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species composition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8초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후 태안 만리포 해빈의 천해 어류 종조성 변화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Shallow Water Fish in Malipo Beach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off Taean)

  • 이정훈;권순열;홍지민;황학빈;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0-321
    • /
    • 2014
  • 2007년 12월의 태안 Hebei Spirit 유류 유출지점으로부터 약 10 km 떨어진 액상의 유류 오염 피해를 직접 받은 만리포 조간대 천해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어류는 2008년 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월별로 그믐 사리 간조 때 주야 각 5회씩 지인망으로 채집하였다. 월별 주야간 어류 종조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08년에는 총 21종, 1,032마리, 6,544.2 g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2009년에는 31종, 4,206마리, 35,659.6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출현한 어류는 소형어이거나 유어들이었으며, 채집량이 많은 어류들은 연안 주거종이었고 계절에 따라 출현하는 회유종은 양적으로 적었다. 출현종 가운데 가숭어 (Chelon haematocheliu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복섬 (Takifugu niphobles)과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가 조사 기간 중 우점하였다. 2008년의 월별 채집생물량과 종 다양성지수는 2009년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2008년 2월에서 6월까지는 일부 주거종들 만이 채집되어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낮았고, 5월에 가장 낮았으며 7월 이후 채집량이 증가하였다. 2009년에는 봄에 수온이 상승하며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증가하여 하계에 최대값을 보이고 가을에 낮아지는 전형적인 온대 천해 어류 종조성 변화를 보였으며, 오염 피해가 적었던 곳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만리포에서 오염 이후 초기 몇 달간은 천해어류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적었던 것은 잔존유류의 영향과 조간대 모래 세척 등의 유류 방제작업에 따른 서식처 교란 때문으로 보인다. 2008년 9월 이후 월별 채집량이 2009년의 같은 달 채집량과 큰 차이가 없어 2008년 9월 이후에는 잔존 유류 영향이 어류 종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마이크로네시아 축 환초내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from Sea Grass Bed in Chuuk Lagoon, Micronesia)

  • 최영웅;윤건탁;이대원;김태훈;김윤칠;박흥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41-452
    • /
    • 2013
  • The fish species composition of seagrass bed in Chuuk Lagoon, Micronesia, was investigated every month from August 2009 to July 2011, using a seine net for fish caught. A total of 32 fish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under 6 orders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se fish, Atherinomrus lacunosus, and Strongylura incise were the major dominant species representing 85.0% in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 from August to December 2009, 2010. The biomass was highest in September 2010 and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September 2009, April, August 2010 and July 2011. The 14 dominant species could be divided into 2 groups of 3 individuals based on appearance patterns; (1) resident species and temporal species (9 species, e.g. Atherinomrus lacunosus), juvenile and adults living in seagrass beds and juveniles living only in seagrass beds; (2) temporal species (2 species, e.g. Hemiramphus lutkei), juveniles living only in seagrass beds; (3) temporal species (3 individuals, e.g. Caranx sexfasiatus). For some species, the appearance patterns were affected by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 currents, salinity, tide, and structure of fish assemblage remain unclear. Further studies that regularly monitor sea grass habitats are necessary to clearly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ea grass habitat use patterns in fish assemblages.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5
    • /
    • 2015
  •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 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1. Demersal fish)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83
    • /
    • 1996
  • 1991년 5월부터 1992년 2월 사이 천수만 입구와 만 내구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저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양적변동 및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방조제 건설 직후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54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며,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민태 (Johnius belengerii), 등가시치 (Zoarces gilli),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 및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가 우점하였다. 출현종의 정점간 차이는 적었으며, 난수기인 봄에서 가을 사이 밀도가 높았고 겨울에는 낮았다. 1986년 같은 해역에서 조사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펄질을 선호하는 돛양태는 증가하였고, 주둥치는 인위적 환경 변화가 큰 천수만을 포함한 서남 연안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감소 경향을 보인 어류는 조간대 가까이에 사는 실망둑, 조간대 가까운 천해역에서 어린 시기를 보내는 풀망둑 등으로 방조제 건설 이후 비주기적으로 유입되는 방조제 내부의 부영양화된 밀도가 낮은 민물이 천해역 어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PDF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54-664
    • /
    • 1998
  • 1992년 3월에서 1993년 1월 사이 만입구에 설치된 소형정치망 어획 자료를 수집하여 천수만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1981$\~$82년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63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멸치(Engraulis japonicus), 까나리 (Ammodytes penonatus), 횐베도라치 (Enedrias fangi) 및 밴댕이 (Sardinella zunasi)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횐베도라치의 치어와 멸치, 까나리, 밴댕이 등의 성어가 대량 가입되었으며, 이 어종들은 이른 여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 8월부터 봄에 산란부화한 부어류들의 유어가 가입하여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늦가을부터는 이 어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빠져나가 생체량이 감소하였다. 본 조사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은 1981$\~$82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양적으로는 1981$\~$82년에 비하여 높았다. 이것은 1992년 봄과 가을에는 평년 수온에 비하여 약 $2^{\circ}C$ 정도가 높은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둥치 (Leiogathus nuchalis)의 증가는 수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경남 통영의 소규모 잘피밭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 김준섭;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1-200
    • /
    • 2012
  • 경남 통영 풍화 잘피밭에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0종, 5,511개체, 6,933.4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베도라치(Pholis nebulosa),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볼락(Sebastes inerm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로 총 출현 개체수의 93.4%를 차지하였다. 출현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잘피의 밀도는 2011년 4월이 가장 높았으며 2011년 1월이 가장 낮았다. 수온과 잘피의 밀도 및 중량, 주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이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 잘피밭이 많은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거문도 연안 잘피밭과 주변해역의 어류 종조성 및 양적변동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and around Geomundo)

  • 신경수;한경호;백정익;이성훈;이원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484-49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chthyofauna between the eelgrass bed waters located in the open sea and the nearby sea free of eelgrass, and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26 species. Comparing the fish collected on the eelgrass bed (St.2) of Geomun-do coast with the fish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St.1) void of the nearby eelgrass bed,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413 individual with 16,110.6g in weight while the fish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290 individuals with 12,961.5g in weigh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size and biomass of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were higher than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diversity, richness, evenness index except dominance were also much higher even i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여수와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부유성 난 및 자치어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 between Yeosu and Namhae, Korea)

  • 고수진;서수현;이성훈;유태식;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9-164
    • /
    • 2019
  • 이 연구는 여수시와 남해군 연안에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에 걸쳐 계절별로 총 8회 수집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7개의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총 6개 분류군으로, 우점종은 멸치, 주둥치, 전어였고, 이 3종은 총 개체수의 96%를 차지하였다. 연구기간 중 출현한 자치어는 총 5목 11과 17개 분류군으로 우점종은 멸치, 주둥치, 전어로 부유성 난과 같았으며, 이 3종은 총 개체수의 70%로 높은 비율이었다. 자치어의 다양성 지수는 여름에 가장 높았고(H'=1.78) 겨울에 가장 낮았다(H'=1.34).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4. 저층자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Korea 4. Fishes Collected by Bottom Gill Nets)

  • 안용락;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86-694
    • /
    • 2003
  • Monthly fish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bottom gill nets and analyzed to study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Korea in 1998.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9 fish species representing 30 families were collected. The fish assemblages predominantly consisted of Limanda yokohamae, which accounted for $53.3\%$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42.2\%$ in the biomass. The fish species, which had over 100 individuals, included Cynoglossus abbreviatus, Ditrema temmincki, Hexagrammos otakii, and Stephanolepis cirrhifer. These four species accounted for $24.1\%$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24.3\%$ of the biomass. More fish species were collected in May and June than in any other month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amount of biomass peaked in April and May and reached a low in August. While the predominance of L. yokohamae caus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by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the predominance of Platycephalus indicus caused the lowest species diversity by biomass in July. Although gill nets show a strong selectivity for the target species or for size, gill net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ishing gear to collect fish in waters with rough bottoms, like rocky reefs, where other kinds of fishing gear such as trawls can not be used.

기장 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in Coastal Waters of Gijang, Korea)

  • 이동진;강수경;최광호;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83-996
    • /
    • 2014
  • Fish catches by a set net from January 2007 to November 2009 were analyzed to assess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in the coast of Gijang, Korea. Over 389 kg fish representing 78 species, 45 families and 17 orders were collected during three years of the study. Dominant species wer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herring Clupea palasii, and these three species comprised 67.3%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60.7% of the total biomass. Size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species for jack mackerel, anchovy and herring ranged from 2.2 cm to 22.6 cm, from 2.5 cm to 14.8 cm, from 4.0 cm to 29.0 cm in fork length, respectively. Anchovy was the only species that occurred throughout all seasons in the Gijang coast. Generally,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in spring (April to June) when sea temperature began to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