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of Inje Area Using SPOT5 Images and GIS Analysis

SPOT5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 지역의 산사태 특성 분석

  • Oh, Che-Young (Departmen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Tag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Choi, Chul-Uong (Departmen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오치영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김경탁 (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Localized unprecedented torrential rain and heavy rainfall cause repeated damages and make it difficult to detect and predict the landslide caused by heavy rainfall.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of Inje area this study used satellite images photographed after the occurrence of landslide caused by the typhoon Ewiniar occurred in July, 2006, and for GIS analysis purpose, interpreted the satellite images (SPOT5) visually to digitize into developing parts, water traveling parts and sediment parts. For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landslide areas obtained from visual interpretation of digital map, 3rd & 4th forest vegetation maps and detailed soil map and grids were overlaid and analyzed. As a result, in regard to topographic features, landslide occurred at places, of which average slope is $26.34^{\circ}$, had south, south-east, south-west aspects and average altitude of 627m. From hydrological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water traveling area rapidly spread approaching water traveling area and sediment area. From forest typ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landslide occurrence was high in pine woods, and in terms of girth class attribute, landslide occurred in small-sized woods, in which the crown occupancy of trees that have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6~16cm, was greater than 50%. From the analysis of soil series, landslide areas constitute 37.85% of OdF and 37.35% of SmF, which had sandy loam soil and excellent drainage capacity. Through this study, landslides in Inje area were characterized and SPOT5 images of 2.5m resolution could be used. But there was a difficulty in determining water traveling parts adjacent to urban area.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적 기습 폭우와 집중 호우로 피해가속출하며, 인제 지역과 같은 산간 지방의 경우 폭우로 인한 산사태의 탐지와 예측에 어려움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인제 지역의 산사태 탐지와 예측을 위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2006년 7월 태풍 에위니아로 인해 산사태 발생 후 촬영된 위성영상을 이용하였고, GIS 분석을 위해 위성영상(SPOT5)을 육안 판독하여 발달부, 유하부, 퇴적부로 디지타이징 하였다. 공간적 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지도, 3 4차 임상도, 정밀토양도를 육안판독한 산사태 지역과 그리드 중첩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인제 지역의 지형적 특성은 경사도 평균 $26.34^{\circ}$에서 발생하고, 경사 방향은 남향 남동 남서향이며 고도는 평균 627m에서 발생하였다. 수문학적 분석 결과 유하지, 퇴적지로 갈수록 유하 면적이 급격히 퍼짐을 나타내었고, 임상학적 분석결과 소나무림의 발생률이 크며 경급속성에 따라 흉고직경 6~16cm의 임목 수관정유 비율이 50% 이상인 소경목 에서 산사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토망통 분석 결과 사양질 이고 배수능력이 뛰어난 OdF(오대) 37.85%, SmF(삼각) 37.35% 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인제 지역 일대의 산사태 특성을 알 수 있었고, 2.5m 급의 SPOT5 영상의 활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고해상도 영상에 비해 시가지와 인접한 유하부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송영석, 조용찬, 2005.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 지질공학적 분석, 한국지질공학회, 15(2): 105-121
  2. 박재국, 2008. 산사태 모니터링을 위한 지상라이다 자료의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6(2): 117-127
  3. 산림청 치산과, 2005.3.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관리시스템(2차 사업), pp.7.
  4. 유병욱, 송평현, 정찬규, 2006. 2006 강원 인제 , 영양, 평창지역 토석류 발생사례분석, 2006 가을 학술 대회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pp.615-625
  5. 조남춘, 최철웅, 이창우, 2006. RS와 GIS를 이용한 산사태 탐지 및 특성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06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6, Mar, pp.246-249
  6. 정재훈, 김상민, 김정환, 손홍규, 2008. In-SAR Coherence 영상을 이용한 산사태 탐측, 2008년 춘계학술대회,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 pp.301- 305
  7. 지광훈, 신진수, 박노욱, 2001. 예측비율곡선을 이용한 GIS 기반 산사태 예측 모델의 정량적 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7(3): 199-210
  8. 흙토람, 2009, http://asis.rda.go.kr
  9. Brand, E. W., 1985. Landslide in Hongkong Special Lecture. 8th Southeast Asian Geo. Conf. pp.1-15
  10. Hui-Chung Yeh and Ju-Chen Hou, 2003. Landslide Detection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Imagery, IUGG 2003
  11. Jognes, D. K., 1983. A preliminary geo-morphogical assessment of part of the Karakoram highway, The Q. J. of Engineering Geology, 16(4): 331-355 https://doi.org/10.1144/GSL.QJEG.1983.016.04.10
  12. K. H. Hsiao, 2004. Change detection of Landslide terrains using Ground-based LIDAR data, ISPRS 2004, Commission7/WG5.
  13. Thomas L. S.,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14. Strahler, A. N., 1952. Hypsometric analysis of erosional topography,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63: 1117-1142 https://doi.org/10.1130/0016-7606(1952)63[1117:HAAOET]2.0.CO;2
  15. UNESCO Workong Party on Landslide Inventory, 1990, A suggested method for reporting a land slide, Bull. of IAEA, 41: 5-12
  16. Wakens, A. T. and N. P. Koirala, 1986. Bulk appraisal of slope in Hong Kong. Landslide proc. 5th Int. Symp. on Landslide. A. A. Balkema. pp. 1181-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