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Stage Analysi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8초

강우량 증가에 따른 홍수량 변동 및 홍수범람 분석 (Analysis of Flooding Variation and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Increasing Rainfall)

  • 강보성;양성기;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424
    • /
    • 2015
  • As global warming has accelerated to weather in recent years, and The frequent floods are creating heavy rains and typhoons followed by considerable damage in Jeju. This study estimated design flood discharges and flood stage in Jeju,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connection with RCP scenario, the 5th IPCC Report recently published. It also analyzed the period which might be subject to the risk of flooding in downstream of Oedo Stream. As a result, it has analyzed that there might be a risk of flooding when there were 80 years or more rainfall events in 35 years that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10%, 69 years that 100 years or more heavy rain and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20%, and 104 years that 100 years or more heavy rain and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20%.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results of rainfall increasing trend caused by climate change will be helpful to minimize the damage of floods which will secure the future of Jeju.

도시유출모형과 홍수범람모형을 연계한 내수침수 적용성 평가 (A Study on Urban Inundation Prediction Using Urban Runoff Model and Flood Inundation Model)

  • 탁용훈;김재동;김영도;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95-406
    • /
    • 2016
  •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 및 개발 집중현상으로 하천변 저지대 및 지하공간 사용이 증가하였고,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도시유역의 배수체계는 우수관거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한 우수관거의 저류용량 부족 및 외수위의 영향으로 인한 도심지 역류 현상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홍수범람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외수범람과 내수침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가 발생하는 도시유역에 대하여 도시유역 유출특성을 고려한 홍수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강우분석 및 외수위를 고려하고, 도시유출모형인 SWMM 모형을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월류를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홍수범람해석 모형과 연계하여 도시유역에서의 집중호우 발생시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수방시설물의 홍수배제 효율을 분석하였다. SWMM 모형의 적용결과 외수위영향에 따른 원활한 내수배제가 불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거 월류량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월류된 우수가 지면을 따라 흐를 경우 저지대의 침수가 예상되고, 월류량이 많은 맨홀을 주요맨홀로 선정하였고, 월류수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주요 맨홀의 인근 지역에 저류지를 설치하는 방안과 각 맨홀들을 연결하는 관거를 확대하는 방안을 설정하였다. 월류 저감 시나리오 적용 결과 저류지 설치시 월류량의 45%, 관거 확대시 33~64%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SWMM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모의한 결과 지표경사와 도로를 따라 맨홀 월류수가 모여 침수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거 확대 적용시 침수면적이 19.6%, 6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 (Effectiveness Analysis of Constructed Washland : (1) Flood Control and Ecological Effect)

  • 곽재원;김재근;김형수;유병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13-21
    • /
    • 2010
  • 최근에 들어서 홍수조절과 생태적 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안으로서 천변저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우포늪의 상류 및 중하류에 분포하는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였을 경우 천변저류지로 인한 홍수조절 효과와 생태적인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천변저류지로 인하여 홍수 조절 및 생물다양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러 천변저류지의 형식이나 조합에 따라서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천변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단순 홍수조절 효과만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보다는 다양한 효과 분석을 통해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도에서의 홍수추적 -수정 Muskingum-Cunge 방법- (Flood Routing on the River by Revised Muskingum-Cunge Method)

  • 홍종운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3
    • /
    • 1979
  • The predictien of a design flood hydrograph at a particular site on a river may be based on the derivation of a discharge or stage hydrograph at an upstream section, together with a method to route this hydrograph along the rest of the river. In order to limit this investigation to cases where the assumption like uniform rainfall may be reasonably valid, the derivation of unit hydrographs has been limited to catchment with an area less than 500 km2. Consequently, flood routing methods provide a useful tool for the analysis of flooding in all but the smaller catchment, particularly where the shape of the hydrograph as well as the peak value is required. The author, therefore, will introduce here a flood routing method on the open channel with a peak discharge of the catchment area concerned. The importance of being able to route floods accurately is also reflected in the large number of flood routing method which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year 1900. There are the modified puls method, Steinberg method, Goodrich method, Ekdahl method, Tatum's mean continuously Equation, wisler-Brater method, Muskingum, chung, and Muskingum-cunge (M-C) method and so on. The author will try to introduce a flood routing method which is revised Muskingum-cunge method. In calculating flood routing by the M-C method, whole variable parameters on the river were assumed to almost uniform value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In the results, the controlled flood rates at the 40km downstream on the river is appeared to decrease 22m$^3$/sec or 12 percent of the peak flood 170m$^3$/sec.

  • PDF

자료 지향형 수위예측 모형의 비교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data-derived stage prediction models)

  • 최승용;한건연;최현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47-565
    • /
    • 2011
  • 수위예측을 위해 개념적, 물리적 모형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법들 중 수위예측을 위해 단일의 우수한 모형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에는 수문학적 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 물리적 기반의 강우-유출 모형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자료 지향형 수위예측 모형이 널리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자료 지향형 모형 중 뉴로-퍼지와 회귀분석 모형의 수위예측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다. 제안된 두 모형을 한강수계의 왕숙천에 대해 적용하였다. 제안된 두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평균제곱근오차, Nash-Suttcliffe 효율계수, 평균절대오차, 수정 결정계수와 같이 4개의 통계지표들을 사용하였다. 모의결과 뉴로-퍼지 수위예측 모형이 다중선형회귀 수위예측 모형보다 좀 더 나은 예측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중소하천에서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한 정확도 높은 홍수정보시스템의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에 의한 도시홍수 예보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Urban Flood Warning System Using Regression Analysis)

  • 이범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B호
    • /
    • pp.347-359
    • /
    • 2010
  • 실시간 홍수예측시스템의 구성에서 장래 강우 양상(지속기간, 강우강도 등)에 대한 가정으로 인하여 홍수예측의 신뢰성을 높이기 어려웠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까지의 강우, 현재수위 및 상류지역의 수위를 기반으로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웹기반모형을 구성하였다. 대상유역인 대전광역시의 도심하천 구간에서 각 수위 및 강우관측소들 간의 자료들을 활용하고, 현재까지의 관측 자료들을 이용하여 최대 2시간 후의 수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자료의 전송은 MS-Excel 2007을 기반으로 하여 금강홍수통제소와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홈페이지의 강우 및 수위자료를 실시간으로 읽어오는 방식으로 자료를 연결하였다. 각각의 선행시간에 대하여 예측한 결과 실제 실측치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표준편차가 최대 5 cm, 평균 표준편차가 1~4 cm에 머무르고 있는 점 및 수정 결정계수의 값이 대부분 0.95 이상을 나타내는 점 등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예보모형이 안정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본 회귀모형의 특성이 유역반응의 정상성을 가정하여 구성된 것을 감안한다면 어느 정도 기간까지 정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가의 문제 및 시계열분석 기법의 적용은 추후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레이더 정량강우와 연계한 홍수유출 및 범람해석 시스템 확립 III. 2차원 홍수범람 모의 (Development of a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System Associated With 2-D Rainfall Data Generated Using Radar III. 2-D Flood Inundation Simulation)

  • 최규현;한건연;김상호;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347-3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의 전파양상을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2차원 범람홍수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 입력자료 구축을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으며, 레이더 정량강우-홍수유출-범람해석에 대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태풍 루사로 인한 감천 유역의 실제 제방붕괴 사례에 대한 적용을 실시하였으며,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자료인 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고, 지상의 강우관측자료와 최적으로 조합하기 위한 cokrig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레이더와 연계한 2차원 정량강우량은 유역에서의 홍수량 산정을 위해 이용되었으며, 유역에서의 홍수량은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홍수범람모의를 위해 이용되었다. 모의결과는 실제 홍수흔적과 하천에서의 홍수위 자료 등과 비교하여 잘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a River with GIS Application

  • Lee, Hong-Rae;Han, Kun-Yeun;Kim, Sang-Ho;Choi, Hyun-Sa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10권
    • /
    • pp.59-72
    • /
    • 1999
  • FIAS(Flood Inundation Analysis System) using Arc/Info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Namhan River basin. The DWOPER model is revised and expanded to handle simultaneous multiple overtopping and/or breaking, and to estimate the inundated depth and extents. The model is applied to an actual levee overtopping case, which occurred on August 23∼27, 1995 in the Namhan River. Stage hydrographs inside and outside of the levee are compared, then inundated discharges from overbank spilling are computed. The Graphic User interface is developed with AML. Two- and three-dimensional inundation map by Arc/Info are presented. The computed inundation extends agree with observations in terms of inundated depth and flooded area. The FIAS is useful for the analysis of flood hazards and preparation of inundation map for river basins.

  • PDF

댐의 홍수조절에 의한 경제적 효과분석 (Analysis of Economic Effectiveness for Flood Control of Dam)

  • 최승안;이충성;심명필;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383-396
    • /
    • 2007
  • 기존의 댐 계획이나 운영에서는 댐의 홍수조절 효과분석을 위해 댐 홍수조절 기여도 평가, 유황변화, 환경생태학적 변화 및 댐 하류의 수위저감효과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방법은 댐의 홍수조절에 의한 경제석 효과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댐의 치수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나 댐 사업의 타당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알리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의 홍수조절에 의한 효과를 보다 분명하고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위저감효과와 더불어 홍수피해 절감량이 얼마나 발생하였는지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에서는 홍수위 조건에 따라 위험상태기준을 잠재안전, 상대위험, 절대위험의 세 가지 상태로 정의하여 이에 따라 홍수피해 절감량을 제시한다. 구축된 방법을 남한강 유역의 2006년 7월 집중호우를 대상으로 충주댐의 홍수조절에 의한 여주지점에서의 수위차감효과와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피해경감량은 4조 1,890억원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댐의 홍수조절에 대한 경제적 효과분석은 댐의 홍수조절 효과나 증요성을 이해하는데 큰 기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낙동강 하류부의 감조구간에 대한 홍수해석 (Flood Analysis in the Tidal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이주헌;이은태;이도훈;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35-24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하류부의 감조구간에 대하여 실시간 홍수예보를 위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홍수시 감조구간내의 주요 홍수 예보지점에 대한 조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모형의검증을 위하여 부정류 해석법에 의하여 하도구간별, 유량규모별 최적 조도계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최적 조도계수를 적용한 부정류 해석 결과가 관측 수위수문곡선의 전반적인 형태를 매우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