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ying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9초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가열조리에 의한 지방산조성의 변화 (Effects of Cooking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with CLA Fortified Diet)

  • 박은정;김종태;최영준;최병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10-1714
    • /
    • 2010
  • CLA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하고 성장한 고등어에 함유된 EPA, DH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지방산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요리하였을 때의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가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양식 고등어의 적절한 조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리 후 포화산 및 모노엔산은 생육의 Control 27.5%, CA25 28.8%와 차이가 없었다. 폴리엔산 역시 RO-8GM, RO-8CM이 31.2%, 30.7%, BO-8GM, BO-8CM은 27.1%, 31.5%, CA-8GM, CA-8CM은 25.4%, 28.4%를 나타내어 생육의 Control 29.4%, CA25의 31.9%와 비교하였을 때 된장조림 및 통조림의 경우 CLA 무첨가구에서 함량이 감소하였지만, CLA 첨가구에서는 통조림구에서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리된 고등어 중 n-6/n-3의 비는 구이의 경우 Control 및 CA25구 각각에서 0.29, 0.24, 된장조림의 경우 각각 0.28, 0.27 그리고 통조림의 경우 각각 0.28, 0.31로 나타났다.

Cook/Chill System에서의 고기완자 제조에 관한 연구 1. Herb를 이용한 고기완자의 제조 및 품질특성 (A Study on Preparation of Wanjajun for Cook/Chill System 1. Preparation of Wanjajun with Herb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강은주;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61-666
    • /
    • 2003
  • 단체급식에서의 cook/chill system을 위한 완자를 제조하되, 제조와 저장중에 일어 나는 이화학적 변화를 최소화시키는 완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완자의 지방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지연시키고자 천연 항산화제인 허브를 2% 첨가하였다. 전통적인 방식인 pan-frying으로 기름온도 11$0^{\circ}C$에서 6분 이상 조리하여 내부온도가 74$^{\circ}C$ 이상이 되게 한 다음 냉장고에 넣어 내부온도가 3$^{\circ}C$가 되도록 냉각시킨 후에 비닐팩에 넣어 3$^{\circ}C$에서 8일간 냉장저장하면서 완자의 산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완자의 조리, 저장 중 대조구에 비하여 허브를 첨가한 완자의 산가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sage 첨가구는 4.23 KOH mg/g으로 가장 낮은 산가를 나타냈다. 과산화물자도 sage 첨가구가 가장 낮은 산화양상을 나타냈고 (22.0 meq/kg) 다른 허브의 첨가구들도 대조구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TBA가는 rosemary/parsley/thyme 첨가구가 0.29 mgMA/kg으로 가장 낮았고, sage 및 basil/mints 첨가구도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여 허브에 의해 산화반응이 지연되거나 산화생성물이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완자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허브향 자체에 거부감이 없고 오히려 고기 특유의 냄새를 없애주는 것으로 나타나 추출물이 아닌 허브 자체의 천연 항산화제로의 활용 가능성은 물론 육제품의 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SA>RPT>BM 처리구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른 농약의 세척 및 조리방법에 의한 감소계수 산출 (Reduction Factors of Pesticides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under Washing and Cooking Conditions)

  • 유영화;이영선;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37-543
    • /
    • 2011
  • 농약을 안전하게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인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의 결정요인 중 하나인 감소계수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더욱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농산물별, 농약별로 이루어져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농약의 감소계수를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산출하고자 실험을 계획하였다. 먼저 농약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288개의 농약을 대상으로 하여 이온화그룹포함여부, log P, 끓는점에 따라 propamocarb, azoxystrobin, fenarimol, dichlorvos, edifenphos, cypermethrin, fenvalerate의 농약을 선별하였다. 이 중 회수율과 농약의 전처리과정에서 실험이 어려웠던 propamocarb와 azoxystrobin은 최종 데이터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해당 농약들을 수돗물, 5% 아세트산 수용액, 20% 에탄올 수용액, 0.15% 세제액의 4가지의 세척방법과 데치기, 튀기기 2가지의 조리방법 총 6가지의 조건을 처리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log P와의 상관성에 있어 5% 아세트산 수용액은 0.336(p=0.221)로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었으나, 수돗물에서의 세척은 -0.835(p<0.001), 20% alcohol solution에서는 -0.659(p<0.01), 세제세척에서는 -0.939(p<0.001)의 값을 얻었다. 데치기와 끓는점은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log P와는 0.620(p<0.05)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튀기기와 끓는점은 상관성이 있으나, 이보다는 log P와의 상관성이 -0.913(p<0.001)로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세척과정에 있어서는 농약의 잔류에는 단순히 농약자체의 수용성 뿐 아니라 작물의 침투성도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조리과정에 있어서는 농약의 잔류에는 log P와 끓는점이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유아 어머니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of mothers of under toddler)

  • 송지호;김순애;문영수;박영주;백승남;변수자;이남희;조결자;조희숙;최미혜;최양자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3-165
    • /
    • 1993
  •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Seoul are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The subjects were mothers of 255 childs 1-36 months of age who have experienced breast feeding over one month. Recognition of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aby's health",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infant", "mother's health", "for economic reasons". The majority of mothers got information of breastfeeding through booklets(64.7%), from her mothers(44.7%), through T.V or Radio (45.5%), School education(41.6%) from mother in law(36.5%), and did not perceive professional advice from nurses or doctors as important. "Lack of milk" was the predominant reason for for terminating breastfeeding. Efforts for practice of breastfeeding was comparatively high because of experienced mothers of breastfeeding. Some of them were "frying to take liguid diet and nurtitional food for increasing secretion of milk", "fed on by infant-demanded schedule". Duration of breastfeeding was under on month (31.0%), 1-3 months(25.5%), 3-6 months(19.6%), 6-9 months (11.0%). Degre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location of delivary(big hopital), Rooming in, over 5 months of breastfeed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effective and supportive breastfeeding program developed by nurses have to provide to mothers of infants to take an important role in breastfeeding.

  • PDF

"뇌공포자론(雷公炮炙論)"에 관한 연구 - 포제(炮制)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eiGongPaoZhiLun(雷公炮炙論)" - Centering Of Processing Of Medicinal -)

  • 하홍기;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50
    • /
    • 2011
  • "LeiGongPaoZhiLun" is the first pharmaceutical book, and there are various opinion on when LeiXiao(雷斅), the author lived. From the aspect of several data, it is appropriate most that LeiXiao live in the period of Sui(隋) Dynasty, like SuSong(蘇頌) in the Sung Dynasty said, This book was not made at one time by one person. At the beginning, it was written by LeiXiao and the later generations enlarged to finish. The original of "LeiGongPaoZhiLun" disappeared already but a large amount of this book was quoted to "ZhengLeiBenCao(證類本草)" to be preserved. The contents of "LeiGongPaoZhiLun" are the first professional book about processing of medicinal, in which most of processing of medicinal that is generally used today, is included and some methods are unused. Besides, the regulations of this book are specific, the range is broad, and theoretical frame i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This book has abundant contents, in which several processing of medicinal are written. There are 10 methods such as steaming(蒸法), boiling(煮法), baking(炮法), stir-frying(炒法), calcining(煅法), long time boiling(煉法), scorching(燒法), baking after wrapping(煨法), immersing(浸法), washing(洗法), flying(飛法), etc. How to remove some section that is not used for drug, how to separate according to medical use and region to be applied, how to smash, how to cut, how to dry, container for medicine, warning for making a prescription, time to make medicine and amount of medicine, how to distinguish superior and inferior and origin, how to make medicine partially, etc, are contained in this book. The contents of "LeiGongPaoZhiLun" can be mixture of processing of medicinal of medical scientists and taoists. In conclusion, however, the effect by the later medical generations of "LeiGongPaoZhiLun" was not great on processing of medicinal. It stemmed from the difference of processing of medicinal in this very taoistic book that realistic difficulties were disregarded by taoists for training and practical purpose, treatment that is the reason that later medical generations used processing of medicinal. Consequently, there is no great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of medicinal in the Sung Dynasty and this book. "LeiGongYaoXingFu(雷公藥性賦)" that was abundant in medical market in Ming(明) and Qing(清) period has no relation with "LeiGongPaoZhiLun" is kind of a distribution-purposed book that was mnge in or after Ming Dynasty. However, since a book that is said to be written by 'LiGao(李杲)'PaoZhihis nof a dijust borrowed and focus on a brief summery, it is not desirable for beginners to learn medical knowledge. "LeiGongPaoZhiLun" is the first pharmaceutical book and is a model to show how a science in the history of the herb medicine generated and developed and how such a book is changed and modified to make a change of value.

Variation in Carotenoid Composition in Carrots during Storage and Cooking

  • Lim, Chae-Jin;Kim, Hyun-Young;Lee, Cheol-Ho;Kim, Yong-Ung;Back, Kyong-Whan;Bae, Jung-Myung;Lee, Shin-Woo;Ahn, Mi-J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40-245
    • /
    • 2009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carotenoid composition of carrots during storage and cooking. Analyse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harvest and 1, 2, 4, and 8 weeks after harvest. During the course of the storage, the carotenoid levels generally decreased, and this decrease was found to be greater during the first week for $\beta$-carotene (all-trans-$\beta$-carotene) and lutein, and during the second week for $\alpha$-carotene. Additionally, the amount of the $\alpha-$ and $\beta$-carotenes in carrot leaves changed slightly within the first 2 weeks of harvest when stored at $4^{\circ}C$. Specifically, the level of lutein, the main component of carrot leaves, increased from 233.8$\pm$11.7 to $346.2\pm26.7{\mu}g$/g DW during the first 2 weeks. In addition, the change in carotenoid contents was observed during the home-processing of one Korean cultivar. Carrots fried in oil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beta$-carotene ($164.3\pm6.6{\mu}g$/g DW) and $\alpha$-carotene ($50.1\pm0.4{\mu}g$/g DW), while carrots that were prepared by sauteing, pressure-cooking in water and microwaving had the second highest levels. The greatest loss of in carotenoids occurred in response to boiling in water containing 1% NaCl, braising and baking. The content of lutein increased slightly after boiling in water containing 1% NaCl ($9.3\pm0.4{\mu}g$/g DW), while a loss in lutein occurred after preparation using other home-processing methods. A cis-isomer of all-trans-$\beta$-carotene, 13-cis-$\beta$-carotene, was present in detectable amounts in all processed samples, but not in raw roots. Another isomer, 9-cis-$\beta$-carotene, was detected in carrots that were prepared by boiling, frying and pressure-cooking.

열풍건조온도에 따른 수삼건조속도 및 건조수삼의 이화학적 특성 (Drying Rat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Ginseng Root at Different Temperature)

  • 하대철;이종원;도재호;박채규;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41-746
    • /
    • 2004
  • 압출성형공정을 홍삼화 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삼을 압출성형하려면 35% 이하로 수삼을 건조하는 전처리가 필요하다. 수삼을 건조하기 위하여 파쇄한 수삼과 뇌두부위와 미근과 세근부위를 제거하고 주근과 지근을 가진 주근수삼으로 각각 전처리하여 건조온도 80, 100, 12$0^{\circ}C$에서 수분함량의 감소속도 및 건조수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파쇄수삼의 건조온도는 8$0^{\circ}C$에서 건조시간이 35% 이하로 수분을 감소시키는데 6.2시간이 걸리고 생성된 총 진세노사이드의 양도 10$0^{\circ}C$와 12$0^{\circ}C$ 건조보다 낮았으므로 전처리 건조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았다. 또한 10$0^{\circ}C$와 12$0^{\circ}C$ 건조를 비교할 때 35% 이하의 수분함량으로 걸리는 시간은 5.7시간과 3.5시간으로 12$0^{\circ}C$ 건조조건에서 2시간 정도 단축되었으나 적색도는 5.20에서 7.23으로 1.39배 증가하여 가루의 색깔이 홍삼과 차이가 있었다. 75% 에틸렌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갈색과 적색의 반응속도는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Rb1, Rb2, Rc, Rd, Rg1,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정성적으로 측정한 말톨의 양은 10$0^{\circ}C$와 12$0^{\circ}C$ 건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총 진세노사이드와 말톨 양을 고려할 때 12$0^{\circ}C$보다 10$0^{\circ}C$에서 압출성형 전처리공정으로 수삼을 열풍 건조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7세기 이전 주식류의 문헌적 고찰 (Investigation of Main Dishes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김은미;조신호;정낙원;최영진;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14-336
    • /
    • 2006
  • In this treatise, we investigated the Korean literature of main dishes before the 17th century : ${\ulcorner}Sangayorock{\lrcorner}$, ${\ulcorner}Sasichanyocho{\lrcorner}$, ${\ulcorner}Soowonjabbang{\lrcorner}$, ${\ulcorner}Yongjechongwha{\lrcorner}$, ${\ulcorner}Dongyoebogam{\lrcorner}$,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ulcorner}Geebongyouseul{\lrcorner}$, ${\ulcorner}New-Guwhangchalyo{\lrcorner}$, ${\ulcorner}Eumshickdimibang{\lrcorner}$,, ${\ulcorner}joobangmoon{\lrcorner}$, and ${\ulcorner}Yorock{\lrcorner}$. Main dishes were classified 19 kinds of rice, 64 kinds of gruel, 6 kinds of thin gruel, 1 kind of Moori, 1 kind of rice-cake soup, 37 kinds of noodles and 20 kinds of dumpling. Rice varieties were brown rice, rice, hulled rice, millet rice, foxtail millet rice, barley rice, sesame rice and flax seed rice. Gruel ingredients were cereal, beans, vegetables, nuts or seeds, medical plants or hardy wild plants, poultry, pork's kidney, dog's liver or oyster, clam and/or milk Rice-cake soup was 'Tangbyun' in ${\ulcorner}Domoondaejak{\lrcorner}$. Noodles were divided by main flours: wheat flour, buckwheat flour, mung bean flour and other flours. Noodles were made by pressing or cutting method. Pressing method used a mold with a hole. The husk of dumpling was made by wheat flour, buckwheat flour, mixed flour of wheat and buckwheat, sliced fish or meat, and/or a gray mullet. Another special method was 'Sangwha' made by fermentation. Bun stuffing of dumpling used fishes, meat, vegetables, beans, flours and seasonings. Cooking methods of dumpling were boiling, baking, steaming and pan-frying. From this investigation of the Korean main dishes described in the Korean literature before the 17th century, we expect to develop useful recipes for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health and want longevity, and thereby to advance the Korean food culture.

한국전통 밑반찬류에 사용된 보존 Hurdle의 발굴 (Exploration of Preservation Hurdles in Korean Traditional Side Dishes)

  • 정순경;류은순;이동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9-268
    • /
    • 2006
  • 우리나라의 전통 밑반찬류에 대한 재료 및 가공에 대하여 보존적 burdle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첫째는 밑반찬에 사용되는 재료들에서 1차적인 hurdle이 적용되고, 2차로 양념류에서 burdle이 적용되어 저장성과 안전성을 부여하고 있다. 둘째는 조리과정에서 삶고, 데치고, 끊이고, 볶고, 튀기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수분활성도 및 pH를 조절하여 보존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밑반찬들의 염 농도는 $1{\sim}5%$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장아찌 종류를 제외한 채소류를 이용한 무침과 나물에서 약간 높은 염 농도를 보이고 있다. pH는 pH $4.7{\sim}6.4$범위 이며, 장아찌와 절임류 보다는 조림, 볶음, 무침, 나물이 높은 pH를 유지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조림과 볶음의 경우 $40\;^{\circ}Bx$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무침과 나물 그리고 장아찌, 절임의 겨우는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수분활성도는 나물의 경우 $0.93{\sim}0.95$이고, 강낭콩조림과 생선조림의 경우 $0.77{\sim}0.88$ 이다. 총균수는 조리과정에서 튀김 또는 데치기를 거친 반찬의 경우 $10^2-10^4cfu/g$과 같이 낮은 수준 이었으나 장아찌와 무침의 경우는 $10^5cfu/g$이상의 균수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밑반찬들의 보존 hurdle은 사용하는 재료들의 배합 비율과 삶기, 데치기, 볶기 등의 조리과정에 의해 수분활성도, pH 그리고 염 농도를 조절함으로서 보존상태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된 콜드칩 가공용 우수감자 계통 선발 (Selection of the Superior Potato Clones Based on Acrylamide Reduction for Cold Chipping)

  • 김성무;황원남;조동하;강위수;임학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603-612
    • /
    • 2012
  • 본 연구는 콜드칩 가공용 감자 계통을 선발하고자, 47계통과 대조구 품종인 '대서', '수미', '구이벨리'의 수확 후, $4^{\circ}C$, $8^{\circ}C$ 저온저장 및 $20^{\circ}C$ 가온 조정처리에 따른 glucose 함량,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및 두 형질 간의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조구 품종 및 47계통 모두에서 수확 후, glucose 함량이 0.25% 이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1000ppb 이하로 나타났고, $4^{\circ}C$ 저온저장에 의해 glucose와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모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H7, H13, H16, H40 등 4계통에서만 500ppb 이하로 검출되었다. $8^{\circ}C$ 저온저장 역시 두 함량 모두 증가하였으나, $4^{\circ}C$ 저온저장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20^{\circ}C$ 가온 조정에 의해서도 두 함량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저장에 따른 glucose 함량과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저온처리에도 낮은 glucose 함량을 나타낸 H7, H13, H16, H40계통들이 낮은 함량의 아트릴아마이드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콜드 칩 가공용 우수 감자 계통으로 선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