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 retardant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Cure Characteristics, Mechanical Properties, Abrasion Property and Thermal Properties of EVM/EPM Blends Containing Flame Retardants

  • Sung, Il Kyung;Lee, Won Ki;Park, Chan 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2권2호
    • /
    • pp.105-113
    • /
    • 2017
  • The curing behavior, mechanical properties, hot-air aging resistance, abrasion properties,thermal properties, etc., of EVM/EPM/APP (ammonium polyphosphate)/DPER (dipentaerythritol)/EG (expandable graphite) and EVM/EPM/ATH (aluminium trihydroxide) flame retarding systems in ethylene vinyl acetate rubber (EVM) blends with EPM (ethylene propylene rubber) were sequentially examined. For both flame retarding systems, the torque values increased with the content of EPM rubber and with the vulcanization time. As the content of EPM rubber increased, the scorch time became shorter, whereas the optimum cure time followed an increasing trend. For the EVM/EPM/APP/DPER/EG flameretarding system, as the content of EPM rubber increased, the hardness did not change,whereas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decreased. A hot-air aging resistance test at $150^{\circ}C$ showed that the heat resistance decreased with the EPM content regardless of the kinds and contents of flame retardants. As the EPM content increased, the abrasion rate became higher and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VM/EPM/APP/DPER/EG flame retarding systems exceeded that of the EVM/EPM/ATH flame retarding counterparts. In comparison with the EVM/EPM/ATH flame retarding systems,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EVM/EPM/APP/DPER/EG flame retarding system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친환경 난연제와 탈크를 첨가한 목재·플라스틱 복합재의 기계적, 열적, 형태학적 및 수분흡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Thermal, Morphological, and Water Absorption Properties of Wood Plastic Composites (WPCs) Filled with Talc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lame Retardants)

  • 이단비;김범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4
    • /
    • 2016
  • Wood plastic composite (WPC) is a green composite made of wood flour and thermoplastics to provide better performance by removing the defects of both wood and plastics. However, relatively low thermal stability and poor fire resistance of wood and plastics included in WPC have been still issues in using WPC as a building material for interior applic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flame retardants (EFFRs) on the mechanical, thermal, morphological, and water absorption properties of wood flour (WF)/talc/polypropylene (PP) composites in comparison with neat PP. The whole EFFRs-filled WF/talc/PP composites showed higher values in flexural strength, flexural modulus, and impact strength compared to neat PP. In thermal properties, aluminum hydroxide (AH)-filled composite showed a $36^{\circ}C$ reduction in maximum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T_{max}$) compared to neat PP, but magnesium hydroxide (M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rmal stability of filled composite by showing the highest $T_{max}$. From this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MH has potentials in reinforcing PP-based WPCs with improvement of thermal stability.

Cyclophosphazene 고리를 갖는 ABS용 난연제 (Flame Retardants Containing Cyclophosphazene Ring for ABS)

  • 신영재;신연록;박수진;신재섭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273-277
    • /
    • 2007
  •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은 난연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cyclophosphazene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이들을 ABS를 위한 난연제로 사용하여 보았다. Chlorocyclophosphazene에 phenol, catechol, aniline, 1,2-diaminobenzene 등을 반응시켜 각각의 유도체들을 합성하였으며 이들이 ABS에 얼마나 잘 난연성을 나타내는지를 UL94, LOI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난연제를 함유하는 ABS 시료의 물성도 알아보았다. Catechol로부터 합성된 유도체가 가장 우수한 난연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phenol로부터 합성된 유도체의 경우에는 novolac과 같은 고분자와 혼합한 다음에 첨가하면, 같은 양의 첨가로 더 우수한 난연성을 보여 주었다.

방사선에 의한 폴리에칠렌의 난연성전선 및 케이블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 of Irradiation to Polyethylene for Flame Retarded Wire and Cable Insulation)

  • Young Kun Kong;Hoon Seun Chang;Chong Kwang Lee;Jae Ho Cho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245-253
    • /
    • 1981
  • 고분자피복재 중 polyethylene은 전기적 절연성 및 내방사선성이 좋으나 난연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이 단점을 개질하였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polyethylene에 여러 종류의 난연제를 고착시켰는데 grafting 방법과 blending후 crosslink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grafting시키는 경우 시료에 난연제가 고착되는 량은 방사선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Grafting 방법으로 polyethylene에 난연제를 고착시킬 때 시료를 팽윤(swelling)시켜서 난연제를 grafting시켜야 한다. Blending 한 후 crosslinking시킨 경우 시료와 난연제의 량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blending하여 crosslinking시킬 수 있는 이질이 있다. 난연제를 고착시키는 2가지 방법중 blending후 crosslinking 시키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 PDF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with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 이종훈;나중현;이대회;김명덕;공정호;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69-575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PP)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 (MMT)의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DBDPO)와 클로로파라핀 왁스 (CPW)를 철가하였을 때의 난연특성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는데, 콘 칼로리미터와 한계산소지수 (LOI)의 측정을 통하여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른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 DBDPO와 CPW를 첨가하였을 때, 난연특성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CPW가 DBDPO보다 약간 우수한 난연특성을 보였다. 한계산소지수 측정결과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첨가하면 폴리프로필렌의 연소특성이 가연성 영역 (LOI<19)에서 난연성 영역 (LOI>20)으로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여 나노복합화를 하였을 때의 난연특성이 3배 이상 향상되었는데, 이로부터 난연제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보다 몬모릴로나이트를 나노복합화한 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이 난연특성의 향상에 휠씬 유리하였다.

Simple synthesis of Biphosphonates with Excellent Flameproofing Properties

  • Cao, Yang;Zhang, Weiwei;Yang, Xufeng;Yang, Jinfei;Zhi, Huizhe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187-190
    • /
    • 2014
  • Four excellent halogen-free biphosphonate flame retardants (EBDMP, EBDEP, MBDMP, MBDEP) were synthesized through polycondensation and Arbuzov rearrangement reactions without using any solvents. The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ESI-MS, FT-IR and $^1H$ NMR. The application of EBDEP in polyurethane soft foam was studied and the results illustrated its excellent flame-proofing properties.

난연처리 제재목으로 제조한 구조용 집성재의 강도 성능평가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Manufactured with Fire Retardants Treated Lumbers)

  • 손동원;엄창득;박준철;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77-482
    • /
    • 2014
  • 최근 목재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화 되면서 목조 주택뿐만 아니라 공공건물 및 놀이시설 등에 고내구성 집성재에 대한 시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국산 낙엽송으로 제조한 구조용 집성재에 적합한 난연처리 기술개발 및 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난연처리된 국산 낙엽송 제재목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고 제조 후 집성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낙엽송 난연처리재의 경우 구조용 집성재의 강도조건에는 만족하였으나 난연제 처리에 의한 강도적인 감소와 박리 발생 등은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집성재의 제조 후 주입식 난연처리 혹은 도포식 난연처리 기술 개발이 요구되었다.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및 내열성 연구 (Study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Resistance Properties of Phenolic Foam and Polyurethane Foam)

  • 이주찬;서중석;김상범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페놀 폼의 난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계 난연제의 첨가에 따른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난연제가 첨가된 페놀 폼과 폴리우레탄 폼을 각각 열분석(TGA)을 통하여 열분해 거동을 알아보았고 Con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열방출량(HRR), 연기발생량(TSR) 및 CO 및 $CO_2$ 발생량과 산소한계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를 통하여 난연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페놀폼이 폴리우레탄 폼에 비해 초기 분해는 빠르지만 $800^{\circ}C$에서 잔존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낮은 열방출속도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질량 감소율, 연기발생량도 폴리우레탄 폼보다 낮아 우수한 난연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