 외과수술 및 스페셜 다이어트로는 사우나, 찜질방, 고온 반신욕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 및 비만도에 따른 다이어트 지식에 대한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모두 9.02점이었으며 연령이 감소함에 따라서 영양지식 점수는 증가하였다(p<0.05). 다이어트 지식에 대한 정답율은 '성인병과 비만과의 관계'가 가장 높은 정답률(97.7%)을 보인 반면, '식사속도와 비만과의 관계'가 가장 낮은 정답률(83.3%)을 보였다. 다이어트 중의 부작용은 '어지러움증, 빈혈' 16.2%, '피로' 15.1%, '소화불량'과 '변비'가 각각 11.1%, '전신무력감'이 10.5%, '집중력 감소' 7.8%, '피부건조'가 7.4%, '의욕상실' 6.7% 순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체중감량 다이어트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식이 다이어트는 친환경을 지향하는 '유기농 채소', 운동 다이어트는 '유산소 운동'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으로 변화된 학교 밖 청소년의 수학학습 특성 분석 (An Analysis Study on Mathematics Learning Characteristics of Out-of-School Youth through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s and Music)

  • 김영인;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13-334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수학중심 융합인재교육을 통한 수학학습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수학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융합인재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음악의 융합인재교육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학학습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고등학교 졸업 검정고시 수학 학습반을 수강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수학-음악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자료 개발 및 수업적용, 적용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검정고시와 연계한 수학과 음악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서 수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 및 문제풀이 전략의 긍정적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학학습 발전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수학중심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중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