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ing IoT and Apache Spark Analysis Technique to Monitoring Architecture Model for Fruit Harvest Region

IoT 기반 Apache Spark 분석기법을 이용한 과수 수확 불량 영역 모니터링 아키텍처 모델

  • 오정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행곤 (대구가톨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7.11.16
  • Accepted : 2017.12.28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rapid increase in world population, aging of the rural population, decrease of cultivation area due to industrialization. The food problem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with the farmers and becomes rural. Recently, the researches about the field of the smart farm are actively carried out to increase the profit of the rural area. The existing smart farm researches mainly monitor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crops in the greenhouse, another way like in the case of poor quality t is being studied that the system to control cultivation environmental factors is automatically activated to keep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crops in optimum conditions. The researches focus on the crops cultivated indoors, a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applied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crops grown outsi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harvestability of poor areas by monitoring the areas with bad harvests by using big data analysis, by precisely predicting the harvest timing of fruit trees growing in orchards. Factors besides for harvesting include fruit color information and fruit weight information We suggest that a harvest correlation facto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It is analyzed using the Apache Spark engine. The Apache Spark engine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real-time data analysis as well as high capacity batch data analysis. User device receiving service supports PC user and smartphone users. A sensing data receiving device purpose Arduino, because it requires only simple processing to receive a sensed data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It regulates a harvest time of fruit which produces a good quality fruit, it is needful to determine a poor harvest area or concentrate a bad area. In this paper, we also present an architectural model to determine the bad areas of fruit harvest using strong data analysis.

현대 사회는 급속한 세계인구의 증가, 농촌 인구의 고령화, 산업화로 인한 농작물 재배 지역의 감소, 농촌 지역의 수익 구조의 불량 등으로 농부들의 탈농촌화 등으로 먹거리 문제 해결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농촌의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스마트 팜(Smart Farm)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 팜 연구는 주로 온실의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온실의 조도, 습도, 토양 등이 불량해지면 재배 환경인자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자동으로 가동시켜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어 연구되고 있다. 즉, 실내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에 중점을 두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외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재배환경에 적용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과수원에서 자라는 과수의 수확 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최상의 품질로 과일이 수확되게 지원하고 수확이 불량한 지역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하여 불량 지역의 수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집중 관리할 수 있은 기능을 제공하는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수확에 관련된 인자는 과일 색상 정보와 과일 무게 정보를 사용하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확 상관인자 데이터를 Apache Spark 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제안한다. Apache Spark 엔진은 대용량 배치성 데이터 분석 뿐만 아니라 실시간 데이터 분석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PC User 와 Smart Phone User를 지원한다. 센싱 데이터 수신 장치는 센싱되는 데이터를 수신한 후 서버로 전송하는 단순한 처리만 필요하므로 Arduino를 적용하였다. 과일의 수확시기를 조절하여 좋은 품질의 과일을 생산하려면 수확이 불량한 지역을 판단하여 불량지역을 집중 관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해서 과일 수확의 불량지역을 판단하는 아키텍처 모델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worldometers.info/
  2. 차병래, 최명수, 김봉국, 전오성, 한태호, 김종원, 박선, "차세대 IoF-Cloud 기반 스마트 온실 및 서비스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3호, pp. 17-18, 2016년 9월
  3. http://www.smartfarmkorea.net/contents/view.do?menuId=M01010102
  4. https://futuremedia2g.wordpress.com/2012/05/04/iot-wot-and-woo-%EA%B0%81%EA%B0%81%EC%9D%98-%EC%B0%A8%EC%9D%B4/
  5. http://db.gba.go.kr/sub02/sub01_view.php?info_no=640
  6. 이종필 "사과의 수확 후 관리," 경상북도농업정보 DB, p. 6, 2017
  7. http://bbangpan.tistory.com/85
  8. http://bbangpan.tistory.com/50
  9. 문병우, "ICT를 활용한 과수 재배 환경 관리 연구 동향과 발전 방안," 원예과학기술지, 제34권 별호, pp. 8-10, 2016년 5월
  10. 강성수, 김세한, 이준욱, 강현중, "USN 기반 농업 IT 융합기술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 동향분석, 제26권 제6호, pp. 5-6, 2011년 12월
  11. USN Fusion Forum, www.usnforum.or.kr
  12. Smart Palm Korea, www.smartfarmkorea.net
  13. 김철영, "스마트 팜(Smart Farm)산업," 현대able Daily Market Issue, 2016. 8
  14. https://www.kamis.or.kr/customer/price/wholesale/item.do?action=priceinfo®day=2017-01-02&itemcategorycode=400&itemcode=411&kindcode=&productrankcode=&convert_kg_yn=N
  15. 백성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스파크2 프로그래밍," 위키북스, pp. 23-24, 2017
  16. 백성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스파크2 프로그래밍," 위키북스, pp. 175-18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