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cut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41초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품질과 미생물 성장에 영향을 주는 소성칼슘 용액 세척 및 열처리 효과 (The Effects of Calcinated Calcium Solution Washing and Heat Treatment on the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of Fresh-cut Broccoli)

  • 김지강;;최지원;이상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1-418
    • /
    • 2012
  • 환경친화적인 농산물 살균소독 세척방법으로 소성칼슘 및 열처리에 의한 신선편이 브로콜리 저장 중 품질 및 미생물적인 안전성 향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브로콜리를 절단한 뒤 수돗물, $50{\mu}L{\cdot}L^{-1}$ 염소수 및 $1.5g{\cdot}L^{-1}$ 소성칼슘 용액과 $45^{\circ}C$의 수돗물 열처리, 열처리와 살균소독제를 혼합한 $45^{\circ}C$$1.5g{\cdot}L^{-1}$ 소성칼슘 용액에서 각각 2분 세척하였다. 그리고 신선편이 브로콜리를 $50{\mu}m$ PE 필름에 포장하여 $5^{\circ}C$에서 9일 저장하면서 기체조성, 전기전도도, 미생물수, 색 및 관능적인 품질을 조사하였다. 포장내부의 기체조성은 열처리에서 $O_2$ 농도가 낮고, $CO_2$ 농도는 높았으나 비열처리구에서는 살균소독 방법 간에 차이가 없었다. 소성칼슘 및 염소수 살균소독처리는 수돗물 처리보다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미생물 감소에 효과적이었고 열처리는 저장 3일까지는 효과가 있었으나 6일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기전도도는 소성칼슘 + 열처리에서 높게 나타났고, 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명도가 낮아지고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나 살균소독 처리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선편이 브로콜리 저장 중 미생물수는 소성칼슘 단독처리가 염소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저장 9일 동안 일반세균수 제어효과를 나타냈고, 대장균군도 수돗물 처리보다 저장기간 내내 적게 나타났다. 또한 브로콜리 절단면의 변색 억제에는 열처리가 효과적이었으나 이취는 높게 나타났으며, 비열처리구에서 소성칼슘 용액처리는 염소수와 같이 수돗물보다 외관이 우수하고, 이취가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소성칼슘 처리는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서 신선편이 브로콜리의 염소 살균소독 세척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열처리가 신선편이 감자 가공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Mild Heat Treatments for Quality Improvement of Fresh-cut Potatoes)

  • 임정호;최정희;홍석인;정문철;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2-557
    • /
    • 2005
  • 열처리가 절단 감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원형감자를 건열 및 습열처리하거나, 박피절단한 후 습열처리 하였다. 감자의 열처리조건은 원형감자의 경우 각각 $45^{\circ}C$에서 60분이었으며, 절단후 열처리한 감자의 경우$55^{\circ}C$의 열수에 45초간 침지하였다. 각각 열처리하여 제조된 감자절편은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다음, 필름봉지(LDPE, $30{\mu}m$, 15 cm x 20 cm)에 약 200 g씩 포장하여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는 전반적으로 호흡률을 저하시켰으며, hunter L값의 변화도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건열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호흡률이 $20\%$ 정도 낮았으며, hunter L값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경도와 유리형 페놀화합물 함량의 변화는 시료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Vitamin C 함량은 대조구가 처리 직후 가장 높았으나, 그 감소율은 절단 후 열처리한 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관능적 품질 면에서 경도와 냄새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표면색에 있어서 열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었으며, 특히 CH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열처리는 감자 절단면의 갈변발생을 억제시켜 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절단 후 열처리(CH)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포장방법에 따른 세절 생울금의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Fresh-Cut Tumeric by Packaging Methods during Storage)

  • 김동후;한진수;우인봉;정준재;박시우;허경철;하주형;윤찬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1-16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세절된 생울금의 포장방법에 따른 저장기간 중 품질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되어졌다. 세절된 생울금은 가스배출밸브(DVP), 이산화탄소 흡수제(CAP), 미세천공필름(MPP) 등을 적용한 포장방법을 이용하여 포장되어졌으며 $4^{\circ}C$$23^{\circ}C$에서 15일간 각각 저장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생울금의 품질변화 관찰을 위한 지표로써 중량감소, CIE $L^*a^*b$ 색차와, 포장내부의 가스조성변화, 커큐민 함량, 세절 생울금의 경도 등을 조사하였다. DVP는 생울금의 호흡에 의해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외부배출에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MPP는 생성된 가스의 외부배출에는 적절하였으나 천공된 구멍으로 외부의 산소가 다량 유입되어 빠른 갈변현상과 짓무름 현상이 발생하였다. 내부에 생성된 탄산가스의 제거를 위해 이산화탄소 흡수제가 봉입된 CAP는 갈변과 생성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포장의 팽창 현상의 억제 및 중량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기후대별 양배추 및 신선편이제품의 오염도 분석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of Cabbage and Fresh-cut Produce on Difference Area toward Climate in Korea)

  • 최나정;박경진;하상도;정명섭;이순호;황인균;박중현;김광희;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4
    • /
    • 2012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신선편의 샐러드 및 원재료인 양배추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과 연강수량에 따라 3개의 권역으로 구분지어 각 권역에서 신선편의 샐러드와 양배추를 각 60점씩 총 360점을 채취하였다. 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기 위해 위생지표세균인 총호기성세균수와 대장균군수, 대장균 수를 분석하였고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B. cereus, Salmonella spp.와 같은 식중독 세균을 검사하였다. 노지에서 채취한 양배추의 경우 총호기성 세균수는 평균 $3.49{\pm}0.62$ log CFU/g으로 나타났고 2권역이 1,3권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의 경우 평균 $1.99{\pm}0.87$ log CFU/g으로 나타났고 1권역이 2, 3권역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다. 신선편의 샐러드 제품의 경우 권역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 호기성세균수는 평균 $5.69{\pm}0.54$ log CFU/g, 대장균군은 평균 $3.17{\pm}0.16$ log CFU/g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의 샐러드 제품에서는 대장균을 포함한 모든 식중독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원료의 경우 재료를 가공 처리하는 제품에 비해 기후(온도, 습도)의 영향 많이 받는 것으로 사료되며 원료의 오염 정도는 최종제품에 영향을 미치므로 차후 이러한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및 연차별 동일 권역의 농지에 대한 모니터링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식성 코팅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ible Coatings on the Quality of Fresh-cut Pears)

  • 최맑음;황태영;손석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6
    • /
    • 2001
  • 가식성 코팅 처리가 신선절단 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 소재인 albumin, 탄수화물 소재인 dextrin, 지질 소재인 SPE(Sucrose polyester) 그리고 WSF(Whole soy flour)를 코팅재료로 선택하여 일정 농도로 조제한 코팅용액을 배를 dipping하여 코팅처리 한 후 $4^{\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감소율은 모든 코팅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억제되었다. 배의 경우는 2% dexrin 및 1% WSF 및 1% albumin 및 3% dextrin 코팅처리가 효과적이었다. $\Delta$E 값은 코팅처리 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재료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1% 및 2% dextrin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같이 높은 경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저장 5일 후에는 경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산도는 코팅처리 후 저장 중 감소하며 pH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코팅처리에 의해 그 변과학 다소 억제되었으나 처리구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동안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코팅 재료의 농도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 0.5% albumin, 4% dextrin, 1.0% SPE, 0.5% WSF 처리구가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4% dextrin 처리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좋은 평점을 기록하였다. 가식성 코팅 처리한배의 호흡속도를 측정한 결과 dextrin 및 WSF 처리구에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 낮게 나타나 호흡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배의 코팅에 사용한 소재 중 과실의 중량 및 갈변억제 측면에서는 2-3% dextrin, 당, 산 비타민 등 성분 및 경도유지 측면에서는 1% albumin,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서는 4% dextrin 처리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여겨졌다.

  • PDF

Phytoncide 처리가 신선편이 양상추의 저장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ncide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Lettuce)

  • 김도희;김한빛;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2
    • /
    • 2013
  • 본 연구는 솔잎 유래의 phytoncide essential oil을 증류수에 희석한 것(1%, v/v, DP)과 식용 에탄올에 희석한 것(1%, v/v, EP), 증류수(DW) 및 식용 에탄올(EE)을 침지액으로 이용하였다. pH는 DW 처리구에서 가장 높고 EP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증류수보다는 에탄올 포함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는 phytoncide 성분이 포함된 처리구에서 낮은 pH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EP 처리구가 가장 높고, DW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pH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60~2.23의 범위로, 에탄올이 포함된 EE 및 E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포장필름 내 기체조성 분석결과, EP 처리구가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의 원리인 저산소 및 고이산화탄소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및 갈변 정도에서 EP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DW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얻어 갈변 저해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저장 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EP 처리구가 가장 완만한 증가율을 보여 항갈변뿐만 아니라 항균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EP 처리구는 갈변 저해 및 항균에도 효과가 뛰어나 품질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고품질 신선편이 양상추의 가공 및 유통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한 천연 향신료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 류희영;배경화;금은주;박상조;이봉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2-657
    • /
    • 2007
  • 천연 향신료를 이용한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향신료들을 대상으로 물 추출물 및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향신료의 추출효율은 향신료에 따라, 추출용매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들의 성분 분석 결과 향신료의 우수한 영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물 추출물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검토한 결과, 물 추출물들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페퍼민트 추출물에서 트롬빈 타임이 26배 이상 연장되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DPPH 소거능 평가결과 계피 및 로즈마리 추출물에서 각각 $61.3{\mu}g/ml$$84.3{\mu}g/ml$$IC_{50}$를 확인하였다. 한편 메탄을 추출물들에서는 타임, 생강, 및 계피 추출물이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로즈마리 추출물은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한 항균력은 없었으나, 강력한 항충치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피 및 산초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타임 및 계피 추출물에서 강력한 DPPH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페퍼민트 및 계피 물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신선편이는 $4^{\circ}C$에서 24시간 보관 후에도 페퍼민트 및 계피 유래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 향신료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우수하면서, 기능성, 관능성이 강화된 신선편이 제조가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저온 blanching 및 갈변저해물질의 처리에 따른 최소가공 감자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 (Solanum tuberosum var. Romano) after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Treatment with Anti-Browning Agents)

  • 황태영;장지현;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9-505
    • /
    • 2009
  • 신선절단 감자의 저장 중 갈변저해 및 일정 유통기한 확보를 목적으로 신선절단 감자에 갈변저해 물질과 blanching 처리를 적용 하였다. 사용된 갈변저해 물질은 다양한 갈변저해 물질을 조사하여 그 중 효과적인 갈변저해 현상을 나타내는 화합물 중 일부를 선정, 조합하여 갈변저해 용액(0.5% ascorbic acid+0.5% citric acid+0.5% sodium chloride+0.1% trehalose)으로 조제하고 침지 처리 하였다. 또한 이 갈변저해용액을 $60^{\circ}C$로 가온하여 저온 blanching 처리를 병행한 후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PET) 용기에 포장하여 $4^{\circ}C$에서 냉장저장 하면서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포장용기 내부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신선절단 감자의 갈변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구는 C.S.구(갈변저해용액에만 처리한 경우)로써 저장 14일 경까지도 매우 좋은 외관품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PPO 활성은 저장 초기 및 후기 모두 C.S.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총페놀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저장 7일경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증가하고 있었으며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처리구 및 저장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외관품질을 중심으로 C.S.구가 가장 효과적인 갈변저해 효과 및 저장품질을 나타내었다.

Factors and Developments in Grading Cut Flowers

  • Bae, Yeong-Hwan;Koo, Hyun-Mo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746-754
    • /
    • 1996
  • Grading and sorting fresh cut flowers are time consuming process. In Korea, cut flowers are sorted mostly by human inspection due to the lack of adequate machinery. In this paper, quality evaluation factors of cut flowers are discussed, and types of sorting machines existing in the market are introduced . Aspects of computer image processing in evaluation the quality of cut flowers are also discussed.

  • PDF

Dose Effect of Phytosanitary Irradi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Cut Flowers

  • Kwon, Song;Kwon, Hye Jin;Ryu, Ju Hyun;Kim, Yu R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1-178
    • /
    • 202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cut flowers. Cut flowers were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 at 100, 200, 400, 600, 800, 1,000, and 2,000 Gy with a 10 MeV linear electron beam accelerator to evaluate their irradiation tolerance. Postharvest quality was determined by monitoring fresh weight loss, flower longevity, flower diameter, flowering rate, visual quality of flowers and leaves, and chlorophyll content. Cut flowers showed a radiation-induced damage with increasing the irradiation dose. Flower longevity and fresh weight of cut flowers decreased when the irradiation dose was increased. Flower bud opening was also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ive irradiation doses for 10% reduction of postharvest quality (ED10) values were 144.4, 451.6, and 841.2 Gy in the 'Medusa' lily, 'Montezuma' carnation, and 'Rosina White' eustoma, respectively. Although tolerance of cut flowers to electron beam irradiation vary according to species, cultivars, or maturity stage conditions, it is conceivable that 'Montezuma' carnation and 'Rosina White' eustoma could be tolerated and maintained overall postharvest quality up to 400 Gy, the generic irradiation dose approved by the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APHIS) and the International Plant Protection Convention (IPPC) for postharvest phytosanitary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