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noid, Nitric oxide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5초

Evaluation of the EtOAc Extract of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as a Potential Skincare Cosmetic Material for Acne Vulgaris

  • Kim, Chowon;Park, Jumin;Lee, Hyeyoung;Hwang, Dae-Youn;Park, So Hae;Lee, Heeseob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5호
    • /
    • pp.594-601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extracts. The EtOAc extract of lemongrass had DPPH, TEAC, and nitric oxide-scavenging activity assay results of 58.06, 44.14, and 41.08% at the concentration of 50, 10, and 50 ㎍/ml, respectively. The EtOAc extract had higher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than the 80% MeOH, n-hexane, BuOH, and water extracts and comparable whitening activity toward monophenolase or diphenolase. Also, the EtOAc fraction had higher lipase inhibi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Cutibacterium acnes among extracts which is known to an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progression of inflammatory acne vulgaris, and an opportunistic pathogen present in human skin.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in the EtOAc extract were 132.31 mg CAE/g extract and 104.50 mg NE/g extract, respectively.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lemongrass extracts were analyzed by LC-MS. This study confirms that lemongrass extracts have potential use as cosmetic skincare ingredients. Thus, lemongrass can be considered a promising natural source of readily available, low-cost extracts rich in antioxidant, skincare, and antimicrobial compounds that might be suitable for replacing synthetic compounds in the cosmeceutical industry.

The Effect of Luteolin on the Modulation of Vascular Contractility via ROCK and CPI-17 Inactivation

  • Hyuk-Jun, Yoon;Dae Hong, Kang;Fanxue, Jin;Joon Seok, Bang;Uy Dong, Sohn;Hyun Dong, J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2호
    • /
    • pp.193-199
    • /
    • 2023
  • In this investigation, we made a study of the efficacy of luteolin (a flavonoid found in plants such as vegetables, herbs and fruits) on vascular contractibility and to elucidat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relaxation. Isometric contractions of denuded muscles were stored and combined with western blot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hosphorylation of myosin phosphatase targeting subunit 1 (MYPT1) and phosphorylation-dependent inhibitory protein for myosin phosphatase (CPI-17)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luteolin on the RhoA/ROCK/CPI-17 pathway. Luteolin significantly alleviated phorbol ester-, fluoride- and thromboxane mimetic-elicited contractions regardless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esis, implying its direct effect on smooth muscle. It also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fluoride-elicited elevation in pCPI-17 and pMYPT1 levels and phorbol 12,13-dibutyrate-elicited increase in pERK1/2 level, suggesting depression of ROCK and PKC/MEK activity and ensuing phosphorylation of MYPT1, CPI-17 and ERK1/2.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uteolin-elicited relaxation includes myosin phosphatase reactivation and calcium desensitization, which seems to be arbitrated by CPI-17 dephosphorylation via ROCK/PKC inhibition.

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through NF-κB Signaling Pathway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 Hye-Jeong Park;So-Yeon Han;Da-Yoon Lee;Seo-Yoon Park;Jun-Hwan Jeong;Yoon-Jae Kwon;Tae-Won Jang;Jae-Ho Par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9-109
    • /
    • 2022
  • Astilboides tabularis (A. tabularis) has been thought to be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could help to prevent diabetes for centuries. A. tabularis has been reported to contain phytochemicals (catechin, chlorogenic acid, and rutin), which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 focused o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A. tabularis (EAT) through NF-κB signaling pathway. Phytochemicals of EAT were analyzed by total flavonoid and phenolics assay, its content was 219.2 ± 2.01 and 524.7 ± 0.80 mg/g respectively. EAT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which cau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EAT suppressed mRNA levels of iNOS, COX-2, and cytokines (IL-6, IL-1β, and TNF-α). EA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p65 through the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of IkB-a, and the result of immunofluorescence showed that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p65 from the cytoplasm to the nucleus.

  • PDF

Effect of Kaempferol on Modulation of Vascular Contractility Mainly through PKC and CPI-17 Inactivation

  • Hyuk-Jun Yoon;Heui Woong Moon;Young Sil Min;Fanxue Jin;Joon Seok Bang;Uy Dong Sohn;Hyun Dong J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3호
    • /
    • pp.361-367
    • /
    • 202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kaempferol (a flavonoid found in plants and plant-derived foods such as kale, beans, tea, spinach and broccoli) on vascular contractibility and aimed to clarify the detailed mechanism underlying the relaxation. Isometric contractions of divested muscles were stored and linked with western blot analysis which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hosphorylation of myosin phosphatase targeting subunit 1 (MYPT1) and phosphorylation-dependent inhibitory protein for myosin phosphatase (CPI-17) and to estimate the effect of kaempferol on the RhoA/ROCK/CPI-17 pathway. Kaempferol conspicuously impeded phorbol ester-, fluoride- and a thromboxane mimetic-derived contractions regardless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esis, indicating its direct effect on smooth muscles. It also conspicuously impeded the fluoride-derived elevation in phospho-MYPT1 rather than phospho-CPI-17 levels and phorbol 12,13-dibutyrate-derived increase in phospho-CPI-17 and phospho-ERK1/2 levels, suggesting the depression of PKC and MEK activities and subsequent phosphorylation of CPI-17 and ERK1/2. Taken together, these outcomes suggest that kaempferol-derived relaxation incorporates myosin phosphatase retrieval and calcium desensitization, which appear to be modulated by CPI-17 dephosphorylation mainly through PKC inactivation.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 염증 억제 효과 (Total Phenolic Compound, Total Flavonoid Compound And Anti-Inflammatory Inhibitory Effect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 이정선;김춘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54-262
    • /
    • 2018
  •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각 126.4 mg/g, 223.17 mg/g으로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인 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1차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여 피부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첩포 24 시간 후와 첩포 제거 24 시간 후에도 피부에 대한 자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으로 인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에 대한 피부 독성이 적고 NO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렁쿠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Nakai) Hara)

  • 오유진;조해진;우현심;변준기;김영수;김대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65-972
    • /
    • 2020
  •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 지렁쿠나무는 관절염 치료제로 동양의 민간요법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쿠나무의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식품 보존료 등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렁쿠나무의 잎, 가지 부위를 메탄올 추출물로 제조하여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과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였다. 지렁쿠나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2±0.1 mg/g and 1.73±0.1 mg/g로 측정되었고,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IC50 값이 124.0 ㎍/ml (DPPH), 85.6 ㎍/ml (ABTS)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은 각각 IC50 값이 183.5 ㎍/ml와 323.9 ㎍/ml로 우수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게다가 RAW 264.7 cell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시켜 nitric oxide (NO) 억제효과 실험에서 지렁쿠나무 추출물의 IC50 값을 측정하였을 때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는 농도는 36.7 ㎍/ml이고, 추출물 100 ㎍/ml의 농도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렁쿠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항당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지렁쿠나무가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지렁쿠나무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동정과 메커니즘 규명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패랭이꽃 추출물의 항산화, Nitric Oxide 생성저해, 암세포 성장 및 부착 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Dianthus chinensis L. Extract and Its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Nitric Oxide Production and Cancer Cell Growth and Adhesion)

  • 이중재;서영교;이준호;주지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4-5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패랭이꽃의 항산화 성분 함량을 측정하고 패랭이꽃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항암 활성을 in vitro 수준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패랭이꽃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각각 19.0 mg GAE/g, 65.7 mg QE/g, $95.0{\mu}g/g$으로 측정되었다. 패랭이꽃 추출물($1,000{\mu}g/mL$)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44.1%, 철환원력은 51.1%로 같은 농도의 ascorbic acid의 활성보다는 낮았지만 의미 있는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패랭이꽃 추출물은 RAW 264.7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대조구 대비 7~23% 수준으로 억제하는 농도 의존적 활성을 나타내었고, H1299 폐암세포와 HCT116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대조구 대비 각각 2~81%(48~96시간 처리 시점)와 10~80%(72시간 처리시점)로 억제하는 농도 의존적 활성 또한 나타내었다. 패랭이꽃 추출물은 암세포의 부착을 억제하는 활성이 H1299와 HCT116 세포에서 모두 나타났으나 HCT116 세포에서 나타난 활성($250{\sim}1,000{\mu}g/mL$ 이상의 농도 처리시 대조구 대비 26~40% 부착 수준)이 H1299 세포에서 나타난 활성($1,000{\mu}g/mL$ 농도 처리 시 대조구 대비 55% 부착 수준)보다 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패랭이꽃 추출물은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활성이 유의미한 수준이고 세포 수준의 항염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in vivo 수준에서 재현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관련 기전을 탐색하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BV-2 미세교세포에서 신경염증 매개체, MAP kinase경로, 세포주기의 조절에 의한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through Regulation of Neuroinflammatory Mediators, the MAP Kinase Pathway, and the Cell Cycle)

  • 이현아;김지은;최준영;성지은;윤우빈;손홍주;이희섭;강현구;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1-342
    • /
    • 2020
  • 미세교세포(Microglial cells)에서 신경염증반응(neuroinflammatory responses)의 억제는 알츠하이머질환, 파킨슨질환, 헌팅턴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을 치료하기 위한 주요 표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sis)은 열, 기침, 신장 질환, 유방암, 염증성질환 및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 오랫동안 사용 되어온 전통 치료제(Traditional medicine)이다. 본 연구에서는 lipopolysaccharide (LPS)로 활성화된 BV-2 미세교세포에서 항염증효과가 있는 천문동 뿌리 열수추출물(Aqueous extract from A. cochinchinesis root, AEAC)의 신경보호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먼저, 어떤 유의적인 세포독성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페놀(phenol), 사포닌(saponin)을 함유하는 AEAC를 4가지 농도로 처리된 BV-2세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nitric oxide (NO), cyclooxygenase-2 (COX-2) mRNA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수준은 AEAC+LPS 처리군에서 비하여 21%정도 감소하였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과 IL-1β)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6와 IL-10)농도에 대한 유사한 감소는 비록 감소비율은 다르지만, Vehicle+LPS 처리군에 비해 AEAC+LPS 처리군에서 검출되었다. 더불어, LPS 처리 후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의 인산화수준의 증가는 AEAC 전처리군에서 유의하게 회복되었고, 세포주기에서 G2/M의 억제(arrest)는 AEAC+LPS 처리군에서 개선되었다. 또한, LPS 처리로 유도된 ROS의 증가도 AEAC 전처리군에서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AEAC가 MAPK 신호전달 경로, 세포주기 및 ROS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의 조절을 통해 LPS 자극에 대한 항신경염증 활성을 유도함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inhibition effect of domestic and foreign fermented black tea extracts)

  • 문교하;김경지;이유림;김종철;심두보;정강현;이권재;안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54-4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 3종과 외국산 홍차 7종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국내산 홍차인 보성에서 총 폴리페놀(330.13 mg GAE/g)과 탄닌(285.65 mg TAE/g)의 함량을 보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590.11 mg CE/g)가 외국산 홍차와 유사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테아닌 함량은 국내산 홍차인 하동(651.50 mg%)이 외국산 홍차보다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과 환원력은 25 ㎍/mL 농도에서 보성 홍차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5 ㎍/mL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제주(63.89%), 보성(59.73%)과 하동(52.76%)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대식세포에서의 세포보호 효과는 50-100 ㎍/mL 농도의 모든 홍차 추출물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고 200 ㎍/mL 농도에서는 보성이 98.22%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세포 내 NO 생성 억제 활성은 국내산 하동, 제주와 보성 홍차의 모든 농도에서 외국산보다 높은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다. LPS에 의해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여 50 ㎍/mL의 보성홍차 추출물에서 SOD-1 발현이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1.39배 증가하였다. 또한, GST발현은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에서 각각 1.52배와 1.46배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홍차와 외국산 홍차를 비교 평가한 결과 보성과 제주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단백질 발현은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밀접하게 관여한 것으로 보이며 하동 홍차의 NO 생성 억제 활성은 높은 테아닌 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국내산 홍차 추출물인 보성, 제주와 하동 홍차가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을 함유하는 정제 개발과 성분분석 및 약리효능 평가 (Evaluation on Pharmacological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Hwanggeumjakyak-tang Formulation for Tablet)

  • 김세진;이지범;최혜민;이하영;김민주;이미화;김정옥;이화동
    • 생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2-371
    • /
    • 2018
  • Hwanggeumjackyak-tang (HJT) composed of Scatellaria baicalensis Georgi, Paeonia Lactiflora and Glycyrrhizae uralensis Fischer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widely used for acute enteritis. In order to develop the tablet formulation of HJT, evaluation of the flow properties, thickness, diameter, hardness, friability and disintegration was carried out on four HJT granules according to mixed content of seven additives. Simultaneous analysis used HPLC method was performed of HJT tablet and was determined of the seven marker components; Albiflorin, Paeoniflorin, Liquiritin, Baicalin, Baicalein, Glycyrrhizic acid and Wogonin. The b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effect of HJT on anti-oxidation and pro-inflammation mediated by LPS-stimulation. We confirmed that both of HJT-Decoction (HJT-D) and HJT-Formulation (HJT-F) have the similar contents 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and inhibited the secretion of nitro oxide (NO), interleukin $(IL)-1{\beta}$,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OS), $IL-1{\beta}$, IL-6, $TNF-{\alpha}$. Therefore, the developed formulation for tablet of HJT would provide chemically and biologically the same effect compared with decoction of HJ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