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learning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7초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Interaction and Flow as the Antecedents of e-Learner Satisfaction)

  • 문철우;김재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3-72
    • /
    • 2011
  • 사이버 공간에서 학업을 병행하는 직장인 학생에게 강의만족은 매우 역동적이고 다차원적인 과정으로 개개인의 학업 니즈와 능력을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사이버 경영대학원에 재학 중인 직장인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학생 간 상호작용, 학생 상호간 상호작용, 몰입, 콘텐츠의 질과 구조화, 실시간 Q&A와 사이버 강의를 보완하는 수단으로서의 오프라인 보충강의 등이 만족도에 미칠 직 간접적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과관계 검증에 집중하기 보다는 수강생 입장에서 흥미롭다고 인지된 과목과 어렵다고 판단된 과목을 중심으로 인과관계의 강약 정도를 그룹 별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어렵다고 인지된 과목을 중심으로 답한 그룹의 경우 교수 학생 간 상호작용에서 만족도, 콘텐츠품질에서 몰입, Q&A에서 교수 학생 간 상호작용 그리고 Q&A에서 학생 간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경로계수값이 흥미롭다고 인지된 과목을 택한 그룹의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학생 간 상호작용에서 만족도와 콘텐츠 구조에서 몰입으로 이어지는 경로계수값은 흥미롭다고 인지된 과목을 택한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이러닝 설계상의 시사점도 간략히 제시하였다.

  • PDF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 재미요인과 학습만족, 몰입 간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Fu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Flow in Social Service Personnel Job Training Education)

  • 이승훈;유병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74-683
    • /
    • 2015
  • 재미는 누구나 느끼고 싶어 하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이지만, 교육과 재미를 접목시킨 연구는 스포츠와 게임 분야를 제외하고는 극히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나타난 재미에 초점을 두고, 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의무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에서 재미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의무적으로 2주간의 직무교육을 받고 있는 사회복무요원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제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에서 나타난 재미요인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몰입, 학습만족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재미와 교육의 접합점을 찾고 재밌는 교육이 학습 효과와 실제 관련이 있는지, 나아가 사회복무요원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비자발적 성향을 지닌 학습자에게 재밌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공감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ath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in Non-face-to-face Classes)

  • 박미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87-595
    • /
    • 2021
  •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65명이며, 2021년 5월 10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공감능력과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설명력은 22.7 %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환경에서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치위생과 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습몰입 및 학업탄력성의 융합적 관련성 연구 (The study on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resili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영선;이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51-58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재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습몰입 및 학업탄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구 소재 D대학 치위생과 1~3학년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 한 달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dow ver.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감성지능과 학습몰입, 학업탄력성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학습몰입과 학업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관련 학습몰입과 학업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개편을 제언한다.

원격 PBL 수업에서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몰입의 관계 탐색 : 흥미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Flow in Distant PBL Clas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vel of Interest)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95-405
    • /
    • 2021
  • 본 연구는 원격 PBL 수업에서 몰입수준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흥미 수준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몰입과 관련된 학습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구조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론적으로 구성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사범학부 5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원격으로 PBL 수업을 수행한 이후 몰입,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흥미수준을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몰입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 흥미수준의 영향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동기의 영향을 흥미수준이 매개하여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성취목표지향성의 영향을 흥미수준이 매개하는 경로가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원격 PBL수업을 운영할 때, 학습자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을 고려하여 흥미수준을 조절한다면 몰입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학습몰입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and learning flow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경희;이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39-14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학습몰입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S시와 M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최종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자각증상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적 사용과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폰 중독관리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관리를 위한 다양하고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관한 연구 - 몰입(Flow)과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Direction of Online Reviews o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Product Attitude - Base on the Moderating Role of Shopping Experience and Product Type -)

  • 박동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127-148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의 학습을 통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러닝 속성에 학습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학습 서비스를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환경을 최적화시키는 방안에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한다. 경영환경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스마트러닝 기술속성들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고찰해 볼 필요성이 있다. 스마트러닝 속성은 최근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른 의미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화(Personalization), 다양성(Variety), 연결성(Connectivity), 복합성(Convergence), 편재성(Ubiquity)의 다섯 가지로 정의 한다. 이에 스마트러닝 학습자의 만족도와 스마트러닝 학습 성공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러닝의 속성의 다양성, 개인화, 복합성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성, 개인화, 편재성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상호작용성은 학습성과에 유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마트러닝을 학습효과의 극대화을 위해서는 스마트러닝의 속성이 중요함의 시사점을 준다.

  • PDF

신입생 대상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분석: K 대학 사례 (The Effect of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for University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박혜진;차승봉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3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university. The program contents applied in the study includ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time management, goal setting, note taking, and memorization methods. The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operated in an online environment, and the content was developed between 27 and 29 minutes. The developed contents can be taken u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e variables sele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ere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was also include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program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fl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result is because the content was composed of meaningful sub-topics by select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learning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program satisfac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for all questions was high. Among them, the average of the item that the theme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useful was the highest. Third, open response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In the cognitive domain, meanings such a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were presented as keywords, and in the affective domain, a number of keywords for motivation and attitude change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programs necessary for university freshmen and analyzed their effects.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 교수실재감의 영향 (The Effects of Task Value, Perceived Usefulness, and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in Cyber University)

  • 이정민;윤석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49-458
    • /
    • 2011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실재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 사이버대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과제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수실재감은 과제 가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 데 있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 지각된 유용성 향상을 위한 학습과정 설계 전략과 함께 교수자의 역할과 행동, 촉진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Instru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of Learning)

  • 노경희;지형근;임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3
    • /
    • 2010
  • 본 연구는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5개 반 142명을 선정하였으며, 이중 3개 학급(86명)은 증강현실 수업을, 2개 학급(56명)은 교과서 중심의 일반 수업을 각각 2주간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학업성취에 있어서 증강현실 수업은 교과서 중심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일반적 학습흥미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업자체에 대한 흥미에 있어서는 증강현실 수업 집단이보다 높은 흥미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몰입에 있어서 증강현실 수업 집단은 교과서 중심 수업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몰입을 보였다. 본 연구가 실제 교실상황에서 정규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연구결과는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 수업이 기존의 교과서 중심 수업과 같은 전통적 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방법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