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ize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31초

헛개나무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추출 및 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tion and Efficacy of Bioactive Compound from Hovenia dulcis)

  • 김성문;강성희;마진열;김진현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1-1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를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관련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헛개나무 열매, 잎 및 줄기 추출물의 알코올 분해효과를 확인하였고, 유효 성분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혈중 알코올농도 저하 및 간 보호 효능을 검증하였다. 헛개나무의 열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알코올 분해 효능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38% 알코올 감소 효과가 있었다. 헛개 열매 (크기 : 4 mm)의 회분식 추출에서 유용 생리활성물질은 추출 6시간에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총 3회의 추출로 대부분의 생리활성물질을 회수(>5%)할 수 있었다. 또한 동물실험에서 헛개 열매 추출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독성 유발 쥐의 간 기능 수치인 AST, ALT 및 LDH 수준을 각각 45%, 52% 및 52% 감소시켜 헛개열매 추출물이 간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구시(大邱市) 인근 3지역(地域) 사과 '후지'의 과실품질(果實品質) 비교(比較) (Comparison of Fruit Quality of Apple 'Fuji' Produced in Different Three Areas in Taegu)

  • 신영범;차은경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33-38
    • /
    • 1997
  • 산지(영천군 청통면 신원리), 평지(영천군 신령면 연정리) 강변지(영천군 금호읍 냉천동)의 과수원에서 각각 '후지'과실을 채취하여 대구시 인근의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지역 공히 품질이 평균적인 과실을 채취하였고 강변지 과실 중량이 40g정도 작았고, 과실종경 최소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작았다. 평지 과실의 횡경은 최대치, 최소치 모두 산간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형지수는 강변지 과실이 다른 지역에 비해 편원형이었다. 이러한 과형의 차이는 온도, 토양수분함량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과실 착즙률은 각 지역간 유의한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2. 각 지역 공히 후지과실 전당의 50%정도가 프락토즈인 것으로 나타났고, 산지의 슈크로즈, 프락토즈, 솔비톨 함량이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글루코즈는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당도는 전당함량과 거의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3. 각 지역 공히 후지과실 전산의 98% 정도가 능금산이었고 시트르산이 2%를 차지하였다. 산지과실의 능금산 함량이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적정산은 전산함량과 거의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만풍배'의 생육기별 해부학적 구조와 과실품질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Fruit Developmental Stage of Pyrus pyrifolia Nakai cv. Manpungbae)

  • 박지은;권용희;이별하나;박요섭;정명희;최진호;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4
    • /
    • 2013
  • 본 연구는 '만풍배'의 생육단계 및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의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고, 수확기 과실의 품질 및 착색특성 관찰을 통하여 '만풍배'의 생리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만개기의 과실구조는 바깥쪽으로부터 외표피층, 아표피층, 유조직층, 내표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표피층을 이루는 세포 층수는 만개기부터 만개 후 77일까지 9-13층까지 최대로 증가하여 '만풍배'의 세포 분열 기간은 만개 후 77일까지로 조사되었다. 이 기간 동안 아표피층에서 유관속조직까지의 두께는 $73.1{\mu}m$부터 $195{\mu}m$까지 증가하였다. 석세포는 만개 후 7일부터 관찰되어 만개 후 49일에는 석세포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코르크층은 만개 후 49-77일 사이에 형성되었다. 성숙기인 만개 후 161일 '만풍배' 과실의 과피는 바깥쪽부터 코르크층은 4.5층, 아표피층은 7개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아표피층에는 탄닌이 분포해 있었다. '만풍배'의 괘대 유무에 따른 과실비대 및 조직발달을 비교한 결과, 괘대 초기에는 코르크층이 유대재배구에서 더 빨리 생겨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성숙기에는 3층 정도 무대재배구에서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석세포군의 크기는 두 실험구 모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중은 무대재배구에서 더 높았으나 수확기의 당도는 괘대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풍배'의 수확기 과중 등급은 301g부터 900g 이상까지 분포하였고, 그 중 551-800g의 과실이 총 수확량의 71.6%로 가장 많았으며 이 범위의 평균 과중은 677.2g이었다. 과실품질은 가용성 고형물 함량 $10.1-12.1^{\circ}Brix$, 산도 0.10-1.24%, 당산비 9.76-14.31로 분포하였으며 과중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 크기가 클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도 높았다. 반면에 경도는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과실크기가 클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황갈색 부분과 녹색 부분을 구분하여 코르크층 수와 함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코르크층은 황갈색 부분은 3.8층, 녹색부분은 3.5층으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녹색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GA4+7+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 of GA4+7+BA on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Gala' Apple)

  •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52-560
    • /
    • 2010
  • $GA_{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_{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_{4+7}$+BA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_{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on Fruit Quality in a Pear Orchard)

  • 이웅;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5-310
    • /
    • 2009
  • 관행재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유기질 퇴비를 시비하였을 경우 배 과실의 품질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8년생 신고배에 쌀겨퇴비,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지킴이(R)) 및 위의 3종 유기질 비료 복합 처리구를 배치하고 주당 10 kg 을 시비하였고, 대조구는 화학비료를 주당 60 g 시비하였다. 과실당도나 경도, 산도에서는 복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고 석세포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과피와 과육에서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페놀화합물 함량도 과피와 과육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페놀화합물 함량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과육보다 6배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화학비료를 대체한 유기질 비료의 시용으로 배 과실내 석세포 감소와 품질 특성의 향상과 총 페놀함량 증가 및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딸기의 주두 제거와 옥신 처리가 딸기의 과형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igma Removal and Auxin Treatment on Fruit Shape and Quality in Strawberry)

  • 이정은;이규빈;제병일;이용재;박영훈;최영환;손병구;강남준;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5-65
    • /
    • 2019
  • 본 연구는 딸기의 화기에서 주두를 제거하고 주두를 제거한 부위에 옥신제인 토마토톤을 처리하여 과실의 생육 및 품질을 검토하였다. 화기에서 주두를 제거함으로써 과중, 과장, 과폭이 낮아졌으며, 주두를 제거하는 부위가 많을수록 과실의 생육이 저하되었다. 또한 화기에서 주두를 제거하면 과실의 경도와 당도가 낮아졌다. 딸기에서 주두를 제거하면 붉은색을 나타내는 Hunter a값이 낮아지고 황색을 띄는 b값이 높아졌으며, 과실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주두를 제거하는 부위가 많을수록 과실당 종자수가 감소하였다. 주두를 제거한 부위에 옥신제인 토마토톤을 처리하면 과실의 크기가 커졌다. 반면 토마토톤을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과실의 경도, 당도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낮아졌다. 딸기에서 주두를 제거하거나 토마토톤을 처리함으로써 과실의 숙성이 지연되었다. 또한 제거하는 주두부위가 많을수록 기형과가 증가하였고, 토마토톤 처리에 의해서도 기형과 발생율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딸기에서 토마토톤 사용은 과실의 크기를 증가시키지만 숙성을 지연시키고 기형과 발생률을 증가시켰다.

'브라이트웰' 래빗아이 블루베리의 Ammonium thiosulfate와 UREA처리에 따른 적화와 과실생장 효과 (Effects of ATS and UREA on Flower Thinning and Fruit Growth in 'Brightwell' Rabbiteye Blueberry)

  • 김홍림;이목희;이하경;정경호;이한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0-367
    • /
    • 2020
  • BACKGROUND: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Reade) greatly depend on the number of fruits in a plant. Especially, fruit set more than appropriate number negatively affects productivity and marketability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small fruits and delayed harvest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per timing and concentration for applying chemical blossom thinners such as ammonium thiosulfate (ATS) and UREA. METHODS AND RESULTS: ATS at 1.25% and 1.50%, and UREA at 6% and 8% were applied in four developmental stages, bud swell, pink bud, full bloom and petal fall. Fruit thinning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fruits harvested divided by that of flowers before applying blossom thinners. Ratios of leaf to flower and leaf to fruit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fully developed leaves in 25 days after full blossom divided by that of flowers or fruits, respectively. Chemical injury of leaves was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leaves with chemical injury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leaves. Fruit thinning rates were 48% and 66% for UREA treatments at 6% and 8%, respectively, and 49% and 62% for ATS treatments at 1.25% and 1.50%, respectively, in the full bloom stage. In the petal fall stage, fruit thinning rates were 18% and 24% for UREA treatments at 6% and 8%, respectively, and 49% and 35% for ATS treatments at 1.25% and 1.50%, respectively. Leaf to fruit ratio (L/FR) increased by 109% and 188% compared to leaf to flower ratio in ATS treatments at 1.25% and 1.50%, respectively, and L/FR increased 93 and 196% in UREA treatments at 6% and 8%, respectively, in the full bloom stage. In the petal fall stage, leaf to fruit ratio increased by 60% to 100% in ATS treatments,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control in UREA treatments. Fruit harvest was delayed in all treatments of all developmental stages except for 1.5% ATS and 6% UREA treatments at the petal fall stage, whose fruit harvest was two or three days faster than the control.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ATS and UREA for blossom thinning should be in the petal fall and full bloom stages for early and late harvest, respectively. Considering chemical injury, integrated harvesting and fruit size, however, it is appropriate to apply ATS at 1.5% in the petal fall stage to increase fruit productivity and quality in blueberry.

Multi-Operation Robot For Fruit Production

  • Kondo, Naoshi;Monta, Mitsuji;Shibano, Yasunori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621-631
    • /
    • 1996
  • It is said that robot can be used for multi-purpose use by changing end effector or/and visual sensor with its software.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what multi-purpose robot for fruit-production was using a tomato harvesting robot and a robot to work in vineyard. Tomato harvesting robot consisted of manipulator, end-effector, visual sensor and traveling device. Plant training system of larger size tomato is similar with that of cherry-tomato. Two end-effectors were prepared for larger size tomato and cherry-tomato fruit harvesting operations, while the res components were not changed for the different work objects. A color TV camera could be used for the both work objects, however fruit detecting algorithm and extracted features from image should be changed. As for the grape-robot , several end-effector for harvesting , berry thinning , bagging and spraying were developed and experimented after attaching each end-effector to manipulator end. The manipulator was a polar coordinate type and had five degrees of freedom so that it could have enough working space for the operations. It was observed that visual sensor was necessary for harvesting, bagging and berry-thinning operations and that spraying operation requires another sensor for keeping certain distance between trellis and end-effecto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multi-operations by the same robot could be appropriately done on the same or similar plant training system changing some robot components . One of the important results on having function of multi-operation was to be able to make working period of the robot longer.

  • PDF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뽕나무 3종이 자연교잡된 때의 稔性과 오디의 과실특성 (Fertility and Mulberry Fruit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Indigenous Mulberry Species)

  • 박광준;이용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6-113
    • /
    • 1997
  • Three indigenous mulberry specie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Morus mongolica C. K. Shneider and Morus bombycis Koidz. were naturally crossed and their fertilities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years of 1996 and 1997. M. tiliaefolia Makino and M. mongolica C.K. Schneider showed low fertility, but M. bombycis Koidz. was medium in fertility. The fruits of M. tiliaefolia Makino were red-purple and midium in size and high sugar content, but those of M. mongolica C.K. Schneider were light red and small but extremely high sugar content. The total acidity of fruits was 0.73, 0.50 and 0.36-0.94% in M. tiliaefolia Makino, M. mongolica C.K. Schneider and M. bombycis Koidz. respectively. Regarding ripenening stage, M. mongolica C.K. Schneider was early and M. tiliaefolia Makino was medium, while M. bombycis Koidz was early or medium.

  • PDF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using Coffea Arabica fruit extract

  • Bogireddy, Naveen Kumar Reddy;Gomez, L. Martinez;Osorio-Roman, I.;Agarwal, V.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253-260
    • /
    • 2017
  • We report a simple eco-friendly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AuNPs) using aqueous extract from Coffea Arabica fruit. The formation of AuNPs was confirmed using absorption spect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FT-IR analysis demonstrates the major functional groups present in Coffee Arabica fruit extract before and after synthesizing AuNPs. The Face Center Cubic (FCC) polycrystalline nature of these particles was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the contribution of the biomass surrounding the AuNPs,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results reveale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59 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