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l Learning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5초

의과대학의 학습 및 학습공유공간에 관한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paces at the College of Medicine)

  • 최광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7-1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planning trends for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paces in the college of medicin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n, by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existing domestic facilities, It was organized the architectural planning baseline data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paces in the college of medicin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reviews on the existing medical education method and learning space planning. Subsequently on-site surveys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t existing facilities. Results: In the past, learning space of the college of medicine was considered only a formal learning space such lecture rooms, labs. But lately it has been turned into a total learning concept that embraces shared learning spaces such as libraries, student spaces, amenities and common spaces such as lobbies and hallways. ① Formal learning spaces are composed of teaching and practice areas. Since It is the basic functions that comprise the college of medicine, this paper conducted a functional analysis based on the current operating system of the College of Medicine and provided baseline data on architectural planning such as function, layout, zoning, and detailed planning. ② The informal learning sharing space was divided into a library area and a student well-being and convenience area to analyze the real conditions of domestic medical college.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trends and differences in foreign medical colleges identified by literature analysis, this paper summarizes the need to revitalize informal learning spaces and their integration into formal learning spaces,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ations, etc. Implications: the evolution of the learning method and the flexibility of the learning space bring about changes in the learning spac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cratch-based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Using Non-formal Learning Experience

  • Ko, Hye-Ky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170-182
    • /
    • 2019
  • In this paper, we use scratch to design and develop non-formal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linked with contents of secondary science textbook to educational program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convenient and interesting program for non-formal learning in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various smart device. Theoretical approaches to mobile education, such as smartphones, and smart education support policies continue to lead to various research efforts. Although most of the smart education systems developed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are utilized, they are limited to general students. To solve the problem,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implanted by combining the scratch, which is an educational programming that can be easily written.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proposed in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process of programming using ICT device using scratch programming. In the evaluation stage, we were able to display the creations and evaluate each other, so that we could refine them more by sharing the completed ideas.

건설기술인력의 일터학습 참여가 인적자원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Workplace Learning on Human Resourc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Engineer)

  • 심용보;장철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1-4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인력의 일터학습 참여 실태와 더불어 일터학습의 하위유형인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이 각각 건설기술인력의 인적자원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6차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근로자용 설문자료에서 건설기술인력 306명의 응답치를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건설기술인력의 일터학습(형식학습, 무형식학습) 참여는 10,069명 전체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무형식 학습의 참여는 더욱 낮은 수준이었다.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형식학습의 참여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만 정(+)의 영향을, 직무능력의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무형식학습은 직무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형식학습에 비해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unidades de Aprendizaje: Saberes y Habilidades Colectivas en Pequeños Productores Vinícolas del Noreste Mexicano

  • Lopez, Irma Eugenia Garcia;Garcia, Brianda Daniela Flores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23권2호
    • /
    • pp.209-241
    • /
    • 2021
  • Over the last few years, rural areas in northeastern Mexico have present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economic, and territorial aspects linked to the New Rurality. In this context, winemak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dynamic and growing activities in the regional economy. This emerging development has prompted different forms of appropriation and use of this space, but it also highlights the lack of access to knowledge for wine production due to the lack of formal educational centers. As a result, learning communities enable the development of skills and competencies through non-formal educational practic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ole of learning communities in non-formal educational environments, taking as a case study: a collective of small-scale wine producers in Parras de la Fuente, Coahuila.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perspectives of learning: appropri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and promotion of Mexican wine culture. The main finding was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including educational processes that respond to the context and needs of the community.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rporate Support in Learning o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 김지영;장원섭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3-156
    • /
    • 2010
  • 이 논문은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기업에서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가 조직학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과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층 직장생활 적응능력 향상 연구'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에서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지원여부는 개인의 형식학습 참여와 공식적 관계학습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는 조직학습의 각 요소(수용력, 조직기억, 학습능력, 환경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CA 개념 망에 기반을 둔 적응형 학습 시스템 (Adap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Concept Lattice of Formal Concept Analysis)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479-493
    • /
    • 2010
  • 지식기반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이-러닝은 매우 보편화된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닝의 주요 연구 분야 중의 하나는 학습자의 다양한 상황들을 반영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특징에 맞게 학습내용을 지원하기 위한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적응적 학습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한 적응형 학습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CA의 개념 망을 기반으로 온톨로지의 접근 방법과 목적은 같이하지만, 특정 영역의 학습에 적합한 사용자가 보다 자유롭고 쉽게 자신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영역에 존재하는 학습객체와 학습개념들 사이의 연관 관계에 따라 이들을 개념 망 구조 안에 자동으로 계층화한다. 또한 학습자의 지식수준, 학습선호도, 학습스타일 및 학습개념의 학습상태에 따라 개념 망 학습구조를 적응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한다.

노인의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ifelong Learning,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 이지선;김정주;유현옥;서환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059-1074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분석자료로 제4차(2012) 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 KLoSA) 기본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항 우울제를 복용하지 않는 만65세 이상 노인 4,0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비형식교육 활동 및 무형식학습 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비형식교육 활동 및 무형식학습 활동은 우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비형식교육 활동 및 무형식학습 활동은 우울을 감소시켜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형식교육보다 무형식학습 활동의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Project Learning that Integrates Formal Education with Informal Learning)

  • 조미헌;허희옥;강의성;류숙희;김용대;서정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91-304
    • /
    • 2013
  •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 환경과 방법의 변화를 고려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식 교육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비형식 학습 경험의 통합과 각종 스마트 기기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활동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수정한 후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프로젝트 과정, 과정별 교수 학습 활동 및 관련 지원 자료들을 개발하고 이를 패키지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젝트학습 활동과 지원 자료는 서울시 소재 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시범적용을 하였다. 시범적용 결과는 관찰, 면담, 학습 과정 및 결과물 평가를 통하여 분석되었고, '프로젝트 활동 전반', '학습 자료와 도구' 그리고 '비형식 학습 경험'과 같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통합적 경험을 위한 프로젝트 활동을 도입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필요조건, 충분조건 개념의 학습과 관련한 문제들 (Didactical Issues Related to Necessary Condition and Sufficient Condition)

  • 홍진곤;공정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91-204
    • /
    • 2015
  • The reason of the confusion of learners about the logic concepts such as implication, necessary condition and sufficient condition can b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y of logic, discrepancy between ordinary language and formal logic, and reification which occurs in the process of cognition of discursive object and also indicates the necessity of a research. This study analysed the difficulties related to study and implication concept and attempted to the reflection of textbook and curriculum. Not that ordinary language makes the introduction of formal language easier, but that this study discussed the possibilities ordinary language intervenes the learning of formal language. This study additionally intended to understand learning difficulties of concrete subjects, abstract subjects and the gap between primary object and discursive object by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agging, encapsulating and reifying.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국 고등 교육의 핵심 역량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of Chinese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장연연;김영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57-365
    • /
    • 2018
  • 21세기 들어 창조경제 시대의 도래가 전망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 양성에 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지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비단 학교 교육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평생교육의 목적으로 사회 모든 교육의 장소에서 촉진되고 지원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공식 및 비공식 학습의 가능성과 고등 교육 내 역량 개발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것이다. 집중 그룹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적이고 질적 연구는 공식 및 비공식 학습 설정의 여러 그룹을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중국에서 경우 또한 창조경제 구현이 새 정부의 주요 국정 방향으로 설정되면서 창조경제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가 주요 정책 과제가 되고 있다. 핵심 역량의 개발은 인지적 비인지적 처분에 기반을 두고 다중 문맥을 요구하는 것이다. 새로운 학습 문화의 목적으로 고등 교육 내에서 공식 및 비공식 학습 환경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을 제공하고 역량 개발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식 및 비공식 학습 설정의 측면을 식별할 수 있지만, 이들 간의 상호 의존성은 아직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실용적 함의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즉, 결과를 토대로, 고등 교육 환경에서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는 역량 습득의 주요 측면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결과, 본 연구는 고등 교육 내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한 공식 및 비공식 학습 환경에 대한 함의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