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t Item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6초

일부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 요인 (The Contents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 Factors)

  • 정상길;김기순;조수형;강명근;한미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346-358
    • /
    • 2009
  • 우리나라 여러 기관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요인을 파악코자 2008년 6월 대한응급구조사협회에서 주최하는 보수교육에 참여한 자중 80명과 특정지역 119구급대 소속 53명, 총 133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조사대상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내용별 빈도를 보면 생체징후감시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산소포화도 측정, 산소투여, 지혈 및 창상처치, 심전도 감시 순으로 많았다. 응급처치 23개 전체항목 시행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은 거주지 구분과 자격종류이었으며 단일 응급처치항목으로서 정맥로 연결 시행횟수의 유의한 관련요인은 대상자의 성별, 정맥로 연결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이었고 근무기관의 종류도 경계역에서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선정되었다. 심전도 감시 시행횟수의 유의한관련요인은 대상자의 성별로 남성보다 여성이 시행횟수가 많았다. 따라서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횟수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케 하기 위해서는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응급처치에 대한 자신감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남성 응급구조사, 2급 응급구조사,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응급구조사들에 대한 관리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에 대한 적절성 평가와 더불어 응급구조사 역할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중학생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식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Food & Nutriton Section and Eat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경애;최현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11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at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wangju area about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course. The subjects were 480 middle school studen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On the perception f food and nutrition section, the 1st graders learned ‘how to settle the problems related to food and nutrition and food choices’. The 2nd graders learned ‘the knowledge and principle of food and nutrition for improving dietary life’. The 3rd graders learned ‘actual dietary life functions like arranging menu and preparing meals’. Consequen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ade and all boy and girl students have the highest response to the item ‘they learn how to settle the nutrition problem and foods choices’. On the interests in food and nutrition section, lower graders and girl students have higher interest than hgiher graders and boy students. The area which was considered as most interesting in food and nutrition sections was ‘cooking’ in all students. The perception of the concern on dietary life after learning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higher in the 1st graders. On the perception of the area w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ir own dietary life after learning food and nutrition section, the 1st graders responded there was a great change in ‘balanced dietary life’, the 2nd graders in ‘eating habit and nutrition of adolescence’and the 3rd graders in ‘cooking’. Especially, girl students showed more changes. On the perception of degree which food and nutrition section gives a help to actual life, students over 50% responded that it was helpful to their actual life. This showed that the lower the grades, the more help it gave to those students.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job, the students with working mother considered that they learned ‘actual dietary life functions like functions like arranging menu and preparing meals’from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In addition, they had high interests in the area of ‘cooking’. It was recognized that as the family size was greater,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gave more helps to actual life. On eating behaviors of breakfast,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frequent they don’t have breakfast, boy students have more frequencies of having breakfast than girl students and the primary reason of not having breakfast is poor appetite. On whether going without a meal affects study or not, most of the 1st, 2nd and 3rd graders whether they are boys and girls or not responded it affected their study. On eating behaviors of lunch, most of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1st, 2nd 3rd grade have lunch box. On eating behaviors of supper, eating time is usually between 7:00 and 8:00 p.m and eating hour is mostly 10 or 15 minutes. On eating behaviors between meals, frequency of eating between meals is mostly once or twice a day and girl students have more frequencies of eating between meals, and the cause was hunger commonly in boy and girl students and ‘killing time’in girl students. The focus in getting the foods is ‘taste’and favorite food is fruit regardless of the grade.

  • PDF

한국인 8세에서 16세까지 비부외형의 성장 변화 (GROWTH CHANGES IN EXTERNAL NOSE OF THE KOREAN PEOPLE FROM 8 TO 16 YEARS OLD)

  • 박혜경;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9-261
    • /
    • 1993
  • 측모의 형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부외형의 나이에 따른 성장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정상교합을 가진 평균 8.5세의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16.5세까지 연속두부방사선 계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cdot$ 남, 녀별로 각 계측항목의 연령에 따른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cdot$ 비부고경은 연령증가에 따라 남,녀 모두 증가하였다. 하비부고경에 대한 상비부고경의 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 녀 모두 약간의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기간 동안 평균 비는 남자가 3.69 : 1, 여자가 3.83 : 1로 나타났다. 비부후경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계측항목 가운데 가장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시상후경은 대부분의 연령군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백 큰 값을 보였다. $\cdot$ 상, 하 비부경사도는 연구기간동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dot$ 최종 연령에 대한 최초 연령의 성장 백분율은 시상후경에서 가장 높았고(남자 $87.14\%$, 여자 $91.20\%$), 남자에 있어서는 하비부고경$(73.04\%)$, 여자에 있어 서는 비부후경 $(79.09\%)$이 가장 낮은 백분율을 보였다. $\cdot$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상비부 경사도와 비부후경이었다. $\cdot$ 이 기간동안 전체적인 비부의 성장은 전하방으로 일어났으며, 수직 성장보다 수평 성장이 더 많이 일어났다.

  • PDF

부품단종관리 방안 및 유도무기 시범적용을 통한 비용분석 (A study on the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 and Material Shortages Management and Cost Analysis based on Pilot Application of the Guided Weapons)

  • 박광효;심보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90-398
    • /
    • 2020
  • 부품단종(DMSMS) 문제는 품목, 원자재 또는 소프트웨어 제조업체 또는 공급 업체의 손실 또는 임박한 손실을 말한다. 해당 제조업체 또는 공급업체가 필요한 부품, 원자재 또는 소프트웨어의 생산 및 지원을 중단하거나, 원자재의 공급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때, 부품단종 문제를 겪게 된다. 전통적으로 부품단종 문제는 전자부품에 국한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및 비 전자 부품(MaSME, 원자재, 구조물, 기계 및 전기부품)을 포함하여 시스템 내의 모든 부품에서 부품단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품단종 문제는 적은 시장 수요, 새롭거나 빠르게 진화하는 과학과 기술의 발전, 독성/화학 물질의 검출 한계 및 관련 규제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공급망 및 산업 기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첨단 전자부품의 집약체인 유도무기에서 이는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본연구에서는 부품단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진국의 부품단종 프로세스를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시범 적용하여 위험도 평가, 운용영향성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등 부품단종관리의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유도·수중무기의 부품단종에 대해 사전관리와 사후관리. 미 관리를 수행할 경우 발생하게 되는 비용을 추정하였고, 부품단종관리를 수행할 할 경우 경제적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수도권 통행 특성을 고려한 통행시간가치 산정 연구 (Calculation of Travel Time Valu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Considering Unique Travel Patterns)

  • 김경현;이장호;윤일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1-498
    • /
    • 2017
  • 교통시설 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편익항목은 통행시간 절감편익이며, 이는 통행시간가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표준 지침(5판)에서는 1999년 전국 지역 간 통행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업무통행 대비 비업무통행 통행시간가치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업무통행 통행에 대한 시간가치를 산정하였으며, 여기에 수도권 통행목적 비율과 재차인원을 적용하여 수도권에 대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수도권 통행은 전국 지역 간 통행과 다른 통행특성을 가지고 있다. 수도권 통행의 경우 복합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환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통근통행에 장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 관련 지침의 통행시간가치 산정방법을 개선함으로써 수도권의 통행 특성을 반영한 통행시간가치를 산정하였다. 수도권 통행 특성 반영을 위하여 기존 비업무통행에 포함된 통근통행을 분리하여 통근통행에 대한 통행시간 가치를 별도로 산정하였다. 통근통행 모형과 비업무 통행 모형에 대한 우도비 검정통계량 검정 결과 두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른 통행 여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대중교통 통합 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중교통 통합모형의 버스와 지하철의 계수 비교결과 두 수단간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 수업 상황에 따른 질문의 유형과 빈도에 대한 초·중학생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Frequency and Type Relating to Question in Science Class Context)

  • 이윤경;이태상;임수민;김영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58-79
    • /
    • 2015
  • 이 연구는 다양한 과학 수업 상황에서 학생의 질문 빈도와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년별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분석하기 위하여 3~9학년까지 총 2,28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분석한 것이다. 설문에 제시된 수업 상황은 수업 내용,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수업 진행 방식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하여 19가지 하위 항목으로 세분화한 후 각 항목별로 과학 수업 1차시 동안 학생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과 빈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의 유형은 이해 질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기억 질문으로 두 유형이 5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학년별 질문 유형의 변화도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특히 잘 아는 내용의 수업, 강의 수업,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 교사가 교과서를 읽으면서 설명하는 수업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질문 빈도는 4학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학년별 질문 빈도의 변화는 3~4학년 사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업 상황별, 학년별로 다양한 질문이 오갈 수 있도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시키고 활발한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정신과 입원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불안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nxiety Levels of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in Terms of Length of Hospitalization)

  • 김윤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63
    • /
    • 1981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xiety levels of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and various influencing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that may help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to experience lower levels of anxiety in relation to changing situations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a dynamic approach which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modern psychiatric nursing that understands and analyses the meaning of patients behavior. The anxiety may produce stress, which is a common experience among all human beings. Patients may merely feel uncomfortable in the state of mild anxiety, however, the severe state could be an obstacle to treatment and recovery from disease. The anxiety of the psychiatric patient is a factor which greatly influencing the patient's behavior, so his disorderd behavior is an expression of defence or pathologically fixed behavior. According the psychiatric patient's anxiety at the time of admission is the concern of the health team. The nurse's special concern has to do with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the patient and meeting his individual needs by frequent close contact during the entire hospitalization period, compared to other teamembers the nurse's responsibility in this regard is greated. So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reating conditions these, but above all the psychiatric nurse should create a therapeutic environment by not only regarding the patient's behavior or symptoms bu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psychiatric patients selected from the K neuropsychiatric hospital located in Kunsan city. Data were collected twice from the same patients within a 24 hour period after admission and 10 days after admission. (September 18th to November 8th, 1980). The data collected method was through direct interview, and the interview time was 20 minutes for each patient. Data analysis included Item Analysis &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ests, Percentag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est of Hypothesis a. Hypothesis 1 :“The anxiety level of psychiatric patients within 24 hours after admission will be higher than those of the same patients 10 days after admission,”was accepted. (t = 3. 15 ; p < 0.005) b. Hypothesi 2:“The more the number of admissions the higher the level of anxiety related to two categories”, was accepted. (affective anxiety: F = 5.50, p < 0.005, Somatic anxiety: F = 9.12, p <.

  • PDF

청소년의 성지식 요구 (Needs for Sex Knowledge in Adolescents)

  • 이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211-23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get hold of adolescent's needs for sex knowledge and to reveal their understanding of sex. These results may be applied to the sex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adolescent.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267 students (females, 144 ; males, 123) who were the first and second grade form 1 middle and 2 high schools. They were asked to describe 3 questions that they wanted to know or to learn about sex. Their questions about sex were total 779(girls, subtotal 456, mean 3.2, boys, subtotal 323, mean, 2.6). These questions categorized to 9 items by content analysis. The items were ‘sexual drive, behavior and tendency(229, 29.4%)’ , ‘anatomy and physiology of reproductive system(140, 18.0%)’, ‘reproduction(131, 16.8%)’, ‘concept of sex(31, 4.0%)’, ‘acquaintance between the other sexes(17, 2.2%)’, and ‘the others(9, 1.2%)’ in order of frequency. The most frequent item that the student want to know or team about sex was ‘sexual drive, behavior and tendency’ except girls of sophomore in middle school. There were several features in participants' needs for sex knowledge as respects of the understanding of sex- biological sex, gender, and sexuality. The prominent feature in knowledge need of bio logical sex was that the participants had the interests according to their biological sex. They had the negative attitude to the phenomenons (ex, menstruation and pregnancy, phimosiectomy, etc) that they experienced or would experience due to their biological sex. A part of them asked the questions based the misconceptions and used the slangs or ‘××’, ect. to name the male or female genitalia. The male students wanted to know the female genitalia.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gender reflected the sexism of our society, but they didn't accept and had doubts about the dual, hierarchical structure of that. The students, especially female seemed to be powerless to the harms of the sexual violence. Girls had much interest in their appearances and complained to our sexual culture that women comforted and served men. The participants had the dual perspective that the sexuality as respects of physiologic phenomenon was considered as natural but that as related to heterosexuals was as negative. And they deemed that men's sexual drive was stronger than women's and was difficult or was not able to be inhibited. They had much interests in homosexuality but reflected the negative attitude to that in our society. Adolescent felt wonder why the expressions of sexuality of adult were permitted but theirs were not. Lastly, a part of boys substituted querying the sexuality of animals for asking that of human. Maybe it was because of the embarrassment to talk about human's sexuality directly. The teenaged participants understood that the sex had not only the biological meanings but also the sociocultural meanings. They regarded the sex as natural and wanted to know it, but they had conceptions that it was difficult and embarrass to talk about it openly and directly.

  • PDF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인지한 안전예방교육, 안전사고 및 학교 시설물 관리 상태 (A Study of Accident-Prevention Education, Accidents and School Facilities for Safet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ers)

  • 김영혜;김정숙;강인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83-19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a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a more systematic safety education and measures against children's accidents by a descriptive survey with regard to accidents actually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ers, their perceiv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and school facilities to their safety lives. The data was collected among 1,654 pupils, belonging to the 5th and 6th grades in Pusan from Nov. 20 to Dec. 1, 200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7.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the perception by elementary schoolers, they received safety life instruction at school in most cases from teachers in charge of their own class (41.0%). Such safety education was provided often during formal classes(24.4%). Traffic guidance was given by parents, highest in frequency(67.3%). 2. Matters as most often treated during safety life instruction were safety knowledge or dangerous things(37.5%). A majority of notices of school safety instruction were presented sometimes(48.4%). Source of knowledge about safety lives included teacher (35.3%), parents(32.9%), TV and newspaper (29.9%). As a source of knowledge of emergency treatment, school nurses were accounted for 41.3% that was highest. 3.Among the 1,654 students, 91.8% experienced at least more than one case of safety accident. The most frequent type and cause of safety accident were wound(33.7%). and self-carelessness(38.4%) respectively. In most cases, the subject experienced such accident during a break time(32.2%) and at a playgrounds. Part of body as most often damaged by accidents were arms and legs, 25.4% higher than any other sides problem solving measures against the accident were taken by school nurse in most cases, 44.8% in percentage point. 4. Those students' perceived safety management of school facilities showed that they considered classroom facilities as most safe (61.6%), while playground facilities as least safe(42.8%).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treatment of glass fragments or stones at playground is the most important item of safety management.

  • PDF

조합에서 모든 경우의 수를 만들기 위한 CPU와 GPU의 효율적 협업 방법 (Efficient Collaboration Method Between CPU and GPU for Generating All Possible Cases in Combination)

  • 손기봉;손민영;김영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9호
    • /
    • pp.219-226
    • /
    • 2018
  • 조합에서 모든 경우의 수를 생성하는 체계적인 방법 중 하나는 조합 트리를 구성 하는 것이며 조합 트리를 구성하는 시간 복잡도는 O($2^n$)이다. 조합 트리는 그래프 동형 문제나 빈발 항목집합을 계산하는 초기 모델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조합의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야 하는 알고리즘은 높은 시간 복잡도로 인해 현실적으로 활용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지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야만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최근 GPU환경이 보급되고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직렬 환경에서 높은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알고리즘들을 병렬화 하여 시간을 줄이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합에서 모든 경우의 수를 생성하는 방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하부 작업의 크기가 편향되기 때문에 병렬 구현에 적합하지 않다. 병렬 알고리즘의 성능은 모든 스레드가 비슷한 크기의 작업을 가질 때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를 병렬화하기 위하여 CPU와 GPU가 효율적으로 협업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시간 복잡도를 분석하고, CPU와 GPU환경에서 다른 알고리즘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실험 시간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CPU와 GPU의 협업 알고리즘은 이전 알고리즘에 비하여 CPU의 수행시간과 GPU의 수행시간의 균형을 유지하였고 아이템의 개수가 커질수록 괄목할 만한 시간 개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