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Service

검색결과 4,443건 처리시간 0.039초

쌀 천연 발효액종을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ice Starters)

  • 최상호;이승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0-119
    • /
    • 2014
  • 급수량을 달리하여 배양한 쌀 천연발효액의 pH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쌀 발효액의 당도는 배양 3일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에탄올 함량은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젖산균수가 가장 높았던 물 180% 첨가구가 가장 낮은 효모수를 보인 반면 젖산균수가 가장 낮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은 효모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쌀 천연발효액의 발효율은 효모수가 가장 많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쌀종을 yeast 대체 0, 10, 30, 50, 70% 첨가하여 제조한 우리밀 식빵 반죽의 pH는 쌀종 10% 첨가구만 대조구보다 낮았고 나머지 쌀종 첨가구들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Farinograph 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종을 첨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반죽 생성시간과 반죽 안정도는 감소하였으며 탄력도 및 반죽의 약화도는 높게 나타났다. RVA의 호화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구보다 쌀종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전분입자의 파괴정도 및 노화정도는 감소하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CrumbScan 분석에서 쌀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조밀도, 기공의 찌그러짐, 껍질의 두께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종 첨가 식빵의 무게는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부피는 쌀종 첨가 50% 이상에서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25^{\circ}C$, 5일) 중 품질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으며 쌀종 50%와 7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거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빵 외부 표면의 곰팡이 형성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쌀종 첨가량이 많을수록 곰팡이 발생이 지연되어 저장성 개선효과가 있었다. 색도측정에서 저장초기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적색도 a값은 쌀종 첨가구보다 대조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쌀종 첨가 식빵의 경도는 쌀종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더 높았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구가 더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쌀종 50% 첨가구가 높게 평가되었다.

축산물 브랜드에 대한 고객기반브랜드자산이 브랜드 신뢰, 고객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횡성한우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ustomer-Based Brand Equity(CBBE) for Stock Farm Products Brand on Brand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 Focus on Hoengsung Hanwoo Brand -)

  • 권영국;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4-2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횡성한우를 중심으로 축산물 브랜드의 고객기반브랜드자산이 브랜드 신뢰와 고객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0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635.175$(p<0.001), df=233, CMIN/DF=2.726, GFI=0.863, NFI=0.859, CFI=0.903, TLI=0.885, RMSEA=0.068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고객기반브랜드자산의 하위 차원인 지각된 품질(${\beta}=.562$), 브랜드 이미지(${\beta}=.377$)는 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브랜드 신뢰는 고객만족도(${\beta}=.525$)와 재구매의도(${\beta}=.669$)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결과를 통해 확고한 브랜드관리는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객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역브랜드 한우를 지속적으로 구매하기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관리의 전략 수립과 함께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창업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1998년~2013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Meta-analysis about the study related with foundation: As the center from 1998 to 2013 treatises)

  • 류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51-67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연구의 역사와 흐름의 파악을 통해 창업연구의 의미를 정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 기간은 IMF 이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벤처창업 붐이 일었던 1998년부터 가장 최근 논문인 2013년 9월까지이며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총 38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종합적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창업연구분야, 창업지원분야, 창업단계분야, 창업기업형태분야, 창업가의 인구통계적 특성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창업연구는 경영경제학 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또한 산업 전반에 걸쳐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IT산업분야, 외식산업분야, 콘텐츠산업분야 등은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창업지원 분야 중 주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창업자, 창업교육, 외부환경 등이다. 셋째, 창업연구의 문제점으로 창업을 전략적, 세부적으로 파악하기보다 포괄적 관점에서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주요 창업연구 대상으로 기업형태로는 창업연구 발원기에 벤처기업 중심 연구가 주요 대상이었다가 최근에는 소상공인 창업 중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창업자 특성 측면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 창업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시니어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창업연구 활성화를 위해 창업연구는 보편적 창업연구의 활성화, 산업적 특수성이 반영된 창업연구, 융합연구의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한국중재의 영역확대 방안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Arbitration's Area of Coverage in Korea)

  • 김석철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0권3호
    • /
    • pp.47-69
    • /
    • 2010
  • From the review of Korean arbitration systems with the comparison of those of other countries, we can summarize some issues to be tackled as follows: First, Korean arbitration system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xport promotion. This may be the main reason that various domestic disputes have not been resolved by arbitration. Second, the Korean Arbitration Law applies to private disputes. The Law's arbitration scope is wider than that of China and France, but narrower than that of the U.S.A. that encompasses a variety of disputes in the filed of consumer, labor, medical services, patents, etc. Third, active judges or public officials in Korea can not be arbitrator and there is no arbitration court. However, if chief judge allows the necessity, court's judges in the UK can be arbitrator with the mutual agreement of the parties and also arbitration system is operated in the court. Fourth,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KCAB), the only representative institution for arbitration in Korea, is under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MKE).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KCAB to handle other disputes related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etc. Fifth, as mentioned, the KCAB is the unique institution for arbitration by the Law in Korea, while other countries allow have a diversity of arbitration agencies such as maritime arbitration organization, consumer arbitration institution, arbitration court, etc. Therefore, we suggest some ideas to expand the arbitration's area of coverage in Korea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more active policies that promote various domestic disputes to be settled by the arbitration system. Second, it is quite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arbitration to cover many disputes in the fields of consumer, labor, medical service, advertising, fair trade, etc. Third, there should be discussions to allow court judges as arbitrator and to introduce the arbitration court. Fourth, the KCAB should strengthen its status and roles as general arbitration organization to overcome the limited scope of commercial disputes. For this, there should be the strong support and coordination among the MKE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Fifth, to reduce the burden of the court's complicated and expensive procedures, more efficient disputes resolution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parties' free will. Each central government agency should streamline the legal barriers to allow industrial organizations under its control to establish their own or joint arbitration system with the KCAB.

  • PDF

GAP 인증인삼 현황과 4P 전략 (Situations of GAP certified ginseng and 4P's strategies)

  • 김관후;홍승지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369-381
    • /
    • 2011
  • Ginseng in Korea has not only the big production value but also till a good reputation from overseas in the name of 'Korea Ginseng'. Having spread rapidly nationwide from 2000 year, its production keeps on increasing but its consumption becomes lazy and its price is also falling down because of comsumer's concern about mainly overusing pesticide for ginseng.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GAP certification system to ginseng in 2006 to reflect consumer's needs for food safety. This system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promote ginseng consumption dramatically. In this aspect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well this system is established and how ginseng farmers build marketing strategies to draw new wind in the marke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over the GAP certified ginseng system and show its marketing strategies using 4P's(product, place, promotion and pri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GAP ginseng system currently has some weaknesses such as lack of systematic certification management and after-service, nonrealistic certification fee and poor linkage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In the marketing mix strategies, product strategy suggests that the most desirable appearance be transplanted ginseng filled with branch roots and 4 to 5 year-ginseng, and it is necessary to choose multi-brand strategy divided for present into for self-sufficiency and family brand strategy by use if its brand enlarges to processed products in the future. In the place strategy, 3 stages like 'producer group' - 'GAP certified facility' - 'sales shop' are based as the physical marketing channel according to traceability, and connected with giant retail market and environment friendly stand, and if its sales volume enlarges, it should be considered the GAP ginseng specialized marketplace which is a type of chain store. In the promotion strategy, the promotion of government level is necessary at first and producer alliances require the promotion targeting at the group of women under 40 with differentiation from price, quality, and safety. In the price strategy, the early stage-high price strategy which sets 20~25% higher for self-sufficiency and 30~35% for present is desirable.

맥문동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added with Broadleaf Liriope (Liriope platyphylla))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91-398
    • /
    • 2015
  • 본 연구는 맥문동 첨가가 김치의 맛과 발효에 미치는 융복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재료의 무게를 기준으로 맥문동 첨가량을 0, 3, 5. 7, 10%로 달리한 후 $5^{\circ}C$에서 28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산도, 총 균수, 젖산균수 조사와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pH는 대조구에서 발효 7일째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문동 처리구는 14일째까지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4일째 이후 큰 변화 없이 발효가 진행되어 최적숙기의 pH를 유지하였다. 산도는 대조구에서 발효 14일 이후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맥문동 처리구는 21일째부터 산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 총균수는 대조구에서 숙성 21일차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문동 처리구는 14일차 이후 큰 변화 없이 숙성이 진행되었고, 젖산균수는 총균수의 변화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 발효가 진행되면서 젖산균 수가 증가하였다가 21일차부터 변화가 거의 없이 28일까지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맥문동 처리구의 전체적인 기호도, 향미, 맛, 신맛, 감칠맛, 조직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신맛과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맥문동 5%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 맥문동을 5% 첨가한 처리구가 김치의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인의 농업·농촌 정책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Satisfaction Level of Agricultural and Rural Polices)

  • 김선애;문승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05-1147
    • /
    • 2013
  • 본 연구는 농업 농촌 정책에 대한 농업인의 만족도를 진단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호남 지역 750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커트 척도로 측정한 22개 정책에 대한 5점리커트척도 만족도의 평균은 2.71~3.09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순서형 로짓모형 분석결과 농업인의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농업관련 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정책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주작목이 수도, 전작, 축산, 원예인 농가는 타작목 재배 농가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가의 위치가 산간이나 준산간 지역인 경우 또한 만족도와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유농지가 많을수록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2개 농업 농촌 정책가운데 농업인이 선호하는 정책은 쌀소득보전직불제, 친환경농업, 농지은행사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움이 되었다고 인지하는 정책은 수준별 맞춤형 교육, 친환경농업, 쌀소득보전직불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이 선호하는 직접지불 정책은 농업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농업발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농가 소득을 개선 할 수 있는 정책이 농업인의 만족도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농간 소득 격차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진단되었다.

밀키트(Meal Kit)상품의 선택속성이 구매행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al Kit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on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 정현채;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81-391
    • /
    • 2020
  • 본 연구는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의 요인과 구매행동,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표본추출은 최근 외식기업에서 출시 된 밀키트 상품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2월1일부터 1달간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28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인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설 1의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과 구매행동 간의 전체설명력(R2)은 42.9%로 분석되었으며, 다양성(β=.026)과 품질(β=.927)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밀키트 상품 선택속성과 만족도 간의 전체설명력(R2)은 34.9%이며, 편의성(β=.503)과 가격(β=.121)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의 구매행동에서 만족도에 대한 전체설명력(R2)은 31.5%이며, 구매행동(β=.561)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밀키트 상품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며, 외식기업에서의 상품 개발에 대한 방향성 제시와 마케팅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Dual infections of Tomato mosaic virus (ToMV) and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or Tomato mosaic virus (ToMV) and Tomato chlorosis virus (ToCV), detected in tomato field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in 2017

  • Choi, Go-Woon;Kim, Boram;Ju, Hyekyoung;Cho, Sangwon;Seo, Eunyoung;Kim, Jungkyu;Park, Jongseok;Hammond, John;Lim, Hyoun-Sub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38-42
    • /
    • 2018
  • Demand for tomatoes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as people desire more healthy food. In Korea, tomatoes are mainly grown in the Chungnam, Chunnam and Kyungnam provinces. Recently, reports of whitefly-transmitted viral diseases have increased due to newly emerging whitefly pressure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Korea. Specifically, in 2017, the main tomato growing areas, Buyeo and Nonsan in Chungnam, showed damage typical of viral infec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viral diseases in these areas. We collected samples with virus-like symptoms and found that not only whitefly transmitted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and Tomato chlorosis virus (ToCV) were detected but also Tomato mosaic virus (ToMV, for which no specific vector is known) and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transmitted by thrips). The ToMV-infected samples were mostly co-infected with either TYLCV or ToCV. Mixed infections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TYLCV, ToCV and ToMV were detected with the mixed infection of two whitefly-transmitted viruses (TYLCV and ToCV) causing the most severe symptoms. According to the CP sequence of each virus, the 100% identities were shown to be Mexico/ABG73017.1 (TYLCV), Greece/CDG34553.1 (ToCV), China/AKN79752 (TSWV), and Australia/NP078449.1 (ToMV). Based on the sequence data, we presumed that these tomato infecting viruses were transmitted through insects and seeds introduced from neighboring countries.

IoT 기반 Apache Spark 분석기법을 이용한 과수 수확 불량 영역 모니터링 아키텍처 모델 (Using IoT and Apache Spark Analysis Technique to Monitoring Architecture Model for Fruit Harvest Region)

  • 오정원;김행곤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58-64
    • /
    • 2017
  • 현대 사회는 급속한 세계인구의 증가, 농촌 인구의 고령화, 산업화로 인한 농작물 재배 지역의 감소, 농촌 지역의 수익 구조의 불량 등으로 농부들의 탈농촌화 등으로 먹거리 문제 해결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농촌의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팜(Smart Farm)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팜 연구는 주로 온실의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온실의 조도, 습도, 토양 등이 불량해지면 재배 환경인자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자동으로 가동시켜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어 연구되고 있다. 즉, 실내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에 중점을 두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외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재배환경에 적용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과수원에서 자라는 과수의 수확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최상의 품질로 과일이 수확되게 지원하고 수확이 불량한 지역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불량 지역의 수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집중 관리할 수 있은 기능을 제공하는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수확에 관련된 인자는 과일 색상 정보와 과일 무게 정보를 사용하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확 상관인자 데이터를 Apache Spark 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제안한다. Apache Spark 엔진은 대용량 배치성 데이터 분석 뿐만 아니라 실시간 데이터 분석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PC User 와 Smart Phone User를 지원한다. 센싱 데이터 수신 장치는 센싱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서버로 전송하는 단순한 처리만 필요하므로 Arduino를 적용하였다. 과일의 수확시기를 조절하여 좋은 품질의 과일을 생산하려면 수확이 불량한 지역을 판단하여 불량지역을 집중 관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해서 과일 수확의 불량지역을 판단하는 아키텍처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