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allergy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7초

초등학생의 식품알레르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Effectiveness Evaluation of Food Aller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하림;송경희;이영미;한영신;강보미;권순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58-1064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about food allergi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 conducted an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eight classes for a total of 4,744 students at 100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nvestigated changes in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food allergies in participants using a questionnaire. A total of 576 students (12.1%) reported that they have taken medical treatment because of a food allergy. After education, the knowledge score of participant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7 to 3.3 out of 5.0 (p<0.001). The ratio of having a friend with a food allergy decreased from 24.7% to 19.8% (p<0.001). The participants responding as having helped a friend with a food allergy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5.5% to 17.7% (p=0.003). Before education, 16.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felt pity for friends with food allergies, whereas this percentag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ducation (p=0.034). Among 576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21.5% reported that they felt depressed due to their food allergies before education. However, the percentag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ducation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 about food allerg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s to be extended more widely to children.

식품알레르기 발생실태 및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Allergy Occurrence and Parental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 이은주;류호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21-53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mo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FALSSFS).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parents of children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mong the children was 21.9% (current group 8.1% and experienced group 13.8%). The features of the food allergy of the children were as follows : The onset time of allergy was at 1-2 years for 59 children (40.7%), at 3-4 years for 41 children (28.3%), and the main symptoms of allergy were 'rash and skin hives' (47.1%) and 'itching' (30.2%). In terms of the family history, the prevalence of allergies among the mothers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31.9%. The allergenic foods were egg (14.7%), pork (11.6%), and milk (8.9%) in the order. Most of the parents had a low perception of the FALSSFS. 26.2% of the parents requested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food allergies at school, making this the most requested item, followed by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with a value of 20.2%. The benefit of the FALSSFS was to increase the safety of school food and promote the emotional health of children with allergies.

제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및 영양교육 운영 실태 조사 (Perception on food allergy labelling and manage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among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area)

  • 이윤경;김현희;고양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6호
    • /
    • pp.530-5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6개 초등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5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 최종 1,000부를 분석하여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을 알아보고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정도, 학교급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와 그에 따른 학교급식의 대체식 운영현황 및 영양교육의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49.6%, 여학생 44.2%이었고, 4학년 28.4%, 5학년 27.5%, 6학년 44.1% 이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이 16.7%이며, 여학생이 19.2%, 남학생이 14.1%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이 유의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의사진단을 받은 학생은 26.4%로 나타났다. 2) 식품알레르기의 증상으로는 두드러기, 가려움, 구토, 설사, 호흡곤란 순으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 유발 식품으로는 우유, 게, 새우, 땅콩, 밀과 계란, 대두, 메밀과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황산염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3) 식품알레르기 지식 점수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학년별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식점수 또한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관찰하였다. 식품알레르기와 관련 있는 영양소에 대한 지식 정답률만이 식품알레르기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전체적인 식품알레르기 지식점수는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학교급식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 인식도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2.25점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성별과 학년 그리고 식품알레르기 경험유무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유발표시제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5)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식습관 평균점수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학생의 식습관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6) 식품알레르기 유발 학생들에 대한 학교급식의 관리실태 결과, 20.4%의 학생이 대체식을 제공받고 있었으며, 대체식으로 제공받은 음식으로는 김, 계란후라이, 멸치볶음, 두부 등 조사되었다. 7) 조사대상자 중 30.8%만이 식품알레르기 관련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과 학교홈페이지 등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한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학부모 및 담임교사 등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학교차원에서의 보다 체계적이고 세심한 식품알레르기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급식의 식품알레르기 유병학생을 대상으로 성장기에 필요한 영양소들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체식의 개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경남지역 제과제빵 종사자들의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Confectionery Bakers Working in Gyeongnam Province for Food Allergy)

  • 김솔아;이정은;조성래;장지윤;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30-3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지역의 제과제빵 종사자들의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식품 알레르기 인식 개선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경남지역의 제과협회에 등록된 업체 대표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식품 알레르기와 제과제빵의 연관성, 개발 시 식품 알레르기 고려 여부, 식품 알레르겐 다량 함유 여부, 유발 원인 및 알레르기 증상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작성 되었다. 102개 업체에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67.7%(69개/102개) 업체로부터 설문지가 회수 되어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고 수집 된 69개의 설문결과에 따르면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거나 들은 경험이 있는 제과제빵 종사자는 87%(60명/69명)으로 대부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13%(9명/69명)의 종사자가 경험이 없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제조과정 중 식품 알레르기를 '고려한다' 73.9%(51명/69명) 수준으로 응답했지만 식품 알레르겐과 식품 알레르기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대부분 알지못했다. 제과제빵 종사자들을 위한 식품 알레르기교육 참가 여부에 대해 '매우 그렇다' 30.4%(21명/69명), '그렇다' 40.6%(28명/69명)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종사자 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현재 경남지역의 제과제빵 종사자들이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인식과 그 관리 방안에 대한 교육이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적절한 관리를 위해 제과제빵 종사자들을 위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제과제빵 종사자들에게 제품 제조과정에서 식품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알레르겐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나 실제 매장의 갑작스러운 식품 알레르기사고와 응급처치 등의 지침과 같은 교육 및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결과는 경남지역에 종사하는 제과제빵 종사자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 인식도 조사이지만 국내 제과제빵 분야에 종사하는 인력들에 대한 식품 알레르기 인식도 관련 기초 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 - 전남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Jeonn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미애;김수경;전은례;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9-69
    • /
    • 2016
  •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학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가장 많았고, 식품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유 알레르기의 특성 및 저감화 방법에 대한 고찰 (Overview of Milk Allergens and Allergic Reaction Reduction Methods)

  • 김기환;설국환;오미화;박범영;김현욱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67-73
    • /
    • 2013
  • Food allergy is defined as adverse reactions toward food mediated by aberrant immune mechanisms. Cow's milk allergy is one of the most common food allergies in childhood. This allergy is normally outgrown in the first year of life, however 15% of allergic children remain allergic. Cow's milk allergy seem to be associated with casein (${\alpha}_{s1}$-CN), ${\beta}$-lactoglobulin and whey protein. In addition to this, many other milk proteins are antigenic and capable of inducing immune responses. Various food processing affects the stability, structure and intermolecular interactions of cow milk proteins, as a result reduction the allergenic capacity. Heating, hydrolysis, chemical, proteolytic and other processes such as gamma-ray irradiation, high pressure, using probiotics treatments of milk to obtain hypoallergenic milk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allergic reactions.

  • PDF

Pollen-Food Allergy Syndrome in Korean Pollinosis Patients: A Nationwide Survey

  • Kim, Mi-Ae;Kim, Dong-Kyu;Yang, Hyeon-Jong;Yoo, Young;Ahn, Youngmin;Park, Hae-Sim;Lee, Hyun Jong;Jeong, Yi Yeong;Kim, Bong-Seong;Bae, Woo Yong;Jang, An-Soo;Park, Yang;Koh, Young-Il;Lee, Jaechun;Lim, Dae Hyun;Kim, Jeong Hee;Lee, Sang Min;Kim, Yong Min;Jun, Young Joon;Kim, Hyo Yeol;Kim, Yunsun;Choi, Jeong-Hee;Work Group for Rhinitis,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648-661
    • /
    • 2018
  • Purpose: Pollen-food allergy syndrome (PFAS) is an immunoglobulin E (IgE)-mediated allergy in pollinosis patients caused by raw fruits and vegetables and is the most common food allergy in adults. However, there has been no nationwide study on PFA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FAS in Korea. Methods: Twenty-two investigat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patients with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and/or bronchial asthma with pollen allergy were enrolled. The questionnaire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lis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food allergy. Pollen allergy was diagnosed by skin prick test and/or measurement of the serum level of specific IgE. Results: A total of 648 pollinosis patients were enrolled. The prevalence of PFAS was 41.7% (n = 270). PFAS patients exhibited cutaneous (43.0%), respiratory (20.0%), cardiovascular (3.7%) or neurologic symptoms (4.8%) in addition to oropharyngeal symptoms. Anaphylaxis was noted in 8.9% of the PFAS patients. Seventy types of foods were linked to PFAS; e.g., peach (48.5%), apple (46.7%), kiwi (30.4%), peanut (17.4%), plum (16.3%), chestnut (14.8%), pineapple (13.7%), walnut (14.1%), Korean melon (12.6%), tomato (11.9%), melon (11.5%) and apricot (10.7%). Korean foods such as taro/taro stem (8.9%), ginseong (8.2%), perilla leaf (4.4%), bellflower root (4.4%), crown daisy (3.0%), deodeok (3.3%), kudzu root (3.0%) and lotus root (2.6%) were also linked to PFAS. Conclusions: This was the first nationwide study of PFAS in Korea. The prevalence of PFAS was 41.7%, and 8.9% of the PFAS patients had anaphylaxis. These results will provide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to physicians.

전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의 학교유형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관리실태 및 식품알레르기 예방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Study on the status of food allergy managemen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precautions of food allergy in school foodservice according to the school types in Jeonbuk area)

  • 김지연;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3호
    • /
    • pp.329-345
    • /
    • 2020
  • 본 연구는 전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 358명을 대상으로 학교유형에 따라 식품알레르기 관리 실태 및 예방관리를 위한 중요도 및 수행도를 조사하여 학교급식에서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초등학교 47.8% (171명), 중·고등학교 52.2% (187명)이며, 가장 잘 알고 있는 알레르기 유발식품은 '복숭아'(92.2%)이었다.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는 초등학교 55.0%, 중·고등학교 32.6%의 조리 종사자가 잘 알고 있었다. 86.3%가 식품알레르기 유병학생이 있는 것을 알고 있으며,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65.6%) 학교급식에서 식품알레르기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조사대상자는 제거식 (73.7%)과대체식 (67.3%)을제공한 경험이 있으며, 제거식 메뉴는 주로 반찬류 (68.6%), 대체식은 '김' (69.3%)과 '계란반찬' (21.2%)을 가장 많이 제공하였다. 초등학교조리종사자의 62.6%, 중·고등학교는 50.3%가 식품알레르기 교육 경험이 있으며, 교육은 영양(교)사 (81.1%)가 주로 실시하였으며, 주요 교육내용은 '알레르기 유발식품 종류' (62.2%), '식품알레르기 증상' (54.2%)이었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조리종사자의 식품알레르기 예방관리 중요도는 3.6점, 3.2점, 수행도는 3.5점, 3.1점이었다. 독립표본 t-test 결과, 10개 항목 중 8개 항목에서 학교유형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알레르기 유발식품과의 교차오염을 철저히 통제한다'이며, '식품알레르기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에피네프린 사용법 등을 알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가 가장 낮은 중요도와 수행도를 보였다. IPA 분석결과, A영역에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모두 공통 포함된 항목은 '알레르기 유발식품의 포함 여부를 식단표에서 확인한다', '식품알레르기를 가진 학생을 알고 있어야 한다', '알레르기 유발식품과의 교차오염을 철저히 통제한다', '일반 식기류와 구별하여 별도 보관·사용하며 사용 후 별도로 세척·소독 한다'이었다. D영역에는 '식품알레르기 응급처치방법을 알고 실천해야 한다', '식품알레르기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에피네프린 사용법 등을 알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가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에 공통으로 포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전북지역 조리종사자들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인지수준을 높이고 관리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정기교육의 실시와 교육매체 개발이 필요하겠다.

인천 일부지역 여중생의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among Middle School Girls in Incheon)

  • 김미진;최미경;김미현;김명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2호
    • /
    • pp.181-19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trategies for effective food allergen labeling in order to prevent food allergies in school meal service. Food allergy experience, eating behavior, and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were survey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food allergy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girls in Incheon. Seventy-eight students (17% of total subjects) experienced food allergies. For eating behaviors, students with food allergy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using nutritional knowledge in their life than inexperienced subjects. For the percep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 girl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more often checked labeling of school meals for allergenic foods than those who had no experience of food allergies (P<0.001). The most desirable method for displaying allergenic foods was an indication of the allergenic food name amo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and allergenic food number of the current method for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food allergies (P<0.001).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food allerg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rest in food allergen labeling than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P<0.001). For the importance score of information items in nutrition labeling, allergenic food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allergies (3.9 vs. 3.4 points, P<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ood allergies are more interested in food allergen labeling of school meals and that they are more aware. Efforts to improve labeling method such as directly labeling allergenic food name and a more visible indication are require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in school meal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