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Effect on the Costumes in the Middle Ages of the Culture of Knight from the 11th Century to Middle of the 15th Century  

조현진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김영삼 (중앙대학교 의류학)
정흥숙 (중앙대학교 의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4, no.4, 2004 , pp. 27-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thesi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military culture in the Middle Ages and costumes by researching the effect on the clothing in the Middle Ages of the culture of knight from the 11th century to middle of the 15th century was tried to be recognized. The culture of knight was widely divided into 4 articles - Chivalry, Tournamemt, The equipment of knight, Heraldry - and then researched. The conclusion after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of knight upon the clothing in the Middle Age in the above is as follows. Regarding the clothing, the military culture such as the crusader war, armor, and heraldry was popularized over the entire Middle Ages as the military-look style, and regarding the ornament the result of the crusader war caused the introduction of the Eastern civ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mmerce and industry, and also trade, and consequently the ornament became luxurious. Regarding the footwear, when seeing the Gothic shoes, it can be found that it is similar with the knight's shoes made of the metal. As seen in the abov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culture of knight caused the huge influence upon the whole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in the Middle Ages as well as upon the costumes.
Keywords
knight; armor; herald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Knight and Armour, 중앙방송 CH25, 2002년 10월 25일 방영
2 최용감 (2002). 중세사 안에서의 십자군 운동의 위치 - ‘기억과 화해, 교회의 과거의 잘못’ 문서를 통한 반성과 더불어. 광주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최재현 (1993). 유럽의 봉건제도. 서울: 역사 비평사, p. 121777
4 Brian, T., Sidney. P.. 이연규 譯 (1993). 서양 중세사. 서울: 집문당, p. 153
5 막스 폰 뵌. 이재원 譯 (2000). 패션의 역사 (중세부터 17세기 바로크시대까지). 서울: 한길아트. pp. 46-47
6 Stephen, N. F. (1998), Arms and armor.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54
7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편 (1993). Britannica world encyclopadia 1. 서울: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p. 212
8 Rogers. H. C. B. (1955), The pageant of heraldry. London: Seeley Service & Co. Ltd. p. 24
9 Thomas, W.. & John, M. R. (2001). The oxford guide to heraldr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 116
10 Joan, N. (1984). Fashion in costume 1200-1980. New York: Schocken Books. p. 14
11 Millia, D. (1976). The book of costume. New York: Crown Publishers Inc. p. 160
12 Russel, D. A. (1983). Costume history and style. New Jersey: Prentice-Hall. p. 145
13 Russell, D. A. (1983). Costume history and style. New Jersey: Prentice-Hall. p. 135
14 Francois. B. (1997). History of costume.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p. 195
15 현숙 (1985). 십자군 전쟁이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 11세기-15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16 Francois, B. (1997). 20,000years of fashion. New York: H. A. Abrams. p. 204
17 버나드 로 몽고메리, 승영조 譯 (1996). 전쟁의 역사 1. 서울: 책세상, p. 278
18 마르크 블로크, 한정숙 譯 (1986). 봉건사회 II. 서울: 한길사, p. 29
19 John, K., 유병진 譯 (1996) 세계전쟁사. 서울: 까치글방, p. 306
20 Frederic, D., 윤승준 譯 (1995) 새 유럽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까치, p. 166
21 Stephen, N. F. (1998). Arms and armor.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P. 44-46
22 Knight and Armour. 중앙방송. Ch25
23 스다 브로 (2000). 중세 기사 이야기. 서울: 나이츠 나이츠, pp. 138-139
24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편 (1993). Britannica world encyclopadia 1. 서울: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p. 212
25 최영옥 (1994). 중세 서양문장과 문장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2
26 Joan, N. (1984). Fashion in costume 1200-1980. New York: Schocken Books. p. 14
27 차하순 (2000). 서앙사총론 I. 서울: 탐구당, p. 328
28 Knight and Armour. 중앙방송 CH25. 20002년 10월 25일 방영
29 Millia, D. (1976). The book of costume. New York: Crown Publishers Inc. p. 152
30 정홍숙 (2000), 서양 복식 문화사. 서울: 교문사, p. 156
31 Francis, K. M., & Randolph, S. (2002). A short history of costume & armour.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p. 21
32 森護 (1998), 紋章學辭典. 東京: 大修館書店, p. 5
33 森護 (1998), 紋章學辭典. 東京: 大修館書店, p. 12
34 Wilcox, R. T. (1958). The mode in costume.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 50
35 Lester & Keer (1967). Historic costume, Illinois: Chas. A. Bennett. Co. Inc., p. 84
36 신상옥 (1980). 중세 서양의 문장과 문장복에 관한 소고. 중앙대학교 사범대 학보 16집
37 정현숙 (1985). 십자군 전쟁이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 11세기-15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스다 부로, 이완진 譯 (2000). 중세 기사 이야기. 서울: 나이츠 나이츠, p. 123
39 Eduard. W., Zoroslava, D., & Jan. D. (2000). Medieval costume. armour and weapons.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 p. 27
40 森護 (1998), 紋章學辭典. 東京: 大修館書店, p.877
41 안상길 (1988). 십자군 원정의 의의와 그 배경. 광주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Stephen, N. F. (1998). Arms and armor.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54
43 정홍숙 (2000). 서양 복식 문화사. 서울: 교문사, p. 147
44 Blanch. P. (1965), History of costume.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p. 190
45 Kohler, C. (1963). A history of costum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p. 167
46 Blanche. P. (1965), History of costume.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p. 187
47 Rodgers, H. C. B. (1955). The pageant of heraldry. London: Seeley Service & Co. Ltd. p. 18
48 최재현 (1993). 유럽의 봉건제도. 서울: 역사 비평사, p. 47
49 Stephen, N. F. (1998). Arms and armor.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39
50 Blanche. P. (1965), History of costume.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p. 158
51 Blanche, P. (1965). History of costume.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p. 210
52 Stephen, N. F. (1998). Arms and armor.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 51
53 김진웅 (1994). 서양사의 이해. 서울: 학지사, pp. 155-157
54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편 (1993), Britannica world encyclopadia 1. 서울: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p. 212
55 정홍숙 (2000). 서양 복식 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148-149
56 정홍숙 (2000). 서양 복식 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156-157
57 Pistolese, R., & Horsting, R. (1970). History of fashion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 165
58 정현숙 (1985) 십자군 전쟁이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 11세기-15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59 버나드 로 몽고메리 (1996), 전쟁의 역사 1. 서울: 책세상, p. 275
60 찰스 바우텔, 박광순 譯(2002). 무기의 역사. 서울: 가람기획, p. 146
61 John. G. (1998), Medieval jousts and tournament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p. 5
62 Knight and Armour 중앙방송 CH25
63 Blanche. P. (1965), History of costume.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p. 160
64 최영옥 (1994). 중세 서양문장과 문장복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김희용 (1992). 중세 기사 교육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