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level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32초

Pre-resilience Group Activities Against a Forthcoming Big Flood Disaster in Tokyo Below-Sea-Level Area

  • Ichiko, Taro;Kato, Takaarki;Ishikawa, Kinj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8
    • /
    • 2011
  • In April 2010, Japan Cabinet Office has published the first countermeasure report for severe flood disasters. This report showed various flood-disaster scenarios and factors that widened damages. One of important suggestions was to transmit precious information for long-distance evacuation. So far, local municipalities have made Flood Hazard Map to inform resident risk and evacuation. In this paper, cognition and effectiveness of a flood hazard map in the down ARAKAWA river Tokyo were measured by social questionnaire survey. In conclusion, there were 3 factors to effect validity of a flood hazard map. There were (1) commitment to their neighborhood organization, (2) experience of Kathleen typhoon in 1947 and (3) level of using targeted river. As results, a logical diagram about a flood hazard map perception was drawn and discussed from a view of community-based approach.

  • PDF

Determination of Design Flood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 Jun, Kyungsoo;Li, L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3-173
    • /
    • 2015
  • The flood water level in tidal river is determined by the joint effects of flood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at downstream boundary. Due to the variable tidal boundary conditions, the evaluated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can be significantly different. To avoid determining of design water levels just by a certain tidal boundary condition and remove the influence of variability in boundary condition from the evaluation of design water levels, a probabilistic approach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evaluate the realistic design water levels in tidal river with taking into account the combined effects of river discharge and tidal level. The flood water levels are described by the joint probability of two driving forces, river discharge and tidal water levels. The developed method is applied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for the tidal reach of the Han River. An unsteady flow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flow in the reach. To determine design water levels associated with a certain flood event, first, possible boundary conditions are obtained by sampling starting times of tidal level time series; then for each tidal boundary condition, corresponding peak water levels along the channel are computed; and finally, design water levels a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expectations of the peak water levels. Two types of tides which are composed by different constituents are assumed (one is composed by $M_2$, and the other one is composed by $M_2$ and $M_2$) at downstream boundary, and two flood events with different maximum flood discharge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a) the computed design water levels with two assumed tid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 certain flood event, though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considerably different; (b) tidal effect can reach to the Jamsil submerged weir and the effect is obvious in the downstream reach of the Singok submerged weir; (c) in the tidally affected reach, the variability of peak water levels due to the tidal effect is greater if the maximum flood discharge is smaller.

  • PDF

국지 앙상블자료와 홍수위험매트릭스를 이용한 홍수위험도 예측 방법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method for flood risk using LENS and flood risk matrix)

  • 최천규;김경탁;최윤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9호
    • /
    • pp.657-668
    • /
    • 2022
  • 하천 유량이 증가된 상태에서 집중호우의 발생은 유량과 강우량 모두 하천변 홍수피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하천변 사회·경제적 영향 수준에 따라 피해정도에 차이를 보이게 되며, 특히, 인구 및 자산 밀집도가 높은 경우 홍수대응에 필요한 충분한 예보 선행시간의 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대응에 필요한 시간적 여유의 확보를 통한 피해저감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앙상블 강우유출모델링을 활용한 홍수위험매트릭스를 구축하고, 그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홍수위험매트릭스는 홍수피해 자료를 활용한 홍수피해 영향수준(X축)을 구성하고, 기상청 LENS 강우자료를 이용한 앙상블 강우유출모델링의 결과로 위험 홍수량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Y축)하여 확률예보에 기반한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과거 홍수피해 자료 및 정량적 홍수피해 평가방법을 이용한 홍수피해 영향수준 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낙동강권역의 태화강유역 및 형산강유역의 홍수특보지점에 대하여 기존 홍수특보 자료 그리고 피해 발생 상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최대 3일전부터 홍수위험 발생시간 및 정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홍수대응에 필요한 예보 선행시간 확보를 통한 피해저감 활동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강우빈도 해석을 통한 하천 수리$\cdot$수문량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low Profiles & Discharge due to Rainfall Frequency Analysis)

  • 서규우;이인록;원창희;심봉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33-1537
    • /
    • 2005
  • The recent rainfall has happened to exceed the design rainfall after 1990 ofte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rain to be changed. So, it is failing the ability safety of flood defense equipments to exist. This study analyzed the rainfall of Busan in 2003 since 1961 through the FARD2002(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Duration). The result is equal to the thing which the design rainfall increased a little since 1991. The change of design rainfall created the result to be a flood discharge increase.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impact to influence on the river bank according to the change of flood discharge, the rainfall pattern change as well. This study used the program of HEC-RAS with HEC-HMS and calculated flood discharge with flood level of river. The result is equal to the thing which the computation became a flood level which exceed 50year(River design criteria-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02) criteria with 30year(River establishment criteria-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1993), because of an area of impermeability increased of model basin.

  • PDF

재귀호출 알고리듬 기반의 홍수전파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Floo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using Recursive Call Algorithm)

  • 이근상;장영운;최연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63-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주 남대천을 대상으로 재귀호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제방 파제시 홍수위별 홍수전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벙구보와 차산보를 파제 지점으로 설정하여 재귀호출 알고리듬에 의한 홍수위별 홍수전파 차수를 분석하였으며, 홍수전파 차수별 격자수와 누계 침수면적을 계산하였다. 또한 홍수전파 차수와 DEM 격자크기를 기준으로 홍수위별로 홍수가 전파되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재귀호출 알고리듬에 의한 홍수전파 차수의 분포특성을 통해 홍수 전파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홍수전파 차수별 누계 침수면적 그래프의 기울기 패턴을 통해 홍수에 취약한 지역을 선정함으로써 수재해 업무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홍수위별로 홍수전파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홍수시 주민들의 대피경로 및 대피시간과 같은 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lft-3D를 이용한 온천천의 조위 영향범위 검토 (Investigation into the Range of Effect of the Tide Level of Oncheon River Using Delft-3D)

  • 이상화;이한승;김재중;박동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5호
    • /
    • pp.465-472
    • /
    • 2012
  • 최근water front나 자연형 하천의 개발이 많아지는 가운데 해안에 인접한 하천설계에 있어 일반적으로 기점 홍수위가 만조 시 수위보다 높게 계산되면 조석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기점 홍수위만으로 수리해석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점 홍수위가 만조 시 수위 보다 높더라도 밀려오는 조류의 영향으로 하천 기점 홍수위의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부산의 지방하천인 온천천이 조석현상에 의해 어떤 흐름의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Delft-3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하류 경계조건에 조석영향을 고려하였을 경우 하천의 일정범위까지 수위가 조석의 주기성을 나타내었고 하천 상류방향으로 수위 변동범위가 확대되었다.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전국단위 내수침수해석 방안 (Nationwide Inundation Analysis method for Flood and Storm Disaster Insurance Rate)

  • Yoo, Jaehwan;Song, Juil;Jang, Moonyup;Kim, Han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5-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전국단위의 내수침수해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수정 Level-Pool침수해석은 실제 침수피해지역을 반영하고 내수침수 발생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도시계획 용도지역을 고려하였다. 수정 Level-Pool침수해석에 의한 내수침수지역과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내수재해위험지구와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Level-Pool침수해석과 비교하여 내수침수지역이 내수재해위험지구를 더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단위의 내수침수위험지역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 Level-Pool침수해석이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왕자료를 이용한 수위상승거동곡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level Rise Behavior Curve using Historical Record)

  • 곽재원;김길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601-610
    • /
    • 2023
  • 하천의 수위변화 특성에 대한 이해는 여러 수방활동 및 하천환경의 관리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각종 수방활동에서 종사하는 현장 엔지니어가 특정 지점의 홍수시 수위상승 특성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강수계의 홍수취약지구에 홍수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45개 관측소의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10분 단위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홍수 사상에서 발생하는 시간적인 상승량을 단위시간을 통하여 정량화하고 분위화한 수위상승거동곡선(WRBC)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홍수시의 수위상승 거동은 평균적으로 초반 6.2시간 이내에 전체 수위상승량의 80% 이상이 상승하며 그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위상승 이후에 일정한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은 상류유역의 면적과 유출 특성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WRBC는 홍수유출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위상승의 평균적인 경향에 대해 통계적이고 직관적인 검토에 장점이 있으며, 하천변에 위치한 친수공간, 수리시설 등의 수방활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곡부의 하상 특성이 수문 인자에 미치는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of Riverbed Characteristics of Valley Area to Hydrologic Factors)

  • 손명호;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463-476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iverbed slope and roughness coefficient on flood level and flow velocity. A numer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by installing HEC-RAS in the valley of a sub-basin in Geochang-gun, Gyeongsangnam-do. For each basin, three slopes of riverbeds (slopes-15.0%, 5.0%, and 1.0%) were chose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four coefficients of roughness were applied to each slope to parameterize the flow. Flow velocity and flood level were intensively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s of 15.0% and 5.0%, where the riverbed slopes are steep, the slope dominates the change in flow velocity and flood level, while in the case of 1%, where the riverbed slope is small, the change in flow velocity and flood level caused by changes in roughness coefficient is insignificant. Usually, the riverbed slope is large in the valley part of the watershed, so in this case, the slope will play a dominant role in the results of flow velocity and flood level when designing water-related structures.

Takagi-Sugeno 추론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구축 및 적용 (I) : 최적 입력자료 조합의 선정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Neuro-Fuzzy Real-Time Flood Forecasting Model by Linking Takagi-Sugeno Inference with Neural Network (I) : Selection of Optimal Input Data Combinations)

  • 최승용;김병현;한건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7호
    • /
    • pp.523-53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하천에서의 홍수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수문학적 모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홍수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수문학적 강우-유출 모형에서 사용되는 많은 수문학적 자료 및 매개변수들의 사용 없이 오직 수위 및 강우측정 자료만을 이용하여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Takagi-Sugeno 퍼지 추론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뉴로-퍼지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강우와 수위 자료의 시간적 분포 및 자료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최적 입력 자료 조합 선정을 위해 다양한 강우와 수위의 입력자료 조합을 구성하여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홍수 예측을 위한 뉴러-퍼지 홍수예측 모형의 최적 입력 자료 조합을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