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vegetables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9초

건조에 따른 채소류 중의 이산화황함량 분석 (Study of Sulfur Dioxide Contents in Various Fresh Vegetables During the Drying Process)

  • 하성용;김현정;우성민;이준배;조유진;김양선;반경녀;박종석;김희연;장영미;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3-309
    • /
    • 2010
  • 본 연구는 신선채소류의 건조전 후의 이산화황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건조채소류에 이산화황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신선채소류 6품목 182건을 수거하여 열풍건조하였고, 건조온도는 50~60도에서 최종수분함량이 10%정도 되도록 건조하였다. 건조전 신선채소류의 측정값은 발표된 문헌과 유사하였고, 건조후 측정값은 파, 양파, 양배추, 마늘, 무잎, 그리고 무에서 각각 평균적으로 104.6, 75.4, 129.1, 197.6, 23.0, 52.4 mg/kg 검출되었다. 국내 유통중인 건조채소류 41건을 분석한 결과 실험실에서 전처리 없이 건조한 시료들보다는 적은 값이 검출되었고, 아황산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건조에 따른 이산화황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 이산화황함량은 수분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증가량은 수분감소량을 고려한 예측값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고, 그 형태는 품목마다 몇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무, 양파, 파 등은 측정값이 예측값보다 적게 검출되었고, 무잎은 다른 시료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양배추는 유사한 값으로 검출되었다. 마늘의 경우는 측정값이 예측값 보다 높은 경우도 있었으며, 일관성있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것은 건조채소류에서 검출되는 이산화황함량은 단순하게 수분함량의 변화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곧, 시료내에 이산화황함량에 영향을 주는 성분들이 건조과정중에 휘산 또는 효소반응등의 물리 화학적 변화가 수반되며, 수분의 감소가 시료내 이산화황함량의 증가에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그 외에 함유 성분의 특성이나 건조조건 그리고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성분들의 변화등도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것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수입 또는 유통중인 건조채소류에 대한 아황산염류 관리를 위해서는 각 품목별 특정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와 같이 지속적으로 자연발생 이산화황함량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나아가 선택성있는 분석법의 검토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건조채소류의 아황산염류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채소류의 수확 후 원재료 및 데침 처리에 의한 비타민 B5 및 B6 함량 변화 (Vitamin B5 and B6 Contents in Fresh Materials and after Parboiling Treatment in Harvested Vegetables)

  • 김기쁨;안경근;김경하;황영선;강인규;최용민;김행란;정명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72-182
    • /
    • 2016
  • 국내 다소비 채소류 39종에 대해 원재료 및 데침 조리 시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B_5$$B_6$의 함량변화를 자외부 흡광 검출기(HPLC/DAD) 및 형광검출기(HPLC/FLD)로 분리 검출하였다. 각 성분의 분석법을 밸리데이션하여 신뢰도 높은 분석법임을 확인한 후 조제분유를 이용하여 내부 분석품질을 관리하였고, 비타민 $B_6$의 경우에는 국제 정도 관리를 통하여 정밀한 분석 수행능력을 평가 받았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채소류 39종의 원재료 및 데침 조리 시 비타민 $B_5$$B_6$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비타민 $B_5$의 경우 근채류에서는 마늘, 엽채류에서는 포항초, 경채류는 두릅, 과채류의 숙과용 호박이 각각의 분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경채류인 두릅($2.462mg{\cdot}100g^{-1}$)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B_6$의 경우에는 근채류에서 마늘, 엽채류에서는 근대, 경채류는 마늘쫑, 과채류의 적색토마토가 각각의 분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중 엽채류의 근대($0.127mg{\cdot}100g^{-1}$)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평가되었다. 대부분의 채소류에서 데침 처리 시 원재료에 비해 $B_5$$B_6$의 함량이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타민 $B_5$는 두릅, 비타민 $B_6$는 노란감자 및 근대에서 각각 약 20배 및 4배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채소작물의 이용 및 가공, 국민 식생활 정보 및 학교 조리 급식 등 영양적 부분과 국민 건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신선 채소류에 대한 살균 유효성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lAEW) against some fresh vegetables)

  • 박기재;임정호;정희용;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2-319
    • /
    • 2017
  • 신선 농산물의 비가열 살균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제는 처리시간과 살균소독제의 농도에 비선형적인 감균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적정 농도와 적정 시간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희석염산(6%, v/v)을 원료로 생성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electrolzyed water, SlAEW)($20{\pm}1^{\circ}C$에서의 유효염소 30 ppm, ORP $562{\pm}23mV$, pH 6.4)로 4종의 채소류(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한 미생물 저감 특성을 분석하여 비가열 살균공정설계에 필요한 살균효과를 평가하였다. SlAEW에 30분간 3회 침지하면서 핵심인자인 유효염소와 미생물군수 및 잔류 미생물군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총균수 감소는 1차 침지 초기 10분간 이루어졌으며 4종의 채소류에 생존하는 3 log CFU/g의 총균수가 침지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한계값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lAEW에 10분간 침지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균수는 평균적으로 약 2 log CFU/g이었다. 초기 10분후의 감소된 유효염소는 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해 각각 2.2 ppm, 2.0 ppm, 1.7 ppm 및 2.5 ppm이었고 감소된 유효염소량의 약 50-80%가 초기 10분내에 감소되었다.

Analysi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development of a multipurpose vegetable cutting machine

  • Park, Jeong Gil;Jung, Hyun Mo;Kang, Bum Seok;Mun, Seong Kyu;Lee, Seung Hun;Lee, Seung H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432-440
    • /
    • 2016
  • The consumption of pre-treated vegetables (including fresh-cut vegetables) that are washed, peeled, and trimmed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because of their easy use for cooking. Vegetable cutting machines have been widely utilized for producing fresh-cut vegetables or agricultural products of different sizes; however, the design standard is not established for specific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mechanical properties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of targeted agricultural products (radish, carrot, squash, cucumber, shiitake mushroom, and sweet potato) for developing a multipurpose vegetable cutting machine. According to ASAE standard (s368.3),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of targeted agricultural products were measured by using a custom built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Shape type of samples and speed ranges (5 - 15 mm/min) of loading rate on bioyield and shear points varied depending on the targeted agricultural product. The range of averaged bioyield points of targeted agricultural products were between 7.89 and 146.98 N. On the other hand, their averaged shear points ranged from 22.50 to 53.47 N.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bioyield and shear points of targeted agricultural products were thoroughly affected by their components. As measuring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of a variety of agricultural products, it will be feasible to calculate blade cutting force for designing multipurpose vegetable cutting machine.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소비자의 가치 인식 및 가격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스마트팜 재배 과채류를 사례로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Storytelling Marketing on Consumers' Value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 The Case of Fruits and Vegetables Grown in Smart Farms -)

  • 김성휘;이춘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31
    • /
    • 2024
  • Smart farm farmers invest a lot of facility costs, time and effort. Product differentiation using storytelling marketing is important for the profitability of smart farms, since it is not easy to differentiate products between fruits and vegetables grown in smart farms and conventional faciliti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storytelling marketing on consumers' value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y for fruit and vegetables grown in smart farm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is conducted on 1,050 consumer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valuating consumers' value perception, consumers perceive the value of comparative products (product 2 and 3) to be higher than the base product (product 1). Product 2 and 3 provide richer stories than product 1. Seco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product 3, which provides the richest stor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roduct 2, and then product 1. This means storytelling marketing c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that increases the value of fruits and vegetables grown in smart farms. 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re willing to use QR codes when purchasing fresh agricultural products. Farmers could use QR codes to provide rich stories for effective storytelling marketing.

시중 유통 과일 및 채소류 29종의 항산화 효과 및 $Lp-PLA_2$ 활성 저해 연구 (Antioxidative and $Lp-PLA_2$ Inhibitory Activities in 29 Fruits and Vegetables)

  • 김지영;이초롱;조경현;이정희;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2-5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 중인 과일 및 채소류 총 29종을 수집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총 페놀함량 분석을 통하여 천연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 $Lp-PLA_2$ 활성 분석을 통해 저해 효과를 조사하여 천연 항산화제 및 관상동맥질환의 저해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 분석 결과, 과일류에서는 자두가 1.06 mg GAE/g fresh weight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바나나가 0.07 mg GAE/g fresh weight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채소류의 경우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낮은 시료는 당근과 오이로써 0.07 mg GAE/100 g의 동일한 수치로 측정되었고, 총 페놀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생강은 0.70 mg GAE/100 g으로 당근과 오이에 비하여 10배 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한편, 과일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애플망고 추출물의 RSC 값(%)이 92.8%로 측정되어 가장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고, 채소류에서는 파프리카, 비트잎 그리고 생강의 RSC 값(%)이 각각 75.4, 75.3 및 55.0%로 비교적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일 및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Lp-PLA_2$ 활성(inhibition%)을 연구한 결과, 과일류 에탄올 추출물 중 체리가 34.95 inhibition%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채소 추출물 중 쑥갓이 26.53 inhibition%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 Kim, Hoi-Kyung;Bang, Chan-Sook;Choi, Young-Min;Lee, Ju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02-806
    • /
    • 2007
  •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egetables.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13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New-beet and ornamental kale contained >1,000 mg of polyphenolics/100g fresh weight (FW), which was the greatest amou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Ornamental kale also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232.84 mg/100g FW) of flavonoids. With the exception of chicory, valu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similar trends. New-beet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antioxida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New-beet exhibite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ctivity (>60%) against all tumor cell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antioxidant contents or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samples.

각종 이젝터를 이용한 진공냉각장치 (Vacuum Cooling System by the Various Ejectors)

  • 윤석훈;김원녕;전현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1-6
    • /
    • 1995
  • Recently, outstanding progresses have been made in food industry, in all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conversion of raw materials into food products. This article describes two kinds of coolers for processing uncooded foor, namely vacuum coolers capable of rapidly cooling decomposing bacteria down to their critical temperature, and also cooling equipment for fresh vegetables based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vacuum cooler.

  • PDF

산채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n Respiration Diseases Inducing Bacteria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Wild Edible Vegetables)

  • 이인순;문혜연
    • KSBB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14-120
    • /
    • 2012
  •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n bacteria causing a respiration disease and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12 kinds of wild edible vegetables, we extracted the water extracts for 72 h in $7^{\circ}C$ using distilled water as solvent. The water extracts except Ixeris dentate and Allium monanthum had high concentrations of phenol compounds and flavonoids. Liguraia fischeri specially had the highest level on total phenol compounds and flavonoids with 205 ${\mu}g/mL$ and 98. 86 ${\mu}g/mL$, respectively. The each 0.05% extracts of Sedum sarmentosum and Liguraia fischeri had high effect 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wild edible vegetables and the most extracts promoted antioxidant activit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extract. The catalase activity of Erysimum aurantiacum and Aralia elata showed more than 150 units per g of fresh tissue. The effect of antimicrobial activity on water extracts showed characteristic activity. Only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8 and Corynebacterium diptheriae KCTC 3075 were inhibited cell growth on the other hands, the remainder of bacteria was not inhibited cell growth. Nevertheless, the extracts of wild edible vegetables had specific concentration as MIC for antimicrobial activity respectively. In case of the extract of Aster scaber, Erysimum aurantiacum, and Allium monanthum had over 30%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bacteria causing a respiration disease. In results, the wild edible vegetables include high concentrations of total phenol compounds and flavonoids that give a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refore the wild edible vegetables are functional food for anti-aging and physiological activation.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mong Korean males

  • Kim, Young-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162-166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mong Korean males. Data from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1,869 men aged 20-65 yea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n initial analysis, a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major dietary patterns among the subjects. Th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tern related with hypertension. As a result of the initial analysis, three major dietary patterns were identified. Dietary pattern 1 (traditional) was heavily loaded with vegetables, fish and cereal. Dietary pattern 2 (Western) was loaded with fast foods, bread, meats and dairy products. Dietary pattern 3 (Drinker) was loaded with mostly pork, beer and soju (Korean liquor). From the second stage of the analysis, there was a tendency of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al patterns and hypertension risks. However, the tendency did not mee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p<0.05). In summary, unlikely findings from European and American studies, vegetables rich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did not show any protective effect on hypertension in Korean males. The Korean dietary practice, which is consuming salted vegetables instead of fresh vegetables, might have played a role in these findings. However, the full explanation of the findings remained to be answered with further investigation since none of the dietary patterns identified showed any statistical signific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