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growth

검색결과 2,419건 처리시간 0.035초

잣나무 생장과 관련이 있는 주요 대사물질 인자(II) (Identification of Key Metabolites Involved in Quantitative Growth of Pinus koraiensis trees (II))

  • 이위영;박응준;김현태;한상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11-217
    • /
    • 2014
  • 잣나무의 주요생장관련 대사물질 인자를 구명하기 위하여 3개 지역에 풍매차대 가계로 조성한 29년생 잣나무의 대사물질을 GC/MS을 이용하여 대사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리한 110종의 대사 물질 중 62종이 우수가계와 저조가계 간에 유의적 차이(p<0.05)가 있었으며 모두 상대적으로 우수가계에서 대사물질 함량을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hosphoric acid, alanine, glycine, malic acid, sucrose, d-turanose, succinic acid 등 22종의 물질은 생장 저조 가계에 비해 생장 우수 가계에서 1.5배 이상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생장특성과 대사물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생장 우수가계와 생장 저조가계 그룹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던 alanine, malic acid, sucrose, d-turanose, succinic acid 등 15종에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p<0.01)가 있었다. 또한 생장과 유의적 상관관계(p<0.05)가 있으면서 지역간에 변이가 적어 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고 있는 대사물질로는 acetic acid, succinic acid, butanoic acid, glutamic acid 및 inositol로 분석되었다. 이들 물질은 잣나무 생장 우수개체에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하고 있는 대사물질 인자로 추정되었다.

양돈분뇨 처리에 대한 포플러류의 생장반응 및 적응능력 (Growth Response and Adaptability of Poplar Species Treated with Liquid Pig Manure)

  • 김현철;신한나;이헌호;여진기;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420-427
    • /
    • 2013
  • 본 연구는 양돈분뇨 처리에 대한 포플러 클론들의 생육반응 및 적응능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돈분뇨 처리에 따른 포플러 클론들의 생장반응을 조사한 결과, 양돈분뇨 처리구 내 클론별 생존율은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97.9%로 나타나 가장 우수하였다. 평균 생존율은 무처리구가 처리구보다 33% 더 높았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은 양돈분뇨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각각 10%, 32% 높았으며,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 및 미루나무 교잡종 Dorskamp 클론이 양돈분뇨 처리에 있어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이 우수하였다. 양돈분뇨 처리에 따른 5년생 포플러 클론들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생장은 처리구가 52.6 ton/ha, 무처리구가 29.1 ton/ha로 처리구가 80% 우수하였다. 양돈분뇨 처리구 내바이오매스 생장은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 및 미루나무 교잡종 Dorskamp클론이 각각 73.6 ton/ha, 71.1 ton/ha로 나타나 우수하였다. 생존율, 생장특성, 병충해 피해 정도 등을 종합하여 포플러 클론별 양돈분뇨에 대한 적응능력을 분석한 결과, 미루나무 교잡종 Dorskamp클론 및 이태리포플러 Eco28클론이 양돈분뇨에 대한 적응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황철 62-10클론 및 수원포플러 Suwon클론이 양돈분뇨에 대한 적응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나무 풍매차대묘의 오존 내성 및 민감성 가계간 생장, SOD 활성 및 MDA 함량 차이 (Difference in Growth, SOD Activity and MDA Content Between Ozone Tolerant and Sensitive Families of Open-Pollinated Pinus densiflora)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장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23-327
    • /
    • 2006
  • 국내 주요 경제수종인 소나무의 내성 가계와 민감성 가계간의 오존에 대한 피해반응 및 내성반응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성 가계와 민감성 가계를 각각 5가계씩 선발하여 오존 100 ppb 농도에서 90일간 처리를 하여 근원경 생장, SOD 활성, 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근원경 생장에서 오존 처리 초기에 내성 가계가 민감성 가계에 비하여 약 3배 높은 생장율을 보였으며, 처리 기간 동안 내성 가계의 생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에 대한 처리구의 SOD 활성비는 민감성 가계의 경우 오존 처리 초기에 증가하고 처리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내성 가계는 6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오존 처리구의 MD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민감성 가계가 내성 가계보다 높은 MDA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내성 가계는 민감성 가계에 비하여 항산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질과산화 작용을 억제하는 등 생리적 장애를 극복하는 능력이 높아 생장감소가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간척지 성토지 식재 포플러의 SCB액비 처리에 따른 클론별 생장특성 (Effects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on Growth Characteristic of Poplar Clones in a Reclaimed Land Mounding Soil)

  • 박정현;여진기;구영본;이원우;김현철;박치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18-323
    • /
    • 2008
  • 간척성토지에서 SCBLF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80일 동안 SCBLF 처리 후 포플러의 클론별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엽면적은 SCBLF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6% 증가하였다(P<0.05). 엽록소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5%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엽면적의 경우 Suwon, Clivus, 72-30, Dorskamp, 97-19서 처리구와 대조구간 통계적 차이가 있었고 (P<0.05), 엽록소 함량은 97-19에서 유의성을 나타났다(P<0.01). 잎의 T-N함량은 P<0.01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클론별로는 97-19, I-476, Suwon, 72-30이 P<0.05, Clivus가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은 SCBLF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20%, 41% 증가하였으며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수고생장은 Clivus, 72-30, Suwon에서(P<0.05) 흉고직경생장은 Clivus, Eco28, Dorskamp,72-30, 72-31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특히 현사시(Clivus, 72-30)의 경우 잎의 엽면적, T-N함량, 수고 및 흉고직경 생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CBLF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거나 우수하였다.

Development of Zygotic Embryos and Seedlings is Affected by Radiation Spectral Compositions from Light Emitting Diode (LED) System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 Park, So-Young;Kim, Man-J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50-754
    • /
    • 2010
  • Amo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employed in micropropagation, light qu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growth, specially morphogenesis and photosynthesis. The effect of radiation quality (350-740 nm) o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zygotic embryos and in vitro plantlets of open-pollinated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were studied. Two types of explants were exposed for 4 weeks to cool white (W, as control), monochromatic red (R, peak emission 650 nm), monochromatic blue (B, peak emission 440 nm), red+blue (R+B, 1:1), or red+far-red (R+Fr, 1:1, far-red peak emission 720 nm) radiation from a light-emitting-diode (LED) system. While the zygotic embryos showed positive photoblastic behavior, their germination was inhibited by blue radiation. Hypocotyl elongation and root development were promoted by red radiation. The emergence of primary leaf and its expansion were faster under blue than under red radiation. In the plantlets, red and red+far-red radi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ormation and growth of the root, whereas blue light reduced rooting. Therefore, radiation quality appears to influence some steps in the development of zygotic embryos and plantlets in the chestnut.

The Effect of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Fertilizer on Tree Growth in Hillside Erosion Control Works

  • Kim, Yong-Rae;Kim, Suk-Woo;Damdinsuren, Enkhjargal;Ezaki, Tsugio;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227-231
    • /
    • 2012
  • Reforest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ays to reduce erosion soi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ellyfish soil amendment on seedling growth for reforestation. 100g jellyfish soil amendment was applied into planting hole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of the Chamaecyparis obtusa seedling growth. Results showed that during growing period, mortality were 4.4% for the fertilized group and 8.3% for control group. The seedling average height and root diameter were 95.0 cm and 1.07 cm in fertilized group and 40.6 cm and 0.74 cm in control group. The fertilized group was found to be superior (by 1 to 5%) to control group in terms of mortality rate, seedlings height, and root diameter. The positive growth of the fertilized group can be due the increase in soil moisture and the higher availability of nutrients to the plants from jellyfish fertilizer.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 김기윤;엄유리;정대희;김현준;김만조;전권석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80-388
    • /
    • 2019
  • 본 연구는 전국 임의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재배지 내의 토양 특성 및 토양세균군집을 분석하고, 토양 이화학적 특성, 토양세균군집 및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세균군집 분석은 pyrosequencing analysis (Illumina platform)를 이용하였고, 토양세균군집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8개 산양삼 재배지로부터 분리한 토양세균군집은 2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토양샘플에서 Proteobacteria와 Alphaproteobacteria가 각각 35.4%, 24.4%로 가장 높은 상대적 빈도수를 보였다. 산양삼의 생육은 토양 pH가 낮고 Acidobacteria의 상대적 빈도수가 높은 토양에서 증가하였으며, Acidobacteriia (class)와 Koribacteraceae (family)의 상대적 빈도수는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나아가 산양삼 재배 이전에 산양삼의 생육에 유용한 토양세균군집을 확인할 수 있다면 산양삼 재배적지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이화학성과 더불어 임상 및 주변식생에 따른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를 추가로 수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정보를 대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비처리에 따른 상동나무 용기묘의 생장 및 생리특성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tainerized Seedlings of Sageretia thea at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 어현지;손용환;박성혁;박광훈;이경철;손호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189-197
    • /
    • 2021
  • 본 연구는 다양한 효능·효과가 최근에 입증된 상동나무를 대상으로 다목적 수용성 복합비료를 농도(0.5 g·L-1, 1.0 g·L-1, 1.5 g·L-1, 2.0 g·L-1)처리에 따른 생장특성(간장, 근원경 및 H/D율)과 생리특성(광합성, 엽록소 함량 및 형광반응)을 정량화하여 적정 시비 수준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간장생장은 시비농도가 1.5 g·L-1까지 높아짐에 따라 생장량이 증가했으나 2.0g·L-1 시비처리에서는 낮아졌다. 근원경 생장은 시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장량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광합성 반응은 1.5 g·L-1 시비처리에서 엽육세포 내 CO2 반응곡선, 최대광합성효율, 최대 카르복실화 속도가 가장 높았다. 엽록소 형광반응과 엽록소 지수는 무처리구에 비해 시비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광합성 기구의 효율을 높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량한 묘목품질의 상동나무를 생산하기 위한 시비 수준은 1.0~1.5 g·L-1 농도라고 판단된다.

The effects of biomaterials in growing medium on the response of Zelkova serrata in a containerized production system

  • Youn, Woo-Bin;Han, Si-Ho;Seo, Jeong-Min;Aung, Aung;Dao, Huong Thi Thuy;An, Ji-Young;Park, Byung-Bae;Cho, Min-Seok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781-790
    • /
    • 2019
  • Changes i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materials during the nursing proces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containerized seedlings and on growth and survival after planting.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iomaterials and their mixed ratios on the growth of Zelkova serrata seedlings in a containerized seedling production system was investigated. Mushroom sawdust, pine bark, and carbonized rice husk were used as biomaterials. The mixed ratios were 10% and 20% volume ratio of the growing medium volume, including the untreated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ight growth of the Zelkova serrata seedlings according to the biomaterials. The root collar diameter was the highest with the 20% carbonized rice husk and the lowest with the mushroom sawdu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quality index and the lowest quality index was 30% in the order of the carbonized rice husk, pine bark, control, and mushroom sawdus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if the growing medium mixed with biomaterials does not reduce the seedling growth compared with the control, it is considered that the biomaterial can replace a part of the growing media.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some of the growing media can be replaced with carbonized rice husk or pine bark when producing Zelkova serrata seedlings.

땅찌만가닥버섯균(菌)의 접종(接種)이 참싸리 묘목(苗木)의 균근형성(菌根形成)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yophyllum shimeji Inoculation on the Mycorrhizal Form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espedeza cyrtobortya)

  • 이상용;정주해;이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46-152
    • /
    • 2005
  • 훼손된 비탈면의 조림에 균근균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의 배양학적 특성 및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L. shimeji는 MP (1% malt extract, 0.1% peptone, 1% glucose, 1.5% agar)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사 최적 배양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 및 pH 6 이었다.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L. shimeji는 Hartig net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균근 접종 실생 묘목 뿌리의 생장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균근 접종 실생 묘목을 비탈면에 이식하였을 때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62% 및 850 mg/본 이었으나,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실생 묘목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11% 및 430 mg/본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