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re

검색결과 844건 처리시간 0.036초

Predicting on Human-caused Forest Fire Occurrence in South Korea

  • Chae, Hee Mun;Lee, Chan y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160-167
    • /
    • 2006
  • Most of the forest fires that occur in South Korea are caused by human. We partitioned South Korea into nine districts and used observed weather data and daily fire occurrence records for the 1994 to 2003 period to develop a human-caused fire occurrence model of South Kore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relate the probability of a fire day to Fine Fuel Moisture Code (FFMC) component of the Canadian Forest Fire Danger Rating System. The probability of the number of fire day was increased as FFMC increased in the nine districts of South Korea.

An Impact Analysis and Prediction of Disaster on Forest Fire

  • Kim, Youn Su;Lee, Yeong Ju;Chang, In Ho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4-40
    • /
    • 2020
  • This study aims to create a model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to put out forest fir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climate, the situation, and the extent of the damage at the time of the forest fires. Past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forest fire or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 forest fire. How to deal with forest fires is also a very important part of how to deal with them, so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is important. Therefore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that have been put into the forest fire is something that can be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This study presents a model for predicting the number of extinguishment manpower inputs considering the scale of the damage with forest fire on a scale bigger than 0.1 ha as data based on the forest fire annual report(Korea Forest Service; KFS) from 2015 to 2018 using the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weather factors and extinguished time considering the damage show that affect forest fire extinguishment manpower.

기후 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Climate Change over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Forest Fire Occurrence)

  • 성미경;임규호;최은호;이윤영;원명수;구교상
    • 대기
    • /
    • 제20권1호
    • /
    • pp.27-35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climate change in Korea and its impact o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events. The forest fire occurrences in Korea tend to concentrate around large cities. In add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orest fire occurrence seems to agree with local climate conditions. Though the occurrence of the forest fire shows strong interannual variation, it also exhibits a positive trend. Because the forest fire frequently occurs during early spring, we examined long term climate variability in Korea for the early spring seasons. The climate change in Korea generally has brought warmer, drier, and less precipitable conditions during the early spring. The changes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provide favorable condition for the forest fire. The climate changes in Korea also depict distinct spatial variability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variables. We compared the regional trend of the fire occurrence with the climate trends. The results show the sharpest growing in the forest fire occurrence over southwest of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ecrease in the precipitation day might affect the sharp increasement of the forest fire occurrence in the southwest of Korea.

1970-2005년 동안의 산불 발생건수 및 연소면적에 대한 시계열모형 추정 (Estiamtion of Time Series Model on Forest Fire Occurrences and Burned Area from 1970 to 2005)

  • 이병두;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43-648
    • /
    • 2006
  • 효율적인 산불예방과 진화활동을 위해서는 산불 발생 및 확산특성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총 36년간의 월별 산불 발생건수 및 연소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특성을 분석하고, Box-Jenkins의 ARIMA 모형을 이용하여 시계열 예측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건수 및 연소면적은 월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3월과 4월 두 달 동안 전체 발생건수의 59%, 연소면적의 72%가 집중되었다. 발생건수와 연소면적 모두에 있어서 ARIMA(1, 0, 1) 모형이 적합한 모델로 선정되었으며, 산불은 1개월과 12개월 전의 발생건수, 연소면적 수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후조건 변화에 따른 산불확산 변화 비교 (Comparison a Forest Fire Spread variation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 change)

  • 이시영;박흥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90-494
    • /
    • 2008
  • We simulated a forest fire which was occurred in Yangyang area on 2005 and compared a results between two different weather conditions(real weather condition and mean weather condition since 1968) using FARSITE, which is a forest fire spread simulator for preventing and predicting fire in USDA. And, we researched a problem in the transition for introducing, so we serve the basic method for prevention and attacking fire. In the result, severe weather condition on 2005 effected a forest fire behavior. The rate of spread under real weather condition was about 4 times faster than mean weather condition. Damaged area was about 10 time than mean weather condition. Therefore, Climate change will make a more sever fire season. As we will encounter to need for accurate prediction in near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dict a forest fire linked with future wether and fuel condition.

  • PDF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GIS)

  • 이시영;안상현;원명수;이명보;임태규;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04
  • 산불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고자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지역에 대하여 임상, 지형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요인들 간 독립성 유무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불발생과 관련 있는 7개의 주제도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제도률 조건부확률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산불발생확률을 20개 등급으로 지수화하여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

  • PDF

산불예방 및 진압대책의 통합관리체계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Forest Fire Prevention and Suppression Measures)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3-169
    • /
    • 2022
  • Recently, in Korea, if a very large forest fire occurs due to the people's carelessness, it is of great interest because it spreads into a large forest fire. If a wildfire spreads and becomes large, it will inflict great damage (appointment and property), and the damage is irreversible. The best way to extinguish a wildfire is to prevent it before it occurs. If a forest fire occurs due to a failure in prevention, the early firefighting activities to prevent the progress of the forest fire by promptly dispatching it by reporting it and approaching the site as soon as possible should now be managed with a systematic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do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eventive system, such as issuing warnings for each weather conditio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consisting of cooperation (support) activities for forest fire prevention by related organizations, etc.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precious lives and forests, measures have been taken to establish a system, to establish a prompt and accurate situation reporting system, and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mmand system (ICS) for on-site commanders.

산불현장 지상진화 행동매뉴얼 구축 방안 -국유림관리소 지상진화대원 업무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Plan of Ground Fire Fighter Conduct Manual on Forest Fire Occurrence Site -Case Study on Ground Fire Fighter Team of National Forest Office-)

  • 이시영;이명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8-14
    • /
    • 2007
  • 산불현장에서 산불진화 단계에 따라 조치하여야 할 국유림관리소의 개인별 임무 역할 수행내용에 대한 행동매뉴얼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매뉴얼의 적용범위는 (1) 헬기 도착 전에 초기산불 진화에 활용, 2) 헬기 투입 후 지상진화지원 활동에 활용, (3) 헬기 철수 후 뒷불진화에 활용, (4) 헬기진화 불가능한 야간진화에 활용에 두었다. 또한, 본 매뉴얼은 주로 현장진화 지휘자 또는 담당자의 임무를 산불대응 단계에 따라 제1단계인 산불접수단계에서 10단계 철수단계에 이르기까지 총 10단계로 구별하여 정리하였으며, 진화대원들이 평상시 이를 숙지하여 진화대원의 안전은 물론이고 체계적이고 신속한 현장 대응을 통해 산불로부터 인명, 재산피해 및 산림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고자 개발하였다.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산불위험지역 예측 (Prediction of Forest Fire Hazardous Area Using Predictive Spatial Data Mining)

  • Han, Jong-Gyu;Yeon, Yeon-Kwang;Chi, Kwang-Hoon;Ryu, Keun-Ho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1119-1126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공간적 통계기법에 근거한 예측적 공간 데이터 마이닝 방법을 제안하고, 산불위험지역을 예측하는데 적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조건부 확률과 우도비를 이용한 방법으로 과거 산불발생지역에 대해 산불과 관련된 공간데이터 집합들 사이의 정량적 관계에 의존적인 예측 모델이다.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산불위험지역 예측도를 만들고, 각 모델의 예측력을 평가하기 위해 산불위험율(FHR : Forest Fire Hazard Rate)과 예측률곡선(PRC : Prediction Rate Curve)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두 가지 예측모델의 예측력 비교분석 결과, 우도비 방법이 조건부 확률 방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산불위험지역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작성된 산불위험지역 예측도는 산불예방과 산불감시장비 및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 등 산불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과 산림시설물의 산불 피해 예방에 관한 고찰 (A Study to Prevent the Forest Fire in Forest Facilities and Forests)

  • 박경진;김혜리;이봉우;박신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2_2호
    • /
    • pp.301-30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산불 발생 현황을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원인별, 연도별, 지역별, 피해 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불 발생의 주요한 원인은 사람의 실수에 의한 인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산화 횟수는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 다른 시도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 훼손의 면적은 임업 자원이 풍부한 강원도가 가장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절적으로는 따뜻한 기온과 강한 바람 낮은 습도로 인해 봄철에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산불의 재해는 자연 자원의 파괴는 물론 주택 등의 산림시설물과 문화재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 자원과 산림시설물의 산화에 의한 피해 방지를 위해 국립산림청의 산불 방지 종합 대책과 더불어 예방 정책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