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mitigation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9초

홍수피해 발생빈도-피해액 관계분석을 통한 지역별 홍수피해특성 분석 (Analysis of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Relationship between Flood Frequency and Damages)

  • 박태선;최민하;여창건;이승오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87-92
    • /
    • 2009
  • 현재까지의 치수대책이나 복구대책은 대부분 당해 연도의 지역별 피해액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홍수 발생빈도와 홍수피해액 관계를 분석하면 지역의 홍수피해특성을 고려한 보다 합리적인 치수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 38년('70~'07)간의 전국 시군구별 홍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무차원 홍수피해 발생빈도와 피해액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분면적 해석방법을 도입하여 전국 시군구의 홍수피해 유형을 다빈도-대피해 지역, 다빈도-소피해 지역, 소빈도-대피해 지역, 소빈도-소피해 지역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면 시군구별로 홍수피해액별 발생빈도와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치수방어년을 설정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치수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거나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퍼지제어모형을 이용한 다목적댐의 홍수조절모형 (III) - 댐군의 연계운영방안 - (Multipurpos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 III ) - Multi Reservoir Operation Methods -)

  • 심재현;김지태;조원철;김진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61-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퍼지제어 모형을 이용한 단일댐의 운영모형을 기포로 하여 한강수계 댐군의 연계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단일댐 모형에 의한 댐 운영의 결과가 하류부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모형의 홍수조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각 댐들의 제어규칙을 모의하여 하류부의 홍수조절 효과가 가장 큰 규칙을 찾음으로써 연계운영 규칙을 선정하였다. 1990, 1995년 대홍수 발생시 실제 운영실적과 연계운영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이 각 댐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상류부 침수피해를 줄이며 하류부에서 낮은 수위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치수적인 효과가 뛰어난 운영방안이라고 판단된다.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한 홍수범람 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with Quadtree Grid)

  • 김종호;김형준;이승오;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통권25호
    • /
    • pp.45-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사면구조(quadtree) 격자기법을 이용하여 경상남도 의령군과 함안군을 통과하는 남강 유역에서의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Saint Venant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제방선을 따라 적합화 된 계층적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leap-frog 기법으로 양해적 유한차분하였다. 본 모형과 상용 프로그램인 HEC-RAS 및 FLUMEN과의 수치결과를 서로 비교하였고, 빈도에 따른 홍수 사상을 다르게 하여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세 모형의 결과가 거의 일치함을 보였다. 그리고 500년 빈도의 홍수 사상에서 제내지로 홍수가 범람함을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저류함수모형 매개변수 산정 개선방법의 한강유역 적용 (Improved Parameter Computation Method Applications of Storage Function Model for the Han River Basin)

  • 정동국;전용운;이범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49-15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한 홍수유출분석의 시행에서 즘 더 정확한 모의가 가능할 수 있도록 유역에 대한 매개변수를 재 산정하였다. 매개변수의 산정을 위해 민감도분석을 실시하고,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각 유역별 지형인자를 새로 추출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홍수 모의를 통해 유역모형의 유출상수를 홍수직전유출고와의 관계로 회귀분석 하였다. 유역모형의 저류상수는 유역별 홍수사상에 따른 최적의 저류봉수식으로 도출하였으며, 산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한 보형의 수행 결과를 한국수자원공사의 K-Water(기준상수) 모형 및 한강홍수통제소 형과 비교하여 본 연루의 결과가 관측 수문곡선과 더 유사함을 제시하였다.

A Framework to Estimate GDP Loss due to Extreme Water-related Disaster in Kangwon-do

  • Kang, Sang-Hyeok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59-166
    • /
    • 2007
  • Large scale flood disasters bring human losses and properties, which lead to the decrease of our productive value and change social environment. Human loss and economic damage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system but they are viewed as separated systems. The total amount of human loss can be represented as the total amount of economic damage estimated in the frame of social system while it will be possible to make mutual changing by clearing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systems. In this regard, an attempt to estimate economic loss considering per capita Gross Domestic Production (GDP) caused by flood-related mortality was carried out to the typhoon Rusa of 2002 in Kangwon-do. The proposed method tried to capture quantitative factors which are affecting the loss of per capita GDP. The approach has great importance not only to set up governmental policy but also methodological progress in the research due to impact of disaster-related mortality on GDP loss.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내외수 연계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ombin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 유재홍;김형준;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을 모의하기 위하여 하천모형과 우수관망모형을 결합하였다. 하천의 범람을 모의하는 하천모형은 2차원 Saint Venant 방정식을 유한차분기법으로 차분화하여 수치모형을 구성하였다. ILLUDAS를 기반으로 하는 우수관망모형은 관망의 통수능과 홍수량을 비교하여 제내지에서의 침수현상을 해석한다. 내외수연계모형을 실제 홍수범람사상에 적용하여 제내지와 제외지에서 일어나는 홍수범람현상을 적절히 모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천수위에 의한 침수피해 평가 시스템 (Evaluation System of Flood Damages using Stream Stage)

  • 김종순;이영대;오국열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51-158
    • /
    • 2009
  • 많은 사람들이 집중강우와 태풍으로 임한 침수로 고통 받고 있다. 비록 하천의 제방을 강화시키고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펌프장을 건설함에도 불구하고, 침수피해는 제어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강우자료 해석, 홍수위 계산, 홍수피해 규모를 통합시스템에서 수행 할 수 있는 CWMS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을 바로 국내에 이용하기에는 하천수위, 홍수재해모의 등과 같은 데이터 구축 에 부족함이 많기 때문에 우리의 침수피해를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상황에 맞는 침수피해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은 침수재해로 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과 평가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강우로부터 홍수 피해를 평가할 수 있도록 기존 모형과 많은 인자가 고려된 침수피해 평가시스템(Flood Damage Evaluation Model; K-FDEM)을 제안하였다.

도시지역 홍수재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Urban Flood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 이창희;이석민;신상영;여창건;김윤종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76-379
    • /
    • 2007
  • In recent years, the natural damage associated with flood disaster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However, there is no rational method which reflects urba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 regional safe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for urban flood. Flood risk and reduction assesment were estimated by using the linear sum of the Z score of the assessment factors and the weight value of each factor from the expert survey data. And then the regional safety assessment was estimated by subtracting reduction factor value from risk factor value. GIS tool was used to estimate the factor assesment and integrated regional safety.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flood protection project, execute the flood insurance and establish the urban plans and the flood mitigate plan.

  • PDF

결정론적 홍수위 추적 모형을 이용한 우이천 유역의 홍수범람도 작성 (Flood Hazard Map in Woo Ee Stream Basin Using Conclusive Hydraulic Routing Model)

  • 문영일;윤선권;김재현;안재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37-640
    • /
    • 2008
  • Flood control and river improvement works are carried out every year for the defense of the flood disaster, it is impossible to avoid the damage when there is a flood exceeding the capacity of hydraulic structures. Therefore, nonstructural counter plan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lood hazard maps, the flood warning systems are essential with structural counter plans.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internal inundation effect using rainfall runoff model such as PC-SWMM was applied to Woo Ee experimental stream basin. Also, the design frequency analysis for effects of the external inundation was accomplished by main parameter estimation for conclusive hydraulic routing using HEC-RAS model. Finally, inundated areas for flood hazard map were estimated at Woo Ee downstream basin according to flood frequency using HEC-GeoRAS model linked by Arc View GIS.

  • PDF

천변저류지 홍수저감능력평가를 위한 하도-저류지연계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River-Reservoir Integrated Model for Flood Reduction Capacity Analysis of Off-Stream Reservoir)

  • 최성열;안태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65-17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하천변 저류지의 홍수저감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있다. 하천에 홍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하천변 저류지는 하천의 홍수첨두 일부를 분담하는 기능을 갖으며, 이는 제방의 일부를 낮춘 월류제를 통한 범람으로 가능하게 되며, 또한 범람된 물은 저류지 내에서 저류 하게 된다. 이러한 저류지가 갖는 홍수저감특성은 하천 홍수위, 월류제 제원(높이, 위치, 길이 등), 저류지의 수리거동 등에 의해 좌우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물의 거동을 재현하기 위해서 1차원 하천부정류 모델, 월류제 상의 월류량 산정 모델 및 제내지 홍수범람 모델을 연계한 통합모형을 개발 하였다. 이상에서 개발된 연계 모형을 가상하도 및 실제하도에 적용하여 월류제가 갖는 기하적 특성이 홍수경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개선하여야 할 시사점에 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