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rotection safety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4초

원자력발전소 케이블 난연성능 검증 방법론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on Validation Methodology of Fire Retardant Performance for Cables in Nuclear Power Plants)

  • 이상규;문영섭;유성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0-144
    • /
    • 2017
  • Fire protection for nuclear power plants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Defense in Depth" to achieve the reactor safety shutdown. This concept focuses on fire prevention, fire suppression and safe shutdown. Fire prevention is the first line of "Defense in Depth" and the licensee should establish administrative measures to minimize the potential for fire to occur. Administrative measures should include procedures to control handling and use of combustibles. Electrical cables is the major contributor of fire loads in nuclear power plants, therefore electrical cables should be fire retardant. Electrical cables installed in nuclear power plants should pass the flame test in IEEE-383 standard in accordance with NUREG-0800, "Standard Review Plan for the Review of Safety Analysis Reports for Nuclear Power Plants". To assure the fire retardant of electrical cables during design life, both aged and unaged cable specimens should be tested in accordance with IEEE-383. It can be generally thought that the flammability of electrical cables has been increased by wearing as time passed, however the results from fire retardant tests performed in U.S.A and Korea indicate the inconsistent tendency of aging and consequential decrease in flammabilit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 methodology for validation of fire retardant performance w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review of the results from fire retardant tests.

성능적인 화재안전성평가를 위한 주요가연물의 화재성장율 예측에 관한 연구(1) (A Prediction study on the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 for Fire Safety Assesment of PBD(1))

  • 서동구;김동은;김봉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29-132
    • /
    • 2012
  • 본 연구는 건축물의 초기화재성상의 주요인자인 화재성장율 예측을 위하여, 일본 송산(松山)모델을 사용하여 예측값을 도출한 결과, 화재성장율은 $0.0144t^2$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실규모실험(ISO-9705)와 FDS 해석값과 비교한 결과, $Q_{peak}$을 고려한다면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지만 약100초 이상의 결과에서는 환기인자 등에 관한 변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주택 성능등급 표시제도 시행에 따른 소방시설 항목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Improvement of the Fire-Protection System Category under the Enforcement of Housing Performance Rating System)

  • 이수경;이동용;홍대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26-132
    • /
    • 2010
  • 2006년 1월 9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주택 성능 등급 표시제도는 능동적(Active)대책으로서의 인명안전 확보에 대해 어느 정도의 등가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품질 및 성능 향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화재 안전의 확보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한 방향의 정책이라 보여 진다.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의 항목 중 "화재-소방" 분야의 등급시행 활성화를 위해 각 성능 등급 분야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세부 평가 방식에 대한 합리적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현행 주택 성능등급 제도에 따른 "화재-소방" 분야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성능 등급 세부 항목에 대한 배점 기준을 상향시키는 제도적 정부 시책이 우선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하고, 아울러 소방 관계법 규정의 시급한 관련 법규 제정이 필요 하다는 전제조건이 선결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세부 평가기준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화재감지기배치의 공학적연구 (Automatic Fire Detector Spacing Calculation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 박동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5-23
    • /
    • 2010
  • 현재의 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하는 화재감지기의 배치방법은 면적에 따라 규정된 숫자를 적정하게 배치하는 수준이다. 이 기준은 과학적인 근거는 가지고 있지 못하다. 외국의 기준을 도입하여 그에 따라서 설치하고 있을 뿐이다. 소방시설을 설계하는 방법에는 화재안전기준과 같이 명문화 된 규정에 따르는 규범위주설계(Prescriptive-based)와 화재역학, 구조역학, 재료역학, 유체역학, 열역학 등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가 있다. 현재로서는 성능위주설계가 활성화 되지 않았지만, 최근 소방시설공사업법은 성능위주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소방시설을 설계 할 수 있도록 개정('05. 8. 4)되었으며 그 시행령('07, 1. 24)에서 성능위주설계를 적용할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를 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를 최적의 위치 및 거리에 설치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공식의 도입과 공식을 Software로 계산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계산하고 규범위주설계에 따라 배치한 화재감지기의 상태와 비교 분석하며 향후 성능위주설계 방법으로서 정착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

소규모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 중대산업재해 중심 (A Study on the Efficient Countermeasure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in the Small Businesses: On the Basis of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 이병림;최유정;유삼열;최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07-519
    • /
    • 2022
  • 연구목적: 소규모 사업장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준수하는 효율적이고 실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의 연계, 프로세스 접근방법 등을 활용한 중대재해처벌법 준수방안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충실히 이행하면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준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이행하고 점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결론: 프로세스 접근방법과 이행점검 체크리스트를 적극 활용하여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운영하면 중대재해처벌법 준수는 물론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지속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와 잠재적 안전사고위험도 분석 (Fire Officials and Potential Safety Risk Analysis of Job Stress)

  • 민세홍;박종덕;권용준;김석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74-177
    • /
    • 2012
  • 타인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신의 안전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임에도 우리는 항상 이 말을 간과해 왔다.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소방공무원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말이지만 이를 외면한 댓가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소방력 손실과 근무의욕 저하로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안전을 위하여 많은 시책들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도외시되었던 근본적인 문제점은 무엇인지 돌아보고 반성하고자 한다.

  • PDF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An Improvement Plan on Fire Safety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Cas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한상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85-90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실태를 파악, 분석하여 위험요소에 대한 철저한 예방과 화재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 체제가 구축될 수 있는 초·중등학교 소방안전관리 개선방안을 모색, 강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강원도 내 초·중등학교에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인원을 대상으로 소방안전관리자의 전문성, 예방능력, 대비능력, 운영형태 등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실태조사 문항은 26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소방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높은 반면에 사고를 대비, 대응할 수 있는 소방안전관리자의 능력은 제도적, 기술적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소형화재실험을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EIFS) 화재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IFS by Cone Calorimeter Test & Single Burning Item Test)

  • 민세홍;김미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10
  • Recently, in circumstantial situation it is recommended positively to utilize of EIFS(Exterior Insulating and Finishing System) as energy policy for economizing energy. But internal EPS insulators of EIFS are exterior panel of high fire risk, because of constituting of flammable materials to be fragile in fire. In this study, fire risk is assessed by experiment Con Calorimeter test and SBI(Single Burning Item) test. As the result of experiment, Con Calorimeter tests do not reach to capability standard of internal incombustible grade, and are assessed as low grade in SBI incombustible grade. Because EIPS is exterior material in buildings with high fire risk in spite of good efficiency, it is required rapidly to take measures to meet situation through various studies(for instance, adjusting law regulation, etc.) in the future.

Latent Profil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Fire Safety Awareness

  • Lee, Soon-Beom;Kim, Eun-Mi;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124-13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fire safety awarenes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la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May 25, 2021 for 1054 high school students (male; 569, female; 485) in 3 cities, in Jeollabuk-do. The latent profile was analyzed using a scale consisting of 4 sub-factors: 'fire prevention', 'fire preparedness', 'indirect fire response', and 'direct fire response'. It was check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ter-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latent group.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e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The three groups were named 'High Perception Type', 'Moderate Perception Type', and 'Low Perception Type' according to their types. In fire safety awarenes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atent profile.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 of high school students' fire safety awareness, and it is also meaningful to provide a useful basis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ustomized fire safet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tendencies of spontaneous groups and their fire safety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