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ignition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31초

목질바닥재의 착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gnitibility of Wooden Flooring)

  • 김해림;김영탁;박영주;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97-402
    • /
    • 200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gnitibility of the wooden floorings used as the finishing materials for interior with the flammability tester and the ignition point tester. Also we analyzed the limit oxygen index(LOI) using the oxygen index tester and the flame resistance of the wooden floorings. We confirmed that all of the samples had a excellent flame resistance. The ignitibility of the floorings were ranked as the material lumber>the strengthening flooring>the veneer board(1)>the veneer board(2).

  • PDF

이동형 화재 방재시스템의 통신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of Portable Fire Prevention System)

  • 곽동걸;최신형;백원종;이춘수;길민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5
    • /
    • 2016
  • This study is to minimize the damage and fire early warning and research 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emergency fire alarm system based on the IoT to the transmission in real time. The spread of such systems can be expected to businesses expand to technology that can replace or complement existing fire fighting system, it is also expected to a large ripple effect as an important technology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to real-time detect the ignition point.

  • PDF

건물화재시 연기층의 형성에 관한 실험적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ormation of Smoke Layer of Compartment Fire)

  • 허만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4-100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ormations of smoke layer in case of several furniture fires such as trashcan, carpet, mattress and wardrobe as a fire starter in a residential room by performing the experimental studies. The uniformly distributed fire in case of carpet showed that the ignition and the initial growth period were relatively short while the fully developed period was considerably long. The concentrated fires such as the trashcan, mattress and wardrobe showed that the ignitions and the initial growth periods were relatively lo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interface height was proportioned to the inflammability of the furniture and the spread of the fire. The time required to come down around 1m was within 1-3 minutes. The Interface heights for the furniture fires were around 1m as the steady state. However, at the time of the maximum temperature, the interface height was lowered to 0.25m-0.75m from the floo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reached the highest while the oxygen concentration was minimum.

  • PDF

CONE CALORIMETER STUDIES OF WOOD SPECIES

  • Grexa, Ondrej;Horvathova, Elena;Osvald, Anton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77-84
    • /
    • 1997
  • Cone calorimeter measurements can be used for the calculation of effective material properties, which can be used as input parameters in modeling of fire. Main parameter measured in Cone calorimeter is heat release rate. Some other parameters as time to ignition,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mass loss rate or total heat released is also measured in Cone calorimeter. Total heat released is importa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otal energy available in material in Fire situation. Cone calorimeter. measurements were done on several wood species (oak, beech, spruce, poplar). Measurements were provided at external irradiances 30, 50 and 65 ㎾/$m_2$ in horizontal orientation. Heat release rate data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s a function of external irradiance for various species of wood.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external irradiance on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and total heat release was also evaluated for the period of flame combustion.

  • PDF

발열의류로 인한 화재위험성 및 저온화상에 대한 분석 연구 (A Study of the analysis on the risk of ignition and low-temperature burns caused by the use of electrically heated clothes)

  • 이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2-129
    • /
    • 2018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이용하고 있는 발열조끼에 의한 저온화상과 화재위험성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사용전압보다 더 높은 전압에 발열조끼를 연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재현실험한 결과 높은 저온화상과 발화위험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전압을 인가했을 때 상대적으로 열선의 저항값이 더 낮은 발열조끼 제품이 더 높은 온도에 도달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결론 : 발열조끼는 온도조절장치나 타이머가 존재하지 않아 온도가 급격히 올라갈 경우 안전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나 저온화상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열선의 최소저항값 기준을 설정하고,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열선 사용의 규제가 필요하다.

인-질소 첨가제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rigida Specimens Treated with Phosphorus-Nitrogen Additives)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3-1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인(P)-질소(N)의 첨가제로 처리된 리기다 소나무의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15 wt%의 인-질소 첨가제 수용액으로 리기다 소나무에 3회 붓칠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인-질소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은 피로인산/암모니움이온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을 제외하고, 처리하지 않은 시험편에 비하여 착화시간이 90~148 s으로 길었다. 또 불꽃소멸시간은 556~633 s으로서 길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인-질소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은 무처리 시험편에 비해 각각 12.5~43.4% 정도 높은 평균열방출률과 11.8~43.1% 정도 높은 총열방출률을 나타내었다. 특히, 인-질소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의 유효연소열은 15.60~18.37MJ/kg으로서 순수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에 비하여 2.9~17.5%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질소 첨가제로 처리한 시험편은 순수 리기다 소나무 시험편에 비하여 연소 억제성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켰다.

샌드위치패널 창고의 벽 천장 접합부 방호용 스프링클러설비 실험 (A Experiment of Sprinkler System to Protect Ceiling Joints of Sandwich Panel Warehouses)

  • 안병국;김운형;서동훈;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98-108
    • /
    • 2019
  • 연구목적:본 연구는 화재 시 샌드위치패널 구조 창고의 벽 천장접합부 방호를 위한 스프링클러 성능확인 실험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현장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창고의 공간규격과 가연물을 선정하고 벽 코너 및 헤드 직하부에서의 방호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벽 코너 화재 시나리오에 대해서 K-80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으로 샌드위치 패널의 착화 및 접합부 손상이 방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샌드위치패널 심재로의 착화 및 연소방지를 통한 화세제어로 이를 가정한 소방대의 소화 및 구조활동을 위한 표준진압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Applying Fire Risk Analysis to Develop Fire-safe Modular Walls: Guidance to Material Selection, Design Approach and Construction Method

  • Lim, Seokho;Chung, Joonsoo;Kim, Mihyun Esther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21-27
    • /
    • 2022
  • For the past decade, South Korea had experienced catastrophic building fires, which resulted in consider-ably high number of casualties. This motivated research to develop fire-safe wall assemblies. In this study Fire Risk Analysis (FRA) is conducted as part of the project designing phase to ensure fire safety of the final product. Traditional approach was to consider fire performance at the end of the designing stage, when PASS/FAIL fire test results are required to be submitted to the Authority Having Jurisdiction (AHJ). By applying a fire risk analysis to guide the designing phase, overall fire safety of a wall assembly can be achieved more systematically as conducting FRA allows designers to clearly identify elements that are more vulnerable to fire and simply replace them with other practical options. Severity of fire risk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fire hazards of a wall assembly such as the exterior layer, insulation, vertical connectivity, and external ignition sources (e.g., photovoltaic panels). Frequency of fire risk is assessed based on the factors affecting fire likelihood, which are air cavity and fire-stopping applied in the design, and random design changes occurring during on-site construction. Fire risk matrix is proposed based on these fire risk factors and efforts to reduce the fire risk level associated with the wall assembly are given by systematically assessing the fire risk factors identified from fire risk analysis. Current study demonstrates how fire risk analysis can be applied to develop fire-safe walls by reducing the relevant fire risks- both severity and frequency.

내화처리(耐火處理)가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기계적성질(機械的性質) 및 내화도(耐火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Fire Retardant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Fire Retardancy of Particleboard and Complyboard)

  • 권진헌;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3-57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에 있어서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용(用)의 칩은 공(共)히 메란티 수종(樹種)(Shorea spp.)을 팔만칩퍼로 제조(製造)하였으며 콤플라이보오드의 표층단판(表層單板)의 수종(樹種)은 아피통(Dipterocarpus spp.)을 사용(使用)하였다. 칩의 크기는 6메쉬를 통과(通過)하고 25 메쉬위에 남는 것을 이용(利用)하였으며 콤플라이보오드의 단판(單板)두께는 0.9mm, 1.6mm 및 2.3mm의 것을 사용(使用)하였고 접착제(接着劑)로는 요소수지(尿素樹脂)를 파아티클의 전건조량(全乾燥量)에 대(對)해 10%첨가(添加)한 후 성형(成型)하여 파아티클보오드를 만들었고 표층용단판(表層用單板)의 접착(接着)에는 36g/(30.48cm)$^2$을 도포(塗布)하였다. 내화약제(耐火藥劑)로는 제2인산(第二燐酸)암모늄, 황산(黃酸)암모늄,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 파이래소트, 미나리스의 5종(種)에 대(對)해 단판(單板)에는 20% 농도(濃度)로 파아티클에는 5, 10, 15, 20%의 농도(濃度)로 침지법(浸漬法)을 적용(適用)하여 처리(處理)하였다. 이런 조건(條件)으로 만든 내화(耐火)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물성(物性)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및 내화도(耐火度)를 조사(調査)하여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 및 콤플라이보오드 제조가능성(製造可能性)을 구명(究明)하고져 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5종(種)의 약제보유량중(藥劑保有量中) 5% 황산(黃酸)암모늄처리(處理)가 1.34kg/(30.48cm)$^3$로 가장 적었으나 모두가 최저보유량(最低保有量) 1,125kg/(30.48cm)$^3$ 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었다. 2.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파괴계수(破壞係數), 탄성계수(彈性係數), 박리강도(剝離强度) 및 나사못 유지력(維持力)은 제2인산(第二燐酸)암모늄처리(處理)가 다른 약제처리(藥劑處理)보다 우수(優秀)하였다. 3.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의 파괴계수(破壞係數) 및 탄성계수(彈性係數)는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보다 더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4.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의 두께 팽창율(膨脹率)은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의 것보다 훨씬 적었다. 5. 파이레소트와 미나리스처리(處理)는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함수율(含水率)을 증가(增加)시켰으나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처리(處理)는 오히려 함수율(含水率)을 감소(減少)시켰다. 6.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가 되지 않았고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는 되었지만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착화시간(着火時間)이 훨씬 지연(遲延)되었다. 또한 단판(單板)만 내화처리(耐火處理)한 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되어 잔염(殘炎)은 있으나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그 잔염시간(殘炎時間)이 훨씬 짧았다. 단판(單板)과 중층(中層)파아티클보오드에 처리(處理)한 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는 되었으나 잔염(殘炎)은 없었다. 7. 불꽃의 길이, 탄화면적(炭化面積) 및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서 훨씬 적었으나 약제간(藥劑間)에 차이(差異)는 없었다. 8. 시험(試驗)한 5종(種)의 약제(藥劑)에서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의 이면온도(裏面溫度)는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9.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의 이면온도(裏面溫度)가 가장 높은 약제(藥劑)는 파이레소트처리(處理)이고 가장 낮은 약제(藥劑)는 미나리스처리(處理)였다. 10.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의 이면온도(裏面溫度)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서 현저히 낮았다.

  • PDF

고흡수성 중합체의 자연발화와 활성화에너지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s of Autoignition and Activation Energy of Superabsorbent Polymers)

  • 허종만;최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92-304
    • /
    • 2023
  • 연구목적: 일상생활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고흡수성 중합체가 생산 및 저장 사업장에서 크고 작은 발화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화재사고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실험적인 기초자료의 확보를 위해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시료용기를 가로 및 세로는 0.2m로 고정하고, 폭을 각각 3cm, 5cm, 7cm, 그리고 14cm의 크기로 직육면체 형태로 하여 무한평판에 접근하게 하였다. 미리 설정된 온도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게 한 항온조 중심부에 시료용기를 고정시키고 중심부의 온도가 설정하여 둔 온도보다 20℃이상 상승한 경우를 「발화」한 것으로, 시료의 중심부 온도가 설정하여 둔 온도와 유사하게 지속되었을 경우를 「비발화」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연발화의 한계온도는 시료용기의 폭이 3cm일 때 212.5℃, 5cm일 때 202.5℃, 7cm일 때 192.5℃, 그리고 14cm일 때에는 177.5℃로 산출되었다. 최고의 온도에 도달되는 발화를 위한 유도시간은 3cm일 경우 약 42시간, 5cm일 경우 약 91시간, 7cm일 경우 약 151시간, 그리고 14cm일 경우 약 300시간으로 나타났다. 결론: ① 시료용기의 크기가 커질수록 자연발화온도는 낮아지고, 최고의 온도에 도달되는 발화를 위한 유도시간은 길어졌다. ② 겉보기활성화에너지는 39.30 [kcal/mol]으로 산출되었으며, 상관도는 99.5%였다.