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trap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4초

비만아동의 지질과산화물 형성과 항산화 체계에 관한 연구 (LDL Oxidation, Total Radical 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and Plasma Antioxidant Vitamin Systems in Obese School Children)

  • 신민정;전경임;서보영;박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7호
    • /
    • pp.553-56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pid peroxidation, plasma antioxidant status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hood obesity. To this end, we measured blood lipid profiles, glucose, insulin concentrations, plasma antioxidant vitamins, baseline conjugated diene formation as a measure of LDL oxidation in vivo and TRAP (total radical 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of 93 school children (58 nonobese, 35 overweight-obese). Insulin resistance was estimat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The overweight-obese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leptin (p < 0.0001) and triglyceride (p < 0.05)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plasma Iycopene (p < 0.001) and $\gamma$-tocopherol (p < 0.05) compared with the normal weight children. Furthermore, the levels of TRA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verweight-obese children (p < 0.05).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lasma leptin and conjugated dienes formation (p < 0.005) and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ptin and lipid corrected levels of $\beta$-carotene (p < 0.05), Iycopene (p < 0.05) were observed. Our results showed an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and decreased antioxidant capacity in childhood obesity which could be involved in the atherosclerotic process.

적송잎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파골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Proliferation of Osteoclastic RAW 264.7 Cells)

  • 전민희;박미라;박용수;황현정;김성구;이상현;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25-530
    • /
    • 2011
  • 아시아 지역 널리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는 항암,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 등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에 따른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송잎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과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TRAP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송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140.5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은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열수헥산 추출물, 헥산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을 검색한 결과, 열수, 에탄올 및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proanthocyanidin의 47.31%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MTT assay에 의한 파골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 경우 $1{\mu}g$/mL의 농도에서 54.04%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적송잎 헥산 추출물 또한 70%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각 추출물 간의 생존 비율에 차이는 있으나 모든 적송잎 추출물에 있어 파골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적송잎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RAP staining 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TRAP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 각각 67.8 및 66.3%로 파골세포 분화를 감소시켰으나, 헥산 추출물은 약 80%의 분화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100{\mu}g$/mL의 고농도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에탄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 저농도에서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여 골흡수 억제에 효과를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인 기작 연구와 in vivo 연구가 병행된다면 노화 및 골다공증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천연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레토르트 파우치 계육 모형식품의 휘발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of a Chicken Model Food System in Retortable Pouches)

  • 최준봉;정하열;공운영;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72-778
    • /
    • 1996
  • 레토르트 처리시 일어나는 휘발성분 변화를 관찰하고자 닭고기 50%, 식염 1%, 닭고기 육수 49%로 구성된 모형식품을 설정하고, 가열살균에 따른 휘발성분변화를 GC (gas chromatography)로 조사하고, GC-MS (mass spectrometry)로 각 GC peak의 휘발성분을 분석하였다 살균 전, 후의 모형식품에서 NPT (Nitrogen purge and trap)방법으로 휘발성분을 포집한 후 이를 분석한 결과 총 53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42개 peak를 동정하였다. 동정된 42개 peak는 aldehyde류 17종, hydrocarbon류 9종, alcohol류 8종, ketone류 7종 및 furan과 terpene이 각 1종씩이었다. 살균에 따른 휘발성분의 변화량을 비교하고, 동정된 휘발성분의 향기특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레토르트취에 관여하는 화합물은 2-heptanone, 2-pentyl furan 및 ketone류인 것으로 추정 되었다.

  • PDF

진공동결 건조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 (Modification of Conventional Freeze Dryer)

  • 박노현;김병삼;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0-356
    • /
    • 1988
  • 식품 산업에서 이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외국 의존도가 높은 진공동결건조기를 reverse enginerring 하여 국산화 개발한 후 그 성능을 시험하였다. 새로 개발한 진공동결건조기는 1 batch 당 8kg의 수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으며, 전도가열에 의해 열판 온도를 $80^{\circ}C$까지 올릴 수 있고 제상방법은 hot gas 방식을 취했다. 진공펌프의 배기시간은 $7{\sim}8$분, cold trap의 온도는 $-50^{\circ}C$까지 유지할 수 있었으며, 잔공동결건조기의 최적 건조능력은 과채류의 경우 batch 당 2kg 정도이며 최고 4kg 까지 건조시킬 수 있었다. 개발한 진공동결건 조기와 기존의 외국산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5,6})$하여 당근을 동결건조시킨 경우 양 장치간에 별 차이는 없었으며, 각 식품의 진공동결건조 특성은 각 식품의 초기 수분 함량 및 초기성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흡연 여부에 따른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M1 및 T1 유전자 다형성이 우리나라 젊은 성인의 임파구 DNA 손상과 항산화 영양상태 지표들 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Lymphocyte DNA Damage and Anti-Oxidative Parameters are Affected by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M1 and T1 Polymorphism and Smoking Status in Korean Young Adults)

  • 한정화;이혜진;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5호
    • /
    • pp.366-377
    • /
    • 2011
  •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s a multigene family of phase II detoxifying enzymes that metabolize a wide range of exogenous and endogenous electrophilic compounds. GSTM1 and GSTT1 gene polymorphisms may account for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n coping with oxidative stres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lymphocyte DNA and antioxidative parameters and the effect on GST genotypes. GSTM1 and GSTT1 were characterized in 301 young healthy Korean adults and compared with oxidative stress parameters such as the level of lymphocyte DNA, plasma antioxidant vitamins,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s in smokers and non smokers. GST genotype, degree of DNA damage in lymphocytes,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vitamin C, ${\alpha}$- and ${\gamma}$-tocopherol, ${\alpha}$- and ${\beta}$-carotene, and cryptoxanthin were analyzed. Lymphocyte DNA damage assessed by the comet assay was higher in smokers than that in non-smokers, but the levels of plasma vitamin C, ${\beta}$-carotene, TRAP, erythrocyte catalase, and GSH-Px were lower than those of non-smokers (p < 0.05). Lymphocyte DNA damage was higher in subjects with the GSTM1- or GSTT1-present genotype than those with the GSTM1-present or GSTT1- genotype. No difference in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plasma TRAP, or vitamin levels was observed in subjects with the GSTM1 or GSTT1 genotypes, except ${\beta}$-caroten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lymphocyte DNA damage and plasma levels of TRAP and erythrocyte activities of catalase and GSH-Px after adjusting for smoking pack-years.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lasma vitamin C and lymphocyte DNA damage only in individuals with the GSTM1-present or GSTT1- genotype. The interesting finding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ymphocyte DNA damage and plasma levels of ${\alpha}$-carotene, ${\beta}$-carotene, and cryptoxanthin. In conclusion, the GSTM1- and GSTT1-present genotypes as well as smoking aggravated antioxidant status through lymphocyte DNA damage. This finding confirms that GST polymorphisms could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antioxidant status in young smoking and non-smoking adults. Consequently, the protective effect of supplemental antioxidants on DNA damage in individuals carrying the GSTM1- or GSTT1-present genotypes might show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expected.

MC3T3-E1 조골세포주와 RAW 264.7 파골세포주에서 길경을 함유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골다공증 효과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Mixed Herbal Extract Involving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in Osteoblastic MC3T3-E1 and Osteoclastic RAW 264.7 Cells)

  • 정재인;이현숙;김형준;김용민;김수현;유동진;김은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5
    • /
    • 2018
  • 목 적: 본 연구는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root)를 함유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ExMH-PGR)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C3T3-E1 조골세포주와 RAW 264.7 파골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방 법: 배양액에 다양한 농도의 ExMH-PGR를 첨가하여 MC3T3-E1 세포와 RAW 264.7 세포의 세포증식을 비교하였다. MC3T3-E1 세포에서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콜라겐 합성, 오스테올칼신 생성, 무기질 축적을 분석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활성과 actin ring 형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ExMH-PGR는 $25{\mu}g/mL$ 농도까지 유의한 수준으로 ALP 활성, 콜라겐 합성, 그리고 오스테올칼신 형성을 증가시켰다. $50{\sim}200{\mu}g/mL$의 ExMH-PGR은 TRAP 활성과 actin ring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결 론: ExMH-PGR은 조골세포의 활성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VTS를 이용한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선호성 평가 (Preference evaluation of stink bugs to leguminous seeds by video tracking system)

  • 배순도;김현주;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483-489
    • /
    • 2012
  • Preference of stink bugs to various leguminous seeds was evaluated by using VTS (Video Tracking System) in laboratory. Major soybean stink bugs such as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one-banded stink bug, Piezodorus hybneri (Gmelin), eastern green stink bug, Nezara antennata (Scott), and sole bug, Dolycoris baccarum (L.) were significantly most attracted to Cheongjakong, a soybean variety, baited fish-net trap, followed by soybean varieties Ilpumgeomjeongkong and Taekwangkong, a peanut variety Daekwangdangkong, a kidney bean variety Gangnangkong, and a adzuki bean variety Jungwonpat, respectively in a soybean field. VTS observation in laboratory showed that R. pedestris and D. baccarum ha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visit on Cheongjakong, followed by Ilpumgeomjeongkong. However, P. hybneri, N. antennata and Halyomorpha halys (Stal) ha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visits on Cheongjakong, Seonnogkong and Jinpumkong, followed by Ilpumgeomjeongkong. The sojourned time of stink bug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nger on Cheongjakong regardless of species of the bugs. Accordingly, Cheongjakong was evaluated as the most preferred soybean seed by fish-net trap and VTS. Thus, VTS is found to be an effective means to evaluate the food preference of stink bugs.

옥수수 수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Cornsilk(Zea mays L.))

  • 이재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5-379
    • /
    • 1999
  • Volatile components of Cornsilk(Zea mays L.) were isolated by purge and trap headspace method and were analyzed by GC and GC/MSD. A total of 44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cornsilk volatile coponents including 9 alcohols 7 aldehydes and ketones 14 terpenes and terpene alcohols 3 pyrazines 5 hydrocarbons and 6 miscellaneou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2-propanol(8.08%) pen-tanol(1.82%) hexanol(2.86%) hexanal(3.68%) heptanal(7.40%) nonanal(7.93%) decanal (2.04%) $\alpha$-copaene(2.20%) limonene(1.68%) $\alpha$-selinene(1.03%) $\beta$-selinene(1.03%)

  • PDF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함유 음료의 in vitro 항산화 관련 생리활성효능 및 안전성 검증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 박재희;김소윤;강민구;윤민수;이양일;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총폴리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TRAP, ORAC assay, comet assay) 및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CR mouse를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무첨가군과 첨가군 단회 투여(2 g/kg) 시 나타나는 치사율, 체중, 생리적 증상, 장기무게, 생화학적 분석(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을 통해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를 함유한 호박, 알로에, 돼지감자음료 1 pack의 총 페놀함량은 66.35~100.98 mg/pack,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90.0%/1 pack, TRAP 값은 $1.46\sim1.54{\mu}M$/trolox equivalent(TE)를 보였으며, 모든 음료의 ORAC 값은 1500보다 높았다. 모든 음료는 인체 임파구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_2O_2$에 대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의적이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의 ICR mouse 암수 각각에 경구투여(2 g/kg) 후 14일까지 치사된 실험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 생리적, 병리적 및 생화학적 분석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그룹들 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 g/kg의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를 ICR mouse에 단일 경구투여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항산화활성과 안전성은 산업적측면에서 약용 및 식용 자원으로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osteoporo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by Rhizomes of Kaempferia parviflora Wall. ex Baker

  • Nguyen, Phuong Thao;Bui, Thi Thuy Luyen;Lee, Sang Hyun;Jang, Hae Dong;Kim, Young 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2016
  • In this report,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peroxyl radical-scavenging and reducing capacities) and anti-osteoporotic activities of extracts and isolated constituents (1 - 16) from the rhizomes of Kaempferia parviflora Wall. ex Baker on pre-osteoclastic RAW 264.7 cells. Compound 5 exhibited significant peroxyl radical-scavenging capacity, with TE value of $8.47{\pm}0.52{\mu}M$, while compound 13 showed significant reducing capacity, with CUPRAC value of $5.66{\pm}0.26{\mu}M$, at $10.0{\mu}M$. In addition, flavonoid compounds 2, 4, 6, 8, 10, 12, and terpene compound 15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in NF-${\kappa}B$ ligand-induced osteoclastic RAW 264.7 cells, with values ranging from $16.97{\pm}1.02$ to $64.67{\pm}2.7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 parviflora could be excellent sources for the antioxidant and anti-osteoporotic traditional medicinal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