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twear Industr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탈색시술 조건에 따른 모발의 물성변화 (Physical Properties of Human Hair by the Bleach)

  • 윤종현;김호정;이영주;박차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6-100
    • /
    • 2005
  • The bleaching is one of the worst factors which leads to the damage of the human hair. The cuticle of the human hair is injured by the alkali that is one of the chief ingredients of a bleaching agent. The alkali component of the bleaching solution chemically reacts with human hair, reducing the tenacity and dissolving the cuticle lay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leach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ress-strain curves for human hair indicated the three distinct regions, such as Hookean region, Yield region and post-Yield region. The tenacity of hair is reduced gradually with an increase of bleaching time. Under these same conditions, elongation of the hair increased. 2. The greatest drop in tenacity for hair occured between $40^{\circ}C$ and $60^{\circ}C$ of bleaching temperature. 3. Compared with the virgin hair, bleached hair showed a slower rate of weight reduction in the TGA thermogram. The rate decreased gradually as the bleaching time and temperature increased. 4. As the bleaching conditions reached time and temperature extremes, the human hair cuticle became more damaged. The cuticle layers seemed to have dissolved, as seen in the SEM photographs.

首都圈地域 小賣業 經營의 空間的 變容 (Spatial Changes in the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37
    • /
    • 1996
  • 대도시권내 소매업의 지역구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소매업의 규모가 가장 큰 수도권지역 소매업 경영의 지역적 변화형태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1979~1991년 사이에 연간판매액에 의한 소매업의 업종구성 변화는 <종합 소매업>과 <개인 운수장비 소매업 및 주유소 운영업>의 구성비가 매우 높아졌다. 그리고 소매업의 경영상의 변화는 개인 경영조직이 탁월해지고, 종사자의 常傭化가 많이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에 의한 수도권지역 소매업의 주된 경영성분은 1. 소매업의 대규모화와, 2. <섬유, 의복, 신발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 <가구, 철물 및 가정용품 소매업(가전제품 포함)>, <장신구 및 시계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와 상용 조사자의 고용화이다. 소매업 경영의 유형변화를 보면, 1979년에는 섬유, 의복, 신박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 가구, 철물 및 가정용품 소매업(가전제품 포함), 장신구 및 시계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와 상용 종사자의 고용화, 달리 분류되지 않은 일반 소매업의 대규모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가 다소 이루어졌으나, 1991년에는 소매업의 대규모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경영변화를 나타내는 지구는 서울시와 그 위성도시 및 경기도의 남동부지역이다. 또 1979년에 섬유, 의복, 신발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 장신구 및 시계 소매업, 달리 분류되지 않은 일반 소매업의 대규모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가 다소 이루어진 것에서, 1991년에는 개인 운수장비 소매업 및 주유소 운영업의 상용 종사자의 고용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지구는 경기도의 동부와 북부지역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수도권지역 소매업 경영의 변화형태는 1979년에 일부 소매업이 법인 조직화와 상용 종사자의 고용화가, 1991년에는 소매업의 대규모화와 개인 운수장비 소매업과 주유소 운영업의 종사자 고용화가 나타난 점이다.

  • PDF

플러스 사이즈 여성용 신발 라스트 개발을 위한 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ot Characteristic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ast Footwear for Plus Size Women)

  • 김남순;도월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8-3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hoe last suitable for women of plus size (BMI 25 kg/㎡ or higher) by typ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foot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comparison of the feet of a plus-size woman and a normal-weight woman showed that the feet of a plussize woman were thicker and wider in the toes, cheeks and feet than those of a normal-weight woman, while the ankle area was thicker.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by type of foot type of plus-size woman, type 1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 was 49 (19.5%), type 2 was 43 (17.1%), type 3 was 53 (21.1%), and type 4 was distributed among 106 (42.2%). Type 1 appeared to be a long, low heel, thick foot and wide H-type, and Type 2 appeared to be a D-type with a low heel and a thinner and narrow foot compared to other types, but with wide outer width of the foot. Type 3 showed short feet, low heels, narrow feet, but slanted sides, and Type 4 showed type A with long feet, high heels, thick and wide feet or a combination of toes.

전족부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중창에 관한 연구 - 굽높은 펌프스형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Functional Midsole that can Minimize Forefoot Pressure - Focusing on High-Heeled Pumps Type -)

  • 김동엽;최순복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8-2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functional midsole that can restrain the heightening of plantar pressure in forefoot pressure so as to develop high-heeled shoes that can lessen foot ailments among women. The pumps shoes used for the research were of the same pumps type last. The variant was heel height, 3cm, 6cm, and 9cm, and the shoes were made in both normal midsole and functional midsole. The variant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ot pressure on forefoot and hindfoot according to heel height.'Heel Cup' was chosen for modification of functional midsolepumps type. to enlarge contact area in hindfoot, and 'Heel Posting Pad' was attached under sustentaculum tali to suppress the weight moving to forefoot pressure. If such functional parts are developed and used, it is possible to lessen the amount of Pmax or Impulse imposed by high-heeled pumps type on forefoot pressure. This can greatly lessen foot ailments, largely caused by high-heeled shoes, among women.

한국인 발 형상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Korean Foot Shapes)

  • 성덕현;정의승;조용주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7-118
    • /
    • 2006
  • Recently, Korean's 3-D foot data have been extensively collected through 5th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known as 'Size Korea'. In this study, Korean foot shape was investigated and subsequently classified, based on the existing standard for foot shaping. This study analyzed and categorized Korean foot shapes through the following methods. Although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those of Korean adults, major factors affecting the foot shape were deduced and then categorically grouped by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For those whose age ranged from 14 to 70, major factors affecting the foot shape for the male were related to foot breadth, ankle thickness, 1st toe shape, malleolus height, heel to top of the foot length, the ratio between toe-side and heel-side and 5th toe shape. For the female, the ball of foot height was added to the above factors. From the factors extracted, the Korean foot shap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for the male and four groups for the female. They were the ladder type, the inverted triangle type and the square type. For the female, the triangular type was added to the three types.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useful information for the footwear production industry in Korea.

11∼15세기 중반 기사문화가 중세복식에 미친영향 (An Effect on the Costumes in the Middle Ages of the Culture of Knight from the 11th Century to Middle of the 15th Century)

  • 조현진;김영삼;정흥숙
    • 복식
    • /
    • 제54권4호
    • /
    • pp.27-40
    • /
    • 2004
  • In this thesi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military culture in the Middle Ages and costumes by researching the effect on the clothing in the Middle Ages of the culture of knight from the 11th century to middle of the 15th century was tried to be recognized. The culture of knight was widely divided into 4 articles - Chivalry, Tournamemt, The equipment of knight, Heraldry - and then researched. The conclusion after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of knight upon the clothing in the Middle Age in the above is as follows. Regarding the clothing, the military culture such as the crusader war, armor, and heraldry was popularized over the entire Middle Ages as the military-look style, and regarding the ornament the result of the crusader war caused the introduction of the Eastern civ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erce and industry, and also trade, and consequently the ornament became luxurious. Regarding the footwear, when seeing the Gothic shoes, it can be found that it is similar with the knight's shoes made of the metal. As seen in the abov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ulture of knight caused the huge influence upon the whole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in the Middle Ages as well as upon the costumes.

버핑 로봇의 오프라인 경로 프로그래밍용 5축 마이크로스크라이브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of 5-Axis Microscribe System for Off-Line Buffing Robot Path Programming and Its Application)

  • 노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
    • /
    • 2008
  • 신발 버핑공정에서 로봇 메카니즘과 같은 5축 마이크로스크라이브에 의하여 신발창 형상을 따라서 버핑 로봇 경로를 오프라인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개발한 마이크로스크라이브 시스템은 턴테이블이 부착된 5축 로봇링크, 신호처리장치, PC 및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많은 조인트를 가진 마이크로스크 라이브를 신발창 표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로봇 경로가 만들어진다. 개발시스템은 마이크로스크라이브 암의 회전에 해당되는 엔코더 펄스 값을 환산하며, 이 각도 값을 신호처리장치를 통하여 PC로 전송한다. Denavit-Hartenberg's(D-H) 직접 키네메틱스가 마이크로스크라이브 조인트 각도 값으로서 글로벌 좌표값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마이크로스크라이브의 키네메틱스 문제는 D-H 표현에 의하여 효과적이고 시스템적으로 해결된다. 개발시스템은 D-H식에 의하여 계산된 좌표 값으로서 신발 갑피 위에 버핑 게이지 라인을 그릴 수 있으며, 또한 신발 갑피 위에 각 점들과 그 점에 수직인 벡터와 결합된 2개의 외곽 라인으로서 로봇 경로를 얻는다. 개발시스템을 FMS의 버핑 로봇에 적용함으로써 실제적인 버핑 로봇의 경로를 프로그래밍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피혁산업 부산물에 의한 용존 중금속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Leather Industry by-products)

  • 김근한;이남희;백인규;박재형;양재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7-4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가죽 생산 공정 중 원피 무게의 50% 이상 고형 폐기물로 발생하는 콜라겐 단백질의 섬유 기재에 미모사(Catechol Tannin) 및 채스트넛(Pyrogallol Tannin)과 같은 식물성 탄닌물질을 다양한 조건에서 고정화시킨 10 가지 다른 종류의 바이오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각 바이오 흡착제들의 중금속 제거용 흡착제로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Cu(II), Cd(II), Zn(II), Pb(II), Cr(III) 이온을 함유한 인공 오염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반응 조건에서의 회분식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중금속들의 제거 특성을 규명하였다. 미모사를 탄닌물질로 사용하여 콜라겐에 고정화 반응을 시켰을 때 섬유 번들 내부로의 미모사의 침투력은 나프탈렌계 침투제의 주입량에 비례 하였다; 3% ${\geq}$ 1.5% > 0%. 모든 바이오 흡착제들에서 pH 3.0 이하에서는 중금속 이온들의 제거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pH 3.0 이상에서 중금속의 제거율이 급격히 발생하였으며 Zn(II)을 제외한 나머지 중금속이온들은 pH 6.0 이상에서는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다. Cr(III)의 경우에는 바이오 흡착제 종류별 제거량이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Cu(II), Zn(II), Pb(II)의 제거에서는 축합형 탄닌(미모사)에 비해 이온결합이 가능한 다량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가수분해형 탄닌(채스트넛)을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바이오 흡착제에서 높은 제거능을 보였다. S10 바이오 흡착제에 대한 Pb(II) 및 Cu(II) 중금속 이온들의 흡착은 이온농도가 1,000배 변화거나 경쟁이온 화학종을 일하전 및 이하전 화학종을 사용하였을 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소매업 경영에서 본 수도권 지역과 대구권 지역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in the Seoul and Taegu Metropolitan Areas)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42
    • /
    • 1998
  • 우리나라에서 인구규모 이상으로 소매 구매력이 가장 큰 수도권 지역과 3대 도시권으로 구매력이 인구규모보다 작은 대구권 지역의 소매업 경영을 공간적으로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첫째, 수도권 지역은 소매업의 경영규모가 크고 쇼핑재화 소매업의 구성비가 높은데 비하여, 대구권 지역은 편의재화 소매업의 구성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둘째, 대구권 지역은 수도권 지역보다 소매업 중심지구가 미발달되었고, 법인업체의 비율은 높으나 상용 종사자의 비율과 사업체당 연간 판매액의 비율이 낮아 소매업 경영상의 지역적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수도권 지역의 중심지구는 대구권 지역의 중심지구에 비하여 편의제화와 일부 쇼핑재화를 취급하는 소매업 법인조직이 발달하였으나, 대구권 지역의 경우는 $\ulcorner$섬유, 의복, 신발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lrcorner$의 법인조직과 $\ulcorner$가정용 연료 소매업$\lrcorner$의 상용 종사자 고용이 발달하였다. 그리고 수도권 지역은 $\ulcorner$가정용 연료 소매업$\lrcorner$의 상용 종사자 고용이, 대구권 지역은 $\ulcorner$개인 운수장비 소매업 및 주유소 운영업$\lrcorner$, $\ulcorner$약, 화장품 및 화공약품 소매업$\lrcorner$의 상용 종사자 고용과 $\ulcorner$음식료품 및 담배소매업$\lrcorner$의 개인경영의 발달 유무가 소매업 경영의 지역구조를 결정짓는다.

  • PD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its Application for Fashion Design

  • Kim, Hye-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9권2호
    • /
    • pp.35-48
    • /
    • 2009
  • Therapeutic garments are an undeveloped area and yet they have the potential to generate considerable profit for the fashion industr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e are spots and pathways on the body through which energy flows and practitioners consider that disease results when this energy flow is hindered. Clothes which stimulate the spots can therefore potentially help to cure disease. In addition, clothes are worn every day and can therefore offer prolonged treatment certainly in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s. Obesity is a big problem nowadays and one which is caused by poor energy circulation (according to TCM). A garment which stimulates the spots can assist energy flow and therefore cause the wearer to lose weight. In the process, it can also alleviate side effects of obesity such as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The was to stimulate spots include acupuncture, acupressure, moxibustion etc. There are lots of products to press spots which improve energy flow both in the Western and Chinese markets. The basic principle of circulation is in fact the same in both Western and Chinese medicine. However, most of these are products are footwear ones because they can easily provide the necessary stimulation to reduce tiredness and improve circulation. For garments, to press the spots effectively it is best to use tight clothes such as corsets and leggings. The important point is to tighten the body and to make energy flow and yet feel comfortable at the same time. Choice of fabric is therefore an important issue. Although the idea has been introduce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technique which will allow the necessary amount of pressure to be applie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is area has a lot of possibility for the future but further research will need to be done before the idea becomes work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