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adjacent are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2초

DMZ에 인접한 광치령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Gwangchiryeong Area Adjacent to the DMZ)

  • 허태임;신현탁;김상준;이준우;정수영;안종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3
    • /
    • 2017
  • DMZ에 인접한 광치령은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을 이어주는 고개인 동시에 두 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표점이기도 하다. 해발고도 800m의 광치령은 대암산(1,304m)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짙은 활엽수림과 깊은 계곡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DMZ와 그 이남지대를 연결하는 완충지대로 기능하고 있기에 광치령의 식물자원을 조사하는 것은 DMZ의 식물상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DMZ의 인근지역인 광치령에 분포하는 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종 총 5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금강초롱꽃, 백작약, 구실바위취를 포함하여 2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참배암차즈기 등을 포함하는 특산식물은 2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 그들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 5.6%로 나타났다. 확인된 513종의 식물을 유용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식용과 약용을 포함하여 목축, 관상, 목재, 염료, 섬유,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은 각각 197종, 154종, 180종, 49종, 24종, 8종, 4종, 3종으로 분석되었다.

Plant Assemblages Along an Altitudinal Gradient in Northwest Himalaya

  • Gupta, Bhupendar;Sharma, Navneet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2호
    • /
    • pp.91-108
    • /
    • 2015
  • The study investigates herbage communitie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in northwest Himalaya and highlights the effect of trees on its understory floristic diversity and phytosociology. The study was conducted in nine forests at three elevations viz., chir pine (Pinus roxburghii), mixed and khair (Acacia catechu) forests at elevation $E_1$ (850-1150 m), chir pine, mixed and ban oak (Quercus leucotrichophora) forests at elevation $E_2$ (1151-1600 m) and ban oak, mixed and chir pine forests at elevation $E_3$ (>1600 m) in a sub-watershed located in Solan district of Himachal Pradesh, India. These were compared grasslands located adjacent to forests. In all, 20 grass, 3 sedge, 2 forb and 4 legume species were recorded in study sites. Jaccard's coefficient of herbage vegetation was highest between chir pine forests and grasslands, and lowest in khair and ban oak forests. TWINSPAN dendrogram of herbage composition exhibited three subtypes with Apluda mutica, Arundinella nepalensis and Dichanthium annulatum as indicator species. Three groups of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oisture requirement. Peak density and basal area of herbage in forests and grasslands occurred by September. Density and basal area of herbage in grasslands at different elevations ranged from 649.6 to $1347.9tillers/m^2$ and 30.0 to $65.7cm^2/m^2$, respectively, while, in forests it varied from 351.2 to $1005.3tillers/m^2$ and 14.9 to $43.9cm^2/m^2$, respectively. Density and basal area of the herbage in plant communities decreased along the elevation. Under trees in forests the density of herbage decreased up to 77% and basal area up to 62% of their respective values in grasslands.

광릉 천연활엽수 성숙림에서 주변 인공림으로부터 잣나무 치수의 침입 정착 (Invasion of Korean Pine Seedlings Originated from Neighbour Plantations into the Natural Matu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Gwangneung, Korea)

  • 강호상;임종환;천정화;이임균;김영걸;이재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107-114
    • /
    • 2007
  • 주변 인공림으로부터의 종자유입에 따른 치수발생현상은 향후 천연림의 임분동태의 향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광릉 천연활엽수 성숙림내 천연갱신된 잣나무 치수의 침입과 이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지내에는 잣나무 성목이 분포하고 있지 않으나, 천연갱신된 잣나무 치수의 밀도는 ha당 총 345본으로 전체 치수의 56%가 2개 이상씩 모여서 분포하고 있었다. 2003년 1월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조사지와 주변 잣나무 성목 및 조림지까지의 거리를 조사한 결과, 잣나무 성목과는 최소 200m, 잣나무 조림지와는 최소 270m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갱신된 잣나무 치수의 평균 묘고와 근원경은 각각 34cm, 7mm 이었으며, 수령 5년 이하의 치수가 207본(60%)이었다. 잣나무 치수와 토양 수분 및 엽면적지수(LAI)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토양수분은 16~20%, 엽면적지수는 3.1~3.5 구간에서 잣나무 치수의 분포가 가장 많았다. 광릉 천연활엽수림내 잣나무의 동태 및 종자 분산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잣나무 치수의 생장과 고사율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방사성 동위원소와 분자유전학적 방법 등을 활용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mputer Simulation을 이용(利用)한 이차활엽수림(二次闊葉樹林)의 노숙림(老熟林) 발달예측(發達豫測) (Prediction of Old-Growth Development in Second-Growth Hardwood Forests using Computer Simulation)

  • 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502-512
    • /
    • 2000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국 북부 이차 활엽수림지역의 2개 임분을 대상으로 노숙림 발달과정을 평가하였다. 한 임분(phelps)은 77년생 임목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동령임분이고, 다른 임분(Wildcat Creek)은 노숙림의 구조적 특정을 다소 갖고 있는 연령이 많은 임목들이 있는 이령임분이다. 각 임분은 노숙림 자연발달 과정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분구조, 직경분포, 고사목의 크기분포, 임분의 숨틈(Gap)크기, 3차원 임분공간도 및 수관투영도와 같은 구조적 특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Phelps 임분은 현재를 기준으로 74년 후에, Wildcat Creek 임분은 13년 후에 노숙림 초기단계에 각각 도달하였다. 45년 시뮬레이션 동안 두 임분의 흉고직경분포는 직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모두 넓고, 평평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고사목 크기분포에서는 두 임분 모두 직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고사목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elps의 숲틈 크기는 시뮬레이션 초기 연도보다 45년 후에 작게 나타난 반면, Wildcat Creek의 숲틈은 시뮬레이션 동안 일정한 패턴을 보였고, 큰 나무들의 고사로 인하여 큰 숲틈이 형성되었다.

  • PDF

대도시에 있어 냉섬의 유형별 온도완화 효과 -대구광역시의 사례 연구- (Effect of Cool Islands on the Thermal Mitigation in Urban Area -Case Study of Taegu Metropolitan City-)

  • 박인환;장갑수;김종용;박종화;서동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8
    • /
    • 2000
  • Taegu is notorious as hot and dry summer among Korea citie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the open space planning is to ameliorate urban climate of the c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of the cool islands in Taegu metropolitan city. Cool islands of this paper includes parks and rivers surrounded by or adjacent to urbanized are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ermal band of Landsat TM at May 17, 1997,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of open spaces in the cit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Kumho river showed the largest mitigation effect in terms of the width of mitigation zone and temperature difference. Evaporation from wide water surface and evapo-transpiration from riparian grass land could bring into results. Significant mitigation effect of parks covered with forest can be observed. The temperature range of such parks were between 19.05$^{\circ}C$ and 19.44$^{\circ}C$ However,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of Dalsung park and Apsan park was insignificant. The small size and high percentage of hard paving of the former and the relative low density of the residential areas adjacent to the latter could be the main reason. In conclusion, the thermal mitigation effect in urban ope spaces could be detectedby the employment of thermal band data of Landsat TM and GIS buffering technique.

  • PDF

SPOT5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 지역의 산사태 특성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of Inje Area Using SPOT5 Images and GIS Analysis)

  • 오치영;김경탁;최철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45-454
    • /
    • 200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적 기습 폭우와 집중 호우로 피해가속출하며, 인제 지역과 같은 산간 지방의 경우 폭우로 인한 산사태의 탐지와 예측에 어려움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인제 지역의 산사태 탐지와 예측을 위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2006년 7월 태풍 에위니아로 인해 산사태 발생 후 촬영된 위성영상을 이용하였고, GIS 분석을 위해 위성영상(SPOT5)을 육안 판독하여 발달부, 유하부, 퇴적부로 디지타이징 하였다. 공간적 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지도, 3 4차 임상도, 정밀토양도를 육안판독한 산사태 지역과 그리드 중첩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인제 지역의 지형적 특성은 경사도 평균 $26.34^{\circ}$에서 발생하고, 경사 방향은 남향 남동 남서향이며 고도는 평균 627m에서 발생하였다. 수문학적 분석 결과 유하지, 퇴적지로 갈수록 유하 면적이 급격히 퍼짐을 나타내었고, 임상학적 분석결과 소나무림의 발생률이 크며 경급속성에 따라 흉고직경 6~16cm의 임목 수관정유 비율이 50% 이상인 소경목 에서 산사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토망통 분석 결과 사양질 이고 배수능력이 뛰어난 OdF(오대) 37.85%, SmF(삼각) 37.35% 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인제 지역 일대의 산사태 특성을 알 수 있었고, 2.5m 급의 SPOT5 영상의 활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고해상도 영상에 비해 시가지와 인접한 유하부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도시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Detection of Multi-temporal Data - A Case Study on the Urban Frin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

  • 박인환;장갑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land use change in the fringe area of a metropolitan city through multi-temporal data analysis. Change detectio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for utilization of remotely sensed imageries. Conventionally, two images were used for change detection, and Arithmetic calculators were generally used on the process. Meanwhile,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for a large number of images has been carried out. In this paper, a digital land-use map and three Landsat TM data were utilized for the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Each urban area map was extracted as a base map on the process of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Each urban area map was converted to bit image by using boolean logic. Various urban change types could be obtained by stacking the urban area maps derived from the multi-temporal dat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rban change type map was created by using the process of piling up the bit images. Then the urban change type map was compared with each land cover map for the change detection. Dalseo-gu of Daegu city and Hwawon-eup of Dalsung-gun, the fringe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test area of this multi-temporal change detection method. The distric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Dalseo-gu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is and so a large area of paddy land has been changed into a built-up area. Hwawon-eup, near by Dalseo-gu, has been influenced by the urbanization of Dalseo-gu. From 1972 to 1999, 3,507.9ha of agricultural area has been changed into other land uses, while 72.7ha of forest area has been altered. This agricultural area was designated as a 'Semi-agricultural area'by the National landuse Management Law. And it was easy for the preserved area to be changed into a built-up area once it would be included as urban area. Finally, the method of treatment and management of the preserved area needs to be changed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paddy land by urban sprawl on the urban fringe.

보호종인 히 어 리의 자생지 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I. 순천(전남) 청소골 지역 히어리개체군의 분포특성 및 동태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fEopsis coreana U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II. Dynamic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yzopsis coreana Population at Cheongsogol, Sunchon, Cholanam-do, Korea)

  • 임동옥;정흥락;김종홍;황인천;김철환;이현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9-278
    • /
    • 2005
  • 전라남도 순천시 서 면 청소골 일대에 분포하는 히어 리개체군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히어리개체군은 계곡부와 인접한산림 가장자리를 따라 대상으로 분포하였으며,북사면,북서사면 및 북동사면에만 분포하는 특이성을 보였다. 교목층이 형성된 삼림내에서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이루고 있으며,종조성에 있어서는 히어리가 분포하지 않는 인접지 역 삼림식생과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25\;m^2$당 평균개체수와 개체당 평균 맹아지는 각각 6.25주 및 3개로서 다른 지 역 에 비해 낮은 밀도를 나타냈으며, 이 지 역의 히어 리개체군이 쇠퇴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두나무(Prunus salicina Lindl.) 접경지역 집단의 유전 다양성 및 구조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Prunus salicina Lindl. Populations in Adjacent Area)

  • 정재상;최영민;길희영;하영호;장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2
    • /
    • 2022
  • 자두나무(Prunus salicina Lindl.)는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과실로, 한국에서 재배하는 자두나무의 기본종은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기원했다. 2016년 과수용 자두나무와는 다른 자두나무가 양구에서 발견되었다.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일대의 자두나무 개체군의 유전다양성 및 집단 구조 분석을 통해 본 자두나무 개체군의 유전다양성 및 개체군 구조를 확인하고자 했다. 과수용 재배종을 포함한 시료를 채취하여 GBS 분석을 진행했고 주성분 분석과 STRUCTURE 분석을 통해 개체군간 유전적 구조를 확인했다. 재배종의 유전형이 다른 개체군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유의한 유전적 분화가 일어났다고 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고성군 고진동계곡 등 DMZ에 인접한 집단이 분계도에서 재배종 개체군과 가장 유전적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분석으로는 야생집단으로 발견도니 자두나무의 실체와 기원을 단정짓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외군 추가 및 더 많은 시료를 확보하는 등 추가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 PDF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보존·관리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Natural Monument(No.374) Pyeongdae-ri Torreya nucifera forest of Jeju)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오해성;최병기;이종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3-106
    • /
    • 2014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입지환경, 식생자원과 이용 및 관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적용되는 관리구역에 대한 등급을 설정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토지이용형태가 농업지역으로 변화하면서 대상지 주변지역으로의 개발압력에 의한 영향이 우려되며, 비자나무 숲 내 곶자왈지대는 종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요소로 원형보존의 관리계획 설정 및 지형의 변화를 야기하는 개발행위는 배제되어야 한다. 둘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소산식물상은 총 91과 263속 353종 41변종 8품종의 40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환경부 지정 법정 멸종위기식물종 중 멸종위기식물 I II급에 해당하는 식물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현재의 서식처 변화 및 종의 병해, 불법 남획 등에 따른 개체 소실에 의해 비자나무 숲 내 종의 절멸 위험도 존재하므로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리방안 설정 시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비자나무가 상관을 대표하는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노거수 위주의 영속적 관리와 보존전략은 빈약한 연령구조를 야기하였으며, 일부 구역의 인위적 관리에 의한 숲의 건조화, 자연적 천이에 의한 비자나무의 입지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수목밀도의 조절 및 후계목 증식 등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에 따른 탐방로의 훼손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화산송이길의 훼손 및 분담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송이의 단순한 보충보다는 현행 탐방로 외에 추가적인 관광루트 개발을 통한 분담율 완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섯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의 관광요소 중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식물적 요소는 이용에 관한 압력이 민감하게 작용하고, 비영속적인 특성상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추가적 관광요소 개발과 동시에 현재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요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보호강도별 중요도에 따라 I등급 지역은 존속개체군의 유지와 서식처의 훼손을 방지하고, II등급 지역은 연차별 숲의 재생을 위주로 관리방향을 설정하며, III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시범림이나 후계목 증식을 위한 지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IV등급 지역은 고유 식생의 교란이 많이 발생하는 곳으로 부분별 휴식년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V등급 지역은 비자나무 숲의 관광활용을 위한 서비스 공간 적지에 속한다. 상이한 등급의 지역 인접에 따른 가장자리효과에 대한 방안으로는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곳에 환경간섭을 피하기 위한 버퍼존의 설치와 주기적 모니터링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