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 Quality

검색결과 1,361건 처리시간 0.035초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in Rural Areas of Wuhan China: a Matched Case-control Study

  • Zhang, Bin;Zhou, Ai-Fen;Zhu, Chang-Cai;Zhang, Ling;Xiang, Bing;Chen, Zhong;Hu, Rong-Hua;Zhang, Ya-Qi;Qiu, Lin;Zhang, Yi-Ming;Xiong, Chao-Du;Du, Yu-Kai;Shi, Yu-Q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595-7600
    • /
    • 2013
  • Cervical cancer is a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 in developing countries. We investigated possible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in rural areas of Wuhan China using a matched case-control study with 33 women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and 132 healthy women selected from the same area as matched controls.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general demography conditions,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the first sexual intercourse, first marriage age, age at first pregnancy, pregnancy first child's age, female personal health history,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dietary habits, smoking and alcohol status and other living habits was presented to all participants. At the same time, HPV infection of every participant was examined in laboratory testing. Results showed HPV infection (P<0.000, OR=23.4) and pregnancy first child's age (P<0.000, OR=13.1) to be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Menopause (P=0.003, OR=0.073) w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cervical cancer. However, there was no indication of associations of environmental (drinking water, insecticide, disinfectant) genetic (cancer family history), or life-style factors (smoking status, alcohol status, physical training, sleep quality), including dietary habits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 meat, fried food, bean products and pickled food) or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with cervical canc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isk of cervical cancer in Chinese rural women may be associated with HPV infection, menopause and the pregnancy first child's age.

지역사회복지관 직원 수퍼비전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aff Supervision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 이마리아;이경은;김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51-561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의 직원 수퍼비전 수행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사회복지관 내부 수퍼비전의 실제적인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관 근무 경험이 5년 이상이고 수퍼바이저 경험이 1년 이상인 10명의 수퍼바이저들을 심층면접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는 다중사례연구를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주제어는 '수퍼비전을 도전과 포부로 인식하고 준비하다', '수퍼비전은 혼돈과 좌절만 남겨주다', '수퍼바이저의 성찰과 무한노력으로 결실이 생겨나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퍼비전의 교육적, 행정적, 지지적 기능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수퍼바이지의 교육적 성장과 관련된 수퍼비전 매뉴얼의 보급이 필요함을 교육적 기능에 대한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수퍼비전 내부 규정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수퍼비전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관 평가 틀을 전환시켜야 하며, 다양한 수퍼비전 모델을 개발해야 함을 행정적 기능에 대한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복지가치를 성찰하고 이에 따라 수퍼바이지의 성장 관점에서 지지와 격려를 해야 함을 지지적 기능에 대한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퍼비전에 대한 포괄적인 제안을 주로 제시하는 양적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지역사회복지관 실천현장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관계와 상황까지 포함하는 구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중.고 학교급식에 따른 영양사의 가공식품 이용실태와 인지도 조사 (A Study on Purchase Patterns and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eal Service Dietitians)

  • 노정옥;정유경;정수진;차연수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3-75
    • /
    • 2007
  •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Purchase Patterns and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of School Meal Service Dietitians of elementar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Chonbuk and Deagu Area are as follows : First, the rate of single cooking of the schools surveyed is 100% in Deagu and 66.9% in Chonbuk, and Chonbuk has more small-meal service schools which caused a higher labor cost than Deagu, Secondly, schools in Deagu has purchased not completely processed vegetables and fish and shells than Chonbuk, and Chonbuk(66.9%) has served more Kim-chi products than Deagu(41.6%). Thirdly, nutritional effects and preference have been considered as school dietitians make plans for the menu. Fourthly, the opinions of the school dietitians about processed food are in the order of high sodium content, convenience and the use of preservative, and Chonbuk ha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articles of future oriented quality, cooking usage and variety while Deagu has thought of it as an economical. The expected effects from the use of processed foods are in the order of saving labor time and student preferences. Fifthly, meat products have been frequently used and more frozen meat products have been used in Deagu and senior high school than Chonbuk and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last, preferences on processed food are in the order of frozen sea food, noodles. dried sea food, processed vegetable and fruit, dairy goods and others. Senior high school dietitians have preferred packed meat products and other frozen processed food more tha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dietitians. The rate of serving processed food had a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is study, dietitians recognize the harmful effects of processed foods over the merits, which means that the rate of using processed food is low. The proper usage of processed foods is thought to improve the preference of students, to have cooking time shortened and to help manage the meal service sanitarily and efficiently. Therefore, companies producing processed foods should do their best to develop safety and health oriented foods to gain the credibility, 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new regulations for people to purchase and obtain processed foods without any doubt.

  • PDF

Study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Agaricus bisporus Strains from China

  • Wang, Zesheng;Liao, Jianhua;Chen, Meiyuan;Wang, Bo;Li, Hongrong;Lu, Zhenghui;Guo, Zhongji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13
    • /
    • 2009
  • 90 wild Agaricus strains from China, including 44 Agaricus bisporus strains identified preliminarily by isozyme electrophoresis, were studied by the techniques of SRAP and ISSR. 18 special SRAP bands and 12 special ISSR bands were analyzed, the strains were clustered and a demdrogram was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ains were divided into 2 groups, wild A. bisporus group and the other Agaricus group. It is similar to the result of isozyme electrophoresis. 41 wild A. bisporus strains from Sichuan and Tibet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growing places, suggesting the regionally difference of the strains to be quite obvious. Some white wild A. bisporus strains from Xinjiang and Tibet had special patterns, resulting in lower coefficient values with other wild A. bisporus strains.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wild A. bisporus strain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1. The wild strains grew slowly on PDA medium with weak appressed mycelia, and grew normally in kernel or fermented cottonseed shell substrate. 2. They grew faster than control strain As2796 under lower temperature of $16^{\circ}C$, and higher temperature of $32^{\circ}C$, with optimum growing temperature of $20-24^{\circ}C$, which was $4^{\circ}C$ lower than that of control strain. 3. In the cultivation with manure compost via twice fermentation, the mycelia grew normally in compost and quite slowly in casing soil, and the fruitbodies occurred less and late with easily opening and low production. 4. The fruitbody was off-white with flat and scaled cap, long stipe and dark gill. The bisporus basidia occupied 70-80% and trisporus basidia 20-30% of the total basidia. 5. Heterokaryotic monospore isolates could fruit in cultivation, and the homokaryotic isolates could cross with those derived from overseas wild A.bisporus strains. 6. The electrophoresis phenotype of isozymes such as esterase etc. belonged to high production type (H type). 7. The RAPD patterns made much difference from those of high production, good quality or hybrid strains, which indicated that the wild strains produce a new kind of RAPD type.

  • PDF

Halotolerant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Mediated Salinity Stress Amelioration in Plants

  • Shin, Wansik;Siddikee, Md. Ashaduzzaman;Joe, Manoharan Melvin;Benson, Abitha;Kim, Kiyoon;Selvakumar, Gopal;Kang, Yeongyeong;Jeon, Seonyoung;Samaddar, Sandipan;Chatterjee, Poulami;Walitang, Denver;Chanratana, Mak;Sa, Tongm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5-367
    • /
    • 2016
  • Soil salinization refers to the buildup of salts in soil to a level toxic to plants. The major factors that contribute to soil salinity are the quality, the amount and the type of irrigation water used. The presented review discusses the different sources and causes of soil salinity. The effect of soil salinity on biological processes of plants is also discussed in detail. This is followed by a debate on the influence of salt on the nutrient uptake and growth of plants. Salinity decreases the soil osmotic potential and hinders water uptake by the plants. Soil salinity affects the plants K uptake,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plant metabolism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soluble sodium ($Na^+$) ions. Visual symptoms that appear in the plants as a result of salinity include stunted plant growth, marginal leaf necrosis and fruit distortions. Different strategies to ameliorate salt stress globally include breeding of salt tolerant cultivars, irrigation to leach excessive salt to improv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s part of an ecofriendly means to alleviate salt stress and an increasing considerable attention on this area, the review then focuses on the different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PGPB) mediated mechanisms with a special emphasis on ACC deaminase producing bacteria. The various strategies adopted by PGPB to alleviate various stresses in plants include the production of different osmolytes, stress related phytohormones and production of molecules related to stress signaling such as bacterial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erivatives. The use of PGPB with ACC deaminase producing trait could be effective in promoting plant growth in agricultural areas affected by different stresses including salt stress. Finally, the review ends with a discussion on the various PGPB activities and the potentiality of facultative halophilic/halotolerant PGPB in alleviating salt stress.

구기자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 예취시기 및 생리활성 평가 (Variety, Cutting Dat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Production of Leaves in Goji Berry (Lycium chinense Mill.))

  • 주정일;백승우;윤덕상;박영춘;이보희;손승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6-445
    • /
    • 2020
  • 구기자 잎을 이용한 특허제품 개발 및 기능성 식품소재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구기자 잎을 규격화 표준화하여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생산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구기자 육성품종 중에서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고 가공용 잎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예취시기를 확립코자 하였다. 구기자 11품종 중 잎 생산에 적합한 품종은 '명안'이었고, 다른 품종에 비하여 잎이 크고 분얼과 재생력이 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잎 건물수량도 높았다. '명안' 품종에서 구기자 잎 생산에 적합한 예취시기는 초장이 약 60 ~ 70 cm 자랐을 시기였고, 잎 수량은 5월 16일 수확 시 평균 106 kg/10a, 6월 20일 수확시 평균 287 kg/10a로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구기자의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을 1.43 ~ 2.63% 범위였고, 품종과 예취시기에 따라 함량이 다른데 생육이 진전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구기자나무 잎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항고혈압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이 평균 84.4 ~ 90.8%로 높은 편이었고, 나머지 생리기능성은 20% 이하로 낮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식초양조(食醋釀造)에 있어 밀감과피즙(果皮汁)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Orange Peel in the Spirit Vinegar Brewing)

  • 김용호;박윤중;손천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08-116
    • /
    • 1981
  • 밀감과피(果皮)를 이용(利用)한 주정초(酒精醋)를 생산(生産)하는데에 필요(必要)한 기초질료(基礎質料)를 얻기위(爲)하여 실험(實驗)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수율(果皮收率)은 29.0%였다. 2. 초산(醋酸)발효 배지중(培地中)의 밀감과피즙(果皮汁) 함유량(含有量)은 25%내외(內外)가 적당(適當)하였다. 3. 배지중(培地中)의 밀감 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가 70% 이상인 경우에는 초산(醋酸)발효가 저해되었으며 밀감과 피즙 농도가 90%인 경우에는 밀감 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 25%에 비(比)하여 초산생성(醋酸生成)의 최고산도가 약(約) 1% 저하되었다. 4. 초산(醋酸)발효 배지중(培地中)의 밀감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를 25%로 하여 통기(通氣) 발효를 할 경우 평균(平均) 산생성속도(酸生成速度)는 0.062g/100ml.hr. 대수기의 산생성속도(酸生成速度)는 0.15g/100ml.hr., 이론치에 대한 실제치의 산화수율(酸化收率)은 91.4%였다. 5. 초산(醋酸) 발효액에서 oxalate, malate 등(等)이 검출 되었다. 6. 밀감 과피즙(果皮汁) 함량 25% 배지(培地)를 사용(使用)할 경우 생성(生成)된 식초(食醋)의 품질(品質)은 상당히 양호(良好)하였다.

  • PDF

건조 오미자에서 분리된 야생 효모로 와인 제조 및 알코올 발효 시 영양요구성 조사 (Preparation of Wine Using Wild Yeast from Dried Omija and Opt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Alcoholic Fermentation)

  • 모혜원;정지숙;최상원;최경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54-260
    • /
    • 2012
  •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와인을 발효하였다. 건조 오미자를 YM배지에 분주하고 반복 배양하여 알코올 발효효모 OM-1 및 OM-2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은 $10^{\circ}Brix$로 보당한 오미자 추출액배지에서 10% 이상의 알코올을 생성하였으며, OM-2로 발효한 오미자와인의 관능적 특성이 OM-1으로 발효한 와인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리균 OM-2는 0.1% urea, 0.02% mineral mixture를 첨가한 오미자 추출액배지에서 균체증식이 유의적으로 촉진되었으며 vitamin mixture는 urea가 첨가된 경우에만 약간의 증식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Garlic Extracts)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6-122
    • /
    • 2012
  • 흑마늘은 일정기간 마늘의 자체 성분과 효소 등에 의해 숙성되어 진한 흑갈색으로 변한 것으로 추출액과 같은 가공형태로 시중에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관능적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흑마늘 제품의 산지별에 따른 흑마늘추출액 4종(A, B, C, D)을 선정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68종으로 함황화합물류 21종, 알데히드류 10종, 퓨란류 7종, 알콜류 6종, 방향족화합물 7종, 케톤류 4종, 산류 4종, 질소화합물 3종, 에스테르류 2종 및 기타 4종이 검출되었다. 흑마늘추출액 모든 시료에서 fruit-sweet향의 2,6-dimethyl-4-heptanone이 높은 함량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에서는 6종, allyl sulfide, 4-methyl-1,2,4-thiazole, 1,3,5-trithiane, unknown I(RI 1564), II(RI 1565), III(R I1613)이 전 시료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마늘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aillard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3종의 알데히드류(3-methylbutanal, benzaldehyde, phenylacetaldehyde)와 4종의 furan류(furfural, 2-acetylfuran, 5-methyl-2-furfural, furfuryl alcohol), 2,6-dimethyl pyrazine, acet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들은 시판 흑마늘추출액의 휘발성성분에 burnt, sweet, sour한 특징적인 냄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백침계 오이의 적심방법과 관수부위 확대가 측지발생수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teral Shoot Pinching and Shift of Drip Irrigation Site on the Number of Lateral Shoot and the Yield in White Spined Cucumber)

  • 이상규;강용구;박동금;박경섭;허윤찬;고관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2-55
    • /
    • 2005
  • 측지연속 적심과 관수부위를 확대하여 재배한 결과, 정식 후 30일경의 생육특성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장측지 발생수는 측지연속 적심과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가 주당 10.1개로 가장 많았고, 측지연속 적심과 관행관수 처리구는 8.9개이었으며, 측지 1줄 연장재배와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는 5.7개, 대조구는 5.6개이었다. 단측지는 4.9-3.7개로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지만 총측지 발생수는 측지연속 적심과 더불어 관수부위를 확대시킨 처리구와 측지연속 적심과 관행관수 방법으로 관리한 처리구가 각각 15개와 12.5개로 많았으며, 측지 1줄 연장재배와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 측지 1줄 연장 재배와 관수부위를 확대하지 않은 처리구가 각각 10.6개와 9.7개이었다. 상품수량에 있어서는 측지연속 적심과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가 60,380kg/ha으로 대조구에 비해 $38\%$ 증수되었고, 측지연속 적심과 관행관수 처리구가 54,670 kg/ha으로 $25\%$ 증수되었으며, 측지 1줄 연장재배와 관수부위 확대 처리구는 46,400kg/ha으로 $6\%$ 증수효과가 있었다. 즉, 백침계 오이를 재배할 경우, 측지는 연속 적심을 하고 관수부위를 생육 중후기에 이동시켜 주는 것이 측지 1줄기를 연장재배하고 관수 부위를 확대하지 않는 처리에 비해 측지 발생도 많고 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