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Gat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3초

낙동강 하굿둑의 배수문 증설에 따른 통합운영시스템의 구축 사례에 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Operation System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Due to the Drainage Gate Extension)

  • 김석주;임태수;김민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3-199
    • /
    • 2015
  • 낙동강 하굿둑에서는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낙동강 본류의 환경 변화로 설계홍수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낙동강 하류의 치수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을숙도 우안에 배수문을 증설하게 되었다. 하굿둑에서의 수량 확보, 홍수조절, 재해예방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좌안의 기존 배수문과 우안의 신설 배수문이 유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한정된 인력과 자원 하에서 이를 운영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자원시설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통합운영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통합운영시스템은 홍수 등의 위급한 상황에서도 부분적 결함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도록 높은 가용성과 결함 감내성을 지니도록 설계되었다. 운영과 유지관리에서의 편의성이 고려되었으며, 경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설비의 이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게 하였다. 통합운영시스템의 아키텍처는 향후 유역통합운영과 스마트 워터그리드에 대비하여 시스템간의 연계가 용이한 개방형 표준을 지향하였다.

한강홍수특성을 고려한 내배수 처리기법 (A Technique of Inland Drainage Control Considering flood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 이원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9-108
    • /
    • 1991
  • 도시화에 의한 도시수문사상의 급격한 변화는 도시지역의 주요한 내배수 처리시설인 유수지의 새로운 운영조작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 홍수 특성을 고려한 서울시 지역의 내배수처리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계강우양상의 변화에 따른 기존 유수지의 침수여부를 분석하고 한강의 계획홍수위에 대한 유수지의 수문안전도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수지 운영조작기준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순간강우강도법과 Huff의 4분위법에 의하여 설계강우양상이 결정되었으며, 유수지의 유입수문곡선은 ILLUDAS모형과 RRL법을 적용하여 얻어졌다. 기존의 유수지 배수펌프 운영조작기준은 유수지의 저류량과 펌프유출량이 선형적인 관계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본 연구 결과 유입량의 증감여부에 따라 유수지의 저류량과 유입량을 조합한 Gauss함수형태의 배수펌프 운영조작기준이 유수지의 침수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적정 수로 폭의 선정과 수문이 설치된 인공 해수호수의 수위 및 유속의 변화 분석 (Analysis of Alteration for Water Level and Velocity in Tidal Artificial Lake Installed Water Gate and Adoption of Proper Channel Width)

  • 장창환;김효섭;장석환;임남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9-301
    • /
    • 2012
  • 조석의 영향에 의해 해수의 유 출입이 용이한 해수호수를 친수 친환경으로 조성하는 계획이 인천 송도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해수호수의 수리동역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1차원 수치모형인 CEA모형과 2차원 수치모형인 FLOW2DH를 이용하여 수로의 폭에 따라서 변화하는 해수호수 내의 수위 및 유속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CEA모형을 이용하여 수로의 적정 폭은 100.0m로 선정되었고, 외해 조위와 인공호수 수위의 지체시간과 수로 내 최대 유속이 계산하였다. 이 결과를 FLOW2DH와 연동하여 해수호수 내의 수위 및 유속을 각각 선정된 관측점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인공호수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수문이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수치모형 실험을 추가하여 수문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유속이 창조 시 약 20%, 낙조 시 약 50%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다.

잔류유량 기반 복원력 지수를 통한 빗물펌프장 자동운영 성능 검토 (A Study of the Automatic Operation Performance of a Pump Station using Resilience Considering Residual Flows)

  • 김영남;이의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793-802
    • /
    • 2022
  • 증가하는 도시 침수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내배수시스템의 비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지 유입량과 외수위를 고려한 빗물펌프장 펌프/수문 자동운영 기술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잔류유량 기반 복원력를 사용하여 기존 운영과의 성능차이를 비교하였다. 제안된 자동운영은 3가지 펌프운영과 2가지 수문운영으로 구성되었다. 펌프운영을 위해 모니터링 지점의 수심을 사용하였으며, 모니터링 지점은 최초월류발생지점과 최대월류발생지점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대상유역은 대구 비산빗물펌프장이며, 강우자료는 재현기간 30년, 50년 및 70년으로, 지속시간 30분, 60분, 90분 그리고 120분으로 설정한 확률강우를 사용하였다. 적용결과 자동운영과 기존 운영의 복원력 차이는 최소 5.20E-05에서 최대 8.07E-04로 나타났다.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복원력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군장국가산단(장항지구) 호안 설계 (Design of Seawall at Jang-Hang Area)

  • 권오기;고장희;남세현;김성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99-402
    • /
    • 2007
  • This project is the 1st. stage for the foreshore reclamation at Jang-Hang area and its scope is to construct a seawall as outer facilities, road adjacent to the seawall and drainage gate. for the safe protections of the facilities at the reclaimed land hereafter, we adopted the mild slope rubble mound type for the seawall structure which was excellent in interrupting the wave overtopping, as a result of numerical & hydraulic model test about alternative 4 sections. For the flooding prevention of the reclaimed land, we planned the drainage system that could make the flood water level lower than the reclaimed land level. Also, we planned the eco-friendly waterfront area with 8 nature themes through the whole seawall sections.

  • PDF

범용적 농업 시스템 시뮬레이터(GASS)를 이용한 예비방류 모의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Pre-Release Simulation System Using Generic Agricultural System Simulator(GASS))

  • 송상호;이정재;김한중;이호재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39-542
    • /
    • 2003
  • In South Korea, flooding is controlled with large or small reservoirs scattered spatially over the territory. Because recent unexpected hard-rain events requires more flood control capacities, the pre-release system is considered with the most economical alternative. In this case time and volume of discharge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imulation. But, existing pre-release simulation system has the problem of specificity. Therefore, GASS is considered to estimate the pre-release time and volume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of pre-release system. This paper shows that pre-release simulation system could be constructed with arranging GASAtmosphere, GASWatershed, Reservoir, Gate components using GASS. It is also shows that GASS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constructing pre-release simulation system that is easy to use and is flexible to reflect the changing configurations of reservoir systems.

  • PDF

하류부 홍수영향을 고려한 댐 최적수문조작 (Optimum Dam Gate Operation Considering Downstream Flood Effect)

  • 김필식;김선주;신문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3-30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리 수문학적 모형인 HEC-GeoHMS, HEC-HMS 및 HEC-RAS 모형을 연계 응용 하여 성주댐 유역을 내상으로 수문분석, 홍수유출량분석, 하류 하천의 홍수영향분석 등을 실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 수문조작 기법을 개발 하는데 있다. 홍수유출량과 하류부 홍수영향분석 결과 유출량은 실측값과 $0.07\~0.12$의 상대 오차를 나타냈고 하류부는 실측값과 $0.06\~0.07$의 오차로 적용성이 입증되었다. 최적 수문조작을 위해 모의 방법인 RigidROM과 성주댐 수문조작 방법을 비교해 본 결과 강우량 $350\~470mm$ 구간에서는 모의 방법이 $470mm\~550mm$ 구간에서는 성주댐 수문조작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댐 및 제방의 홍수배제 수문으로서의 Fusegate의 적용성 검토 (A Study on Applicability of Fusegate as a Flood Control Gate of Dam and Levee)

  • 강경철;전인옥;서일원;박성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36-74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Fusegate의 방류량 증대효과, Fusegate의 역학적 거동 확인 및 천변저류지의 활용성을 목적으로 수리실험과 수치실험을 병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Fusegate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Fusegate를 설계 및 제작하여 역학적 거동을 확인 및 이해 할 수 있었으며 방류량 증대효과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하천과 Fusegate가 설치된 천변저류지가 있는 하천의 극한 홍수 시 비교를 통해 천변저류지가 설치된 하천의 홍수방어능력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Fusegate 및 천변저류지의 활용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Fusegate의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태양광 전동수문 시범사업 (Pilot Project of Solar Energy Flood Gate)

  • 이종남;정광근;이광야;김해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93-198
    • /
    • 2005
  • The solar energy floodgate which discusses will minimize a quotient bringing up for discussion friction resistance and it will do to write a disturbance power, with the base which will reach it will be able to use the solar power unit in order. It is a plan which to magnification supply the practicality and will give proof will the effort with the irrigation facility of the farming village. Magnification supply of the solar energy floodgate which it sees hazard the stack supervisor and the possibility the use against the farmer and the easy frost does the monitoring against and the work which it complements is necessary.

  • PDF

확산모형에 의한 하구에서의 오염물질이동 예측(수공) (Prediction of Pollutant Transport by Dispersion Model on Estuary)

  • 박영욱;박상현;천만복;이봉훈;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71-377
    • /
    • 2000
  • Environmental impact on a land reclamation project, Hwaong tidal barrier was studied using the dispersion and advection model to predict the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from freshwater reservio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y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during a tidal cycle appeared to be extinguished at atmost all points after two tidal cycle. Peak concentration near the sluice gate is found out to be higher during the spring tide than neap tide. Equi-concentration contour line appeared to distributed a longer according to line of sea dike in spring tide than neap tide. The reasons is because influence by currents of northwest direction is a stronger, compared to spring tide and neap tide in the flood t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