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ing Area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7초

MIKE 모델을 이용한 산지소유역 강우유출 및 침수 분석 - 프랑스 Var river 유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inundation and rainfall-runoff in mountainous small catchment using the MIKE model - Focusing on the Var river in France -)

  • 이수원;장동우;정승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호
    • /
    • pp.53-62
    • /
    • 2023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내리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집중호우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출량을 발생시켜 중소하천으로 합류되기 전, 산간지역 하류부분에 홍수를 발생 시킬 수 있다. 홍수로 인한 하류지역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집중호우에 대한 산지소유역 유출량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 하수관망 침수분석에서는 산지소유역의 강우유출량을 산정하기보다는 기존에 보유 데이터를 활용한 시간·면적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의 토양 특성을 정확하게 적용하였다고 판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강우 발생 시 많은 유출량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하류지역의 침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산지소유역에 대한 강우유출량 분석을 진행한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량 산정을 통해 하류지역에 발생될 수 있는 침수 특성을 분석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하류지역의 주민 대피, 피해 범위의 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소유역 강우유출량 산정을 위해 MIKE series 중 MIKE SHE를 활용하여 산지소유역 강우유출량을 산정하였고, MIKE 21 FM (Flow model)을 통해 하류지역의 침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지소유역에 강우 발생 시 발생 유출량 및 하류까지의 도달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분석 결과는 향후 강우 발생 시 하류지역에 사전 대피를 통한 인적·물적 자원을 보호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UMERICAL SIMULATION OF 1993 TSUNAMI FLOODING ONTO AONAE DISTRICT, OKUSHIRI ISLAND

  • Yamashita, Takao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3-6
    • /
    • 1996
  • On July 12, 1993, a large earthquake (M=7.8) occurred off the south-west of Hokkaido, Japan. The tsunami generated by this earthquake caused a disaster which took a heavy toll of lives, more than 200 persons dead, by the flooding of tsunami in the area of Aonae district in Okushiri island. Investigation after the disaster made clear that southern lowland was flooded by the tsunami coming from west about 5 min after the shock and the second tsunami from the east attacked eastern lowland of the Aonae District about 10 min after the shock. (omitted)

  • PDF

상이한 제원특성을 가진 빗물펌프장에서의 퍼지제어모형 적용 (An Application of Fuzzy Control Models to Inland Drainage Pumping Stat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Protection of Inland Flooding)

  • 심재현;이원환;조원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07-118
    • /
    • 1993
  • 계속되는 도시화로 불투수성 면적이 증가되고, 환경변화에 의해 강우량이 증대되어 도시 저지대의 침수 우려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서울특별시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내수를 외수 쪽으로 강제배수시키는 빗물펌프장을 계속해서 보강 및 신설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는 기존 빗물펌프장 시설의 적정 제어기법에 대한 연구나 투자는 전무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퍼지제어기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시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방하여 서울특별시 관내의 서로 다른 제원특성을 가진 57개의 유수지와 빗물펌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펌프가동기준인 수위기준에 의한 펌프제어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퍼지제어기법이 전체 대상지점에 대하여 내수위를 같은 조건하에서도 충분히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수방재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Hydrological Modelling of Water Level near "Hahoe Village" Based on Multi-Layer Perceptron

  • Oh, Sang-Hoon;Wakuya, Hirosh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1호
    • /
    • pp.49-53
    • /
    • 2016
  • "Hahoe Village" in Andong region is an UNESCO World Heritage Site. It should be protected against various disasters such as fire, flooding, earthquake, etc. Among these disasters, flooding has drastic impact on the lives and properties in a wide area. Since "Hahoe Village" is adjacent to Nakdong River,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water level near the villag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multi-layer perceptron (MLP) to predict the water level of Nakdong River near "Hahoe Village". To develop the prediction model, error back-propagation (EBP) algorithm was used to train the MLP with water level data near the village and rainfall data at the upper reaches of the village. After training with data in 2012 and 2013, we verified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MLP with untrained data in 2014.

홍수범람에 따른 도로침수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Analysis of Flooded Roads)

  • 김경훈;김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41-242
    • /
    • 2016
  • Recently, the interests in safety and prevention from disaster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lifeline networks such as water line and sewerage, electricity, gas, and road would be damaged from a disaster. If the lifeline networks do not work in normal, national public service will not properly function. Researches in social network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for analyzing the interdependency between individuals since 1970s. These network analysis are utilized to investigate a spread of information and disease. However, it is hard to discover the analyzed case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nodes of networks in the area of transportation and disaster.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network analysis of flooded road with flooding scenarios, investigates safe evacuation routes in flooded road network, and suggests efficient approaches for preventing damages from a flooding.

  • PDF

MIKE FLOOD를 이용한 하천 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alyzing Overflow in River)

  • 최계운;변성준;정연중;김영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6-1240
    • /
    • 2006
  • Flooding is an inevitable problem for many cities. The study has depended on a combined approach of physically based modeling and GIS. The stream network is structured by MIKE11 for basis of a network and extended by MIKE21 to make like 2D analysis. This method is called alternative 2D analysis. In this study, one of area in Korea is used to analyze overflow of stream. Flood risk of the area looks like not so big because an elevation of this area is very high and slope is steep, but it is very dangerous area due to the typhoons. The tools to make flood risk map are MIKE11 and MIKE21 include GIS program. And map is expressed 3-D animation with MIKE Animator. As a result of this work, the flood risk map is made. And everyone who is not an expert can check dangerous area for flooding. At present, the method which is viable and easily confirmable must be promote because one of matters of common interest, which is of the general public, is the flood disaster.

  • PDF

GIS와 수리모형을 이용한 홍수지역예측 비교 (Comparison of Flooding Area Estimation using GIS and Hydraulic Model)

  • 김석규;송인호;김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3-192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지형적, 지리적 조건에 따른 홍수뿐만 아니라 기상이변에 의한 홍수의 발생빈도가 높아 점차 그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홍수의 피해는 대규모로 발생하므로 홍수가능지역을 사전에 예측하여 홍수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록이 부족한 대규모의 넓은 지역에 대해 홍수가능지역을 예측할 목적으로 DEM과 홍수위를 이용하는 지형학적 방법과 수리모형을 이용하는 수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홍수에 의한 범람가능지역을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과거 홍수에 피해가 가장 컸던 경기도 문산천 유역을 선정하였고, 지형학적 방법과 수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홍수지역을 예측한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GIS를 이용하면 광의의 지역에 대해서 개략적인 홍수가능지역을 예측할 수 있었고, 수리모형을 이용하면 정밀하고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위의 두가지 방법을 병행하면 전국 재해지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재해위험에 대한 사전정보를 제공하여 재해에 대비함으로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tilizing OpenFlow and sFlow to Detect and Mitigate SYN Flooding Attack

  • Nugraha, Muhammad;Paramita, Isyana;Musa, Ardiansyah;Choi, Deokjai;Cho, Buseu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988-994
    • /
    • 2014
  •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is a new technology in computer network area which enables user to centralize control plane. The security issue is important in computer network to protect system from attackers. SYN flooding attack is one of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methods which are popular to degrade availability of targeted service on Internet. There are many methods to protect system from attackers, i.e. firewall and IDS. Even though firewall is designed to protect network system, but it cannot mitigate DDoS attack well because it is not designed to do so. To improve performance of DDOS mitigation we utilize another mechanism by using SDN technology such as OpenFlow and sFlow. The methodology of sFlow to detect attacker is by capturing and sum cumulative traffic from each agent to send to sFlow collector to analyze. When sFlow collector detect some traffics as attacker, OpenFlow controller will modify the rule in OpenFlow table to mitigate attacks by blocking attack traffic. Hence, by combining sum cumulative traffic use sFlow and blocking traffic use OpenFlow we can detect and mitigate SYN flooding attack quickly and cheaply.

도시배수체계와 연계한 침수모형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undation Model Considering Storm Sewers in Urban Area)

  • 한건연;이창희;김지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9-162
    • /
    • 2005
  • 도시지역에의 내수범람은 주로 우수관로 배수체계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도시침수에 대한 국내 연구가 우수관로해석에 국한되어왔다. 하지만 우수관로시스템 해석을 통해서 배수능이 부족한 관거를 찾는 것만으로 침수방지대책을 세우는 것은 매우 근사적이고 비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양상에 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해를 도출하기 위하여 지표류 해석을 통한 침수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2001년 7월 서울지역의 집중호우 사상에 대한 적용결과로 해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홍수 예경보와 침수범람도 작성 등의 도시치수 및 방재계획 수립에 실제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하천범람 영역 자동생성 모델 및 표출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Expression System and Model for Automatic Creation of Flooding Area in the river)

  • 최은혜;황현숙;김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54-660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를 통해 강우의 시간적 분포를 적용한 홍수위를 산정하고, 산정한 홍수위 값과 대상유역의 정밀한 지형데이터를 활용하여 홍수위에 따른 범람영역을 GIS기반의 사용자 정의 모델을 통해 자동 생성하는데 있다. 하천의 범람영역 분석은 지형데이터의 정확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므로 대상유역 지형 데이터의 정밀성이 최우선이다. 따라서 GIS기반의 홍수범람 영역을 자동생성하기 위해 UIS(Urban Information System)와 하천 관련 보고서, 수문학 정보 등을 기반으로 공간 및 속성 데이터의 구축방법을 제시하고, 대상 유역에 제시한 모델을 적용하여 GIS기반의 분석 결과를 표출시스템을 통해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