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ndation Motiv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전문가 집단 양성을 위한 프로게이머 발달 및 학습 모형 연구 (Research on Professional Groups through Learning of Professional Game Players)

  • 김사훈;박상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3-34
    • /
    • 2010
  • `e-스포츠'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증가는 경제적 효과와 동시에 사회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전문적으로 게임을 하는 집단인 '프로게이머'를 보유한 한국은 게임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가지며 세계적인 관심 속에서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프로게이머를 사회적인 인적자원으로서 분류하고 체계적이고 이론적으로 정립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프로게이머들의 발달과 학습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모형은 수립은 근거이론 방법에 의한 자료분석에 의거하였다. 총 9명의 프로게이머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3명의 전문가(감독, 컨설턴트)에 의해 모형 검증 및 수정의 단계를 거쳤다. 분석된 자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게이머의 발달은 선형적 모형이 아닌 '단계(stage)'로 구분되는 형태를 나타낸다. 둘째, 'Enjoying', 'Struggling', 'Achieving', 'Slumping', 'Recovering'로 명명되어지는 각각의 단계는 학습방법과 동기적 측면, 교육과정, 동료와 상호작용 유형에 있어 고유한 속성을 가진다. 셋째, 기 명명된 5 단계는 유사한 속성에 따라 'Communicative Stage'와 'Practicing Stage'로 분류된다. Communicative Stage의 속성으로서 비구조화된 교육과정, 내재적 동기에 의한 학습형태, 수평적 관계에 의한 상호작용 형태가 나타났으며, Practicing Stage의 속성으로는 구조화된 교육과정, 외재적 동기에 의한 학습, 경쟁적, 수직적인 상호작용 유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edagogy와 Andragogy를 비교한 Knowles(1980)의 이론적 분류를 통하여 선수관리의 방향점을 제안한다. 즉, 게임 전문가 집단으로서 프로게이머의 관리는 첫째, 제시된 모형에 의거 선수들의 상황을 적절하게 분석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둘째, 분석된 발달단계에 따른 적합하고 구체적 관리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선수들의 단계이동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엽적 훈련과정보다는 모형에 입각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Analysis for Trends and Causes of the Decline in Korea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김현정;강훈식;이재원;김율;정지현;정은영;윤혜경;박지선;이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5-226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의 추이와 하락 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있는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4학년~10학년 학생을 학년별로 표집한 후,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 및 하락 원인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였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에 대한 일원 분산 분석 결과, 전체 평균에서는 학년과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별로는 결과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과학학습정서에서는 중학생보다 초등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초등학교 4학년의 평균이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평균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과학관련 진로포부에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동기, 과학관련 태도에서는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별 주요 하락 원인은 학교급에 따라 다소 달랐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년 및 학교급에 따라 과학긍정경험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조직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강윤숙;최윤정;박달이;김인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3-15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nurses' level of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above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3 nurses from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instruments: Self-leadership scale, Self-esteem scale, Job satisfaction scal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and Turnover intention scal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 res don u dng SPSS-PC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variables were; self-leadership, 3,72/5,00 self-esteem, 3,76/5,00 Job satisfaction, 3,36/5.00 organizational commitment, 3.29/5.00 and turnover intentioncri 2.94/5,00, Self-leadership was dgnificantly correlated to self-esteem,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explained 52.3%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xplained 43% of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standardized self-leadership curriculum in the nursing school to build a foundation of self-leadership from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that promote nurses' self-leadership as regular continuing educ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programs to enhance nurses' self-esteem, educ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boost self-leadership.

스마트 미디어 이용동기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s for using smart media on using application)

  • 최민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1권
    • /
    • pp.52-7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이용동기가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플랫폼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와 태블릿PC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이용동기는 정보를 얻거나, 소통을 하거나, 스마트 미디어의 특정 기능을 사용하거나, 휴식하기 위해 이용되는 등 4가지 차원으로 구성됐다. 이용동기 측면에서 스마트폰 이용자는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을 이용하는 데 더 치중했으며, 태블릿PC 이용자는 휴식을 위해 이용하는 데 더 치중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이용에서는 개별 애플리케이션 유형별로 이용되는 정도가 다른 것이 확인됐다. 스마트폰에서는 정보나 엔터테인먼트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보다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용됐으며, 태블릿PC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보다는 엔터테인먼트나 정보 유형이 더 많이 이용됐다. 한편 스마트폰의 이용동기와 태블릿PC의 이용동기는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부분적으로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이용동기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게끔 하는 추동력으로서 작용했다. 특히 스마트폰의 이용동기는 개별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여부와 정적 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특수목적 영어(ESP)로서의 스포츠 영어 교육: 스포츠관련 분야 학생들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Sports English Education a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 김지은;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09-517
    • /
    • 2014
  • 본 연구는 스포츠 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영어와 스포츠 영어 수업에 대한 자기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스포츠 영어 수업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포츠 관련 전공 4학년 학생 133명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전공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 정도는 비교적 낮았는데, 이 흥미도는 영어 실력이나 다른 항목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스포츠 전공 학생들의 본인이 생각하는 본인의 영어 실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어 실력에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흥미도와 관심도와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스포츠 전공자들에게 영어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운동선수나 지도자로서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많았고 '국제 스포츠 교류나 외교, 행정'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4. 일반적인 영어 수업과 차별화 된 스포츠에 초점을 둔 영어 수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서'와 '향후 전공 직무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가 가장 많았다.

기업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Work-related Values and Job Performance)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0-338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직무관련 가치관과 직무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직무특성에 따라 직무관련 성과가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내적 가치관의 차원 가운데 일에 대한 자부심, 조직에 대한 관심, 행동선호성 등의 차원들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이 밝혀졌다. 외적 가치관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모두 부(負)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만족에는 내적 가치관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가 외적 가치관의 경우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은 내적인 가치관과 관련하여 조직몰입에 더욱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일에 대한 내적 가치관을 강하게 보유한 기업 구성원을 조직에 참여시키고 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기적 관점에서 경영자는 내재적 가치중심 기업문화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외적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정보보안체계 운영경험 진단을 통한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모델 연구 방법 (A Building Method of Designing National Cyber Security Governance Model Through Diagnosis of Operational Experience)

  • 방기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05-21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보안 거버넌스를 효율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정보보안 거버넌스 모델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리의 운영 경험을 진단하고, 새로운 모델 설계 방법을 도출하였다. 그동안 국가 정보보안 활동은 지식 전달 위주로 인식되었고 활동의 동기 부여와 실행력 확보가 취약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안 사각 지대가 늘어나고 대형 보안 사고가 빈발하여 해결이 필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는 국가 리더의 책임하에 상단의 정책에서 하단의 실행까지 총체적으로 시스템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같은 접근 방법에 기반하여 한국형 보안 거버넌스 모델의 종합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비전, 목표, 과정, 수행 등 4개의 아키텍처 설계로 구체화시킴으로써 국가 거버넌스 모델 설계의 기반을 도출하였다. 라이프 사이클 흐름상의 문제점 진단, 환경변화에 기초한 보안 정책, 모든 주체의 참여가 반영되는 새로운 틀에 대하여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업 퇴직근로자 전직지원프로그램 비교분석 (Comparing the Outplacement Programs for the Retiring Employees in Corporations)

  • 김석란;이영민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0-9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퇴직자와 퇴직예정자들의 원활한 전직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 국내 퇴직근로자 전직지원 프로그램들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 퇴직근로자 대상 전직지원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목표, 대상, 프로그램의 내용, 운영방식을 분석 준거로 설정하였다.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노사발전재단, 무역협회, A 전직지원 컨설팅사, KT, 삼성전자의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퇴직자를 위한 전직지원 프로그램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장기적 관점의 생애경력전환을 위한 프로그램 도입, 고용가능성 제고, 기업 내부의 상시적 전직지원 센터 운영, 기업환경과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내용 개편, 다양한 운영방식의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향후 전직지원을 보다 많은 기업들에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업 인사부서 및 최고경영진의 주의를 환기할 필요가 있고, 전직에 관한 정부 재정지원 사업의 확대 및 컨설팅 제공을 통해 기업이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작목전환의 단계별 성공요인 분석 -HERO 모델 적용- (Analysis of Sucess Factors on Crop Switching Management: Applying the HERO Model)

  • 안경아;박성희;조혜빈;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3호
    • /
    • pp.699-727
    • /
    • 2012
  • Conditions of farm crop switching are affected by several important external factors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import opening, policy support, and climate change. Farming environment is always changing; barriers to imports are becoming lower and lower because of FTA and others, and climate change affects a boundary line of cultivation. Those situations give farmers motivation to change crops in order to cope with them. In addition, crop switching has been done in response to the local government measures about purchas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local food and the expansion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meal. Even though the favorable environment toward crop switching has been created,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r outcomes regarding crop switching. Only few studies focus on the list of decision-making in crop switching, and locally suitable crop selection is not treated. In order to utilize crop switching as a farm management strategy, the proper frame should be studied and practical researches on application possibility also need. Therefore, study on crop switching is in a timely, proactive manner because farms catch the chance of expansion of school meal by changing crops. This paper applies HERO model used for venture foundation process to crop switching process. Success factors of HERO model are comprised of Habitate, Entrepreneurship, Resource, and Opportunity, and these phased application factors are applied to crop switching process. By doing so, each phase success factor of crop switching can be uncovered. Three farm organizations supplying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to schools are studied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stabilization stage cannot be achieved because of the habitate conditions and social conditions with low risk bearing of crop switching and current school meal systems are the main problems to block the diversification of risks. In order to succeed in crop switching, constructing the habitate in local districts or in systems of school meal is more effective than supporting each farm.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단 검사지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Worksheet for Mathematics Academic Counseling)

  • 고호경;양길석;이환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723-743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학습 상담 시 활용할 사전 진단 검사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을 진단하기 위한 발문들을 도출해 내어 검사지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여 초등 5~6학년용과 중등 1~2학년용의 진단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검사지는 총 3부로 나누어, 1부 수학학습심리, 2부 수학학습 방법, 3부 수학학습 개인 성향으로 구성하였다. 수학학습심리는 '수학학습능력 자신감', '수학불안', '수학학습 태도' 요인으로, 수학학습 방법은 '수학학습 자기관리'와 '수학학습 전략' 요인으로, 수학학습 개인 성향은 '수학학습 습관'과 '수학학습 관리 방법', '동기', '성향'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진단 검사지는 학생들의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